d라이브러리
"신호"(으)로 총 3,108건 검색되었습니다.
- [Tech] ‘선 없는 세상’ 의 마지막 퍼즐 무선 이어폰과학동아 l2018년 09호
- 이어폰 사이의 동기화뿐만 아니라 양쪽 유닛 사이의 동기화도 이뤄져야 하기 때문에 신호 지연이 더 길어질 수 있다.신호 지연을 줄이기 위해 브라기의 ‘더 헤드폰’ 등 일부 제품은 양쪽 유닛을 블루투스 대신 근거리 전자기 유도 방식으로 연결한다. 조인귀 ETRI 전파환경감시연구그룹 ... ...
- 바다 위 8층 빌딩 이사부호과학동아 l2018년 09호
- 포지션(DP)’이 큰 역할을 했다. 이 기능을 활용하면 악천후에도 바다 위에서 인공위성 신호를 이용해 자신의 위치를 정확히 유지해 항상 제자리를 지킬 수 있다. 이사부호는 다이나믹 포지션 기능으로 바닷속을 고화질로 촬영할 수 있는 심해영상카메라를 내려 보내 KVF를 발견했다. 이후 ... ...
- [과학뉴스] 우주에서 지상 동물 추적 ‘이카루스 계획’ 시작과학동아 l2018년 09호
- 조사가 어려웠다.ISS에 설치된 이카루스 안테나는 지상의 동물로부터 전송되는 GPS 신호를 수신한다. GPS는 태양에너지로만 작동하며, 위치 좌표 외에도 동물의 가속도, 지구자기장에 따른 방향 변화, 주변 기온, 기압, 습도 등을 기록한다. 현재 GPS는 계속 연구 중이며, 2025년 개발이 완료될 예정이다 ... ...
- Part 2. 세계 최초의 로켓과 세계 최강 군함과학동아 l2018년 09호
- 화약무기였다. 중신기전은 임진왜란 때 행주산성 근처 전투에서 사용됐고, 거북선에서는 신호용으로도 사용됐다. 신기전은 성능이 뛰어난 신무기여서 조선왕조실록에 의하면 ‘적이 숨어 있을 것 같은 곳에 발사하면 적이 겁을 먹고 스스로 항복했다’고 한다.세종 29년(1447년) 가을부터 겨울까지 ... ...
- [Future] 운전자여, 잠에서 깨어나라과학동아 l2018년 09호
- 예측하고 필요하면 스스로 멈추는 ‘전방 추돌 경보’, 도로 위에 움직이는 보행자나 신호등을 인식해 속도를 조절하는 ‘보행자 인식’과 ‘교통 표지판 인식’ 등도 ADAS의 대표적인 사례다.2015년 한국교통안전공단이 한 고속버스 업체와 협력해 ADAS 중 하나인 전방 추돌 경보 장치를 버스에 달고 ... ...
- Part 2. 밀림 속에 숨겨진 유적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8호
- 바닥까지 도달했다가 부딪혀 돌아오지요. 이렇게 얻은 데이터에서 나무로부터 반사 된 신호를 걸러내면 밀림 아래에 놓인 지형을 알아낼 수 있답니다. 2016년, 프랑스국립극동연구원 데미안 에번스 박사팀은 캄보디아 앙코르와트 주변 정글에서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은 도시의 흔적을 발견했어요. ... ...
- [Origin] 이런, 다이아몬드 같지 않은 나노 다이아몬드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이내 연소돼 이산화탄소로 변해 공중으로 사라진다”고 설명했다. 외계에서 온 신호를 포착해 우주를 유영 중인 나노 다이아몬드를 발견할 수도 있다. 제인 그리브스 영국 카디프대 물리 천문학과 연구원이 이끄는 연구팀은 우주에서 온 ‘AME’라는 마이크로파가 회전하는 나노 다이아몬드에서 ... ...
- Part 5. 인류에게 남겨진 숙제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8호
- 마이크로파들을 분석했지요. 마이크로파분광계는 우주에 떠도는 마이크로파를 디지털 신호로 바꿔 주는 역할을 한답니다. 그 결과, 연구팀은 우주가 생긴 뒤 1억 8000만 년 후에 생긴 별의 흔적을 찾는 데 성공했어요. 이는 지금까지 밝혀진 별의 흔적 중 가장 오래 된 것이랍니다. 그밖에도 ... ...
- [Culture] 화성에서 살아남기 위한 생존전략 3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얼음의 존재는 확인됐다. NASA가 2001년 발사한 화성탐사선 ‘마스 오디세이’가 첫 신호탄을 쐈다. 화성 주위를 공전하며 지질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위성에 탑재된 분광기가 화성 지표면 90cm 아래에서 수소 감마선을 포착했기 때문이다.이는 화성 내부에 거대한 얼음 저수지가 존재한다는 증거다. 200 ... ...
- [눈,코,입 심기] 내가 보이나요, 내 목소리가 들리나요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역할을 하는 광수용체 세포가 있다. 이들 세포가 손상되면 빛이 망막에 들어와도 전기 신호가 생성되지 않고 뇌가 빛을 볼 수 없다. 인공망막은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을 분석해 광수용체 대신에 전류를 흘려준다. 국내에서는 지난해 6월 처음으로 윤영희 서울아산병원 안과 교수팀이 ... ...
이전55565758596061626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