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말
말소리
국어
랭귀지
language
어학
언어학
d라이브러리
"
언어
"(으)로 총 1,916건 검색되었습니다.
[생활] 진실과 거짓 뮤지컬 지킬 앤 하이드
수학동아
l
2015년 04호
바통을 넘겨준다. 알파벳과 ‘∼’ 같은 기호로만 구성된 기호논리학은 생활
언어
를 쓰면 생기는 애매모호함을 해결해 준다.‘찬이는 고등학생이고 수학동아를 읽는다’와 ‘찬이는 고등학생인데도 수학동아를 읽는다’는 두 문장을 생각해 보자. ‘찬이는 고등학생이다’와 ‘찬이는 수학동아를 ... ...
Part2. 거짓말 잘하는 사람이 살아남았다
과학동아
l
2015년 04호
완벽히 통제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하지만 자신의 거짓말을 스스로 믿는다면, 비
언어
적인 표현조차 거짓으로 바꿀 수 있다. 로버트 트리버스 교수는 ‘우리는 왜 스스로를 속이도록 진화했을까?’라는 책에서 “자기기만 능력이 있으면 다른 사람을 보다 잘 속일 수 있어 자연선택됐다”고 ... ...
[과학뉴스] 동아사이언스-한국과학창의재단, SW 교육 MOU 체결
과학동아
l
2015년 04호
2018년부터 정규 교육과정에 들어가는 SW 교육은 문서작성 프로그램이나 프로그래밍
언어
를 가르치던 기존의 컴퓨터교육에서 벗어나 다양한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활용해 자료를 수집·분석한 뒤 효율적인 문제 해결 방법을 설계하는 창의적이고 논리적인 사고력을 함양하는 데 목표를 두고 있다 ... ...
[과학뉴스] 영어가 성격을 바꾼다
과학동아
l
2015년 04호
사실을 알아냈다. 새로 배운
언어
가 성격에 영향을 준 셈이다. 연구팀은 “
언어
는 우리 무의식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결론지었다. 이 연구는 ‘심리과학(Psychological Science)’ 저널 3월 6일자에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하다] ‘지름신’ 부르는 뇌공학자
과학동아
l
2015년 04호
우연히 접한 뇌공학에 갑자기 푹 빠져 든 이유도 ‘사람의 마음’이 궁금해서였다. 그는
언어
로 자신의 마음을 잘 표현하지 못하는 장애인들이 자유롭게 생각을 전달할 수 있는 새로운 소통 방법을 만들고 싶어한다. “자폐증 환자와 같이 사회소통에 문제가 있는 사람들이 뇌파로 소통하는 채널을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한다] 빅데이터로 유권자의 마음을 훔치다
과학동아
l
2015년 04호
블로그에 남긴 글이다. 이런 글을 분석하려면 고도의 자연어 처리기술과 컴퓨터
언어
학 기술이 필요하다. “박근혜 대통령 잘한다”라는 글이 칭찬인지 비꼼인지 알려면 전체 글의 맥락을 파악해야 한다. 사람 수준의 해독능력을 가진 소프트웨어가 필요하다.분석이 끝이 아니다. 비정형 데이터는 ... ...
Part1. 거짓말 잘하는 비결
과학동아
l
2015년 04호
노력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그러려면 ‘감각’에 집중해야 한다고 강조한다.“감정은
언어
로 전달될 때 정보를 일부 상실합니다. ‘사랑한다’는 단어에서 감정을 느낄 수 있나요? 인간이 오감으로 느낄 수 있는 구체적인 단어로 바꿔줘야 합니다. ‘네가 4시부터 온다면 난 3시부터 행복해지기 ... ...
[수학뉴스] 세계는 긍정적인 말을 더 많이 써
수학동아
l
2015년 04호
긍정적인 단어를 사용할수록 높은 점수를 준다면, 평소 우리의
언어
생활 점수는 몇 점일까요? 최근 단어에 점수를 매겨
언어
별 긍정성을 평가한 연구가 ... 긍정적인 단어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이 연구 결과는 새롭게 탄생하는
언어
의 특성을 연구하는 데 쓰일 전망입니다 ... ...
화산재에 숨어 있던 도시 폼페이를 가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4호
게다가 고대 로마 제국 사람들은 화산에 대해 전혀 몰랐어요. 로마인들이 사용했던
언어
인 라틴어에 ‘화산’이라는 단어가 없을 정도로 말이에요.79년 8월 24일, 결국 베수비오 화산은 분출하고 말아요. 지상에서 32km 높이까지 화산재가 솟아 올랐고, 도시는 분출 4시간 만에 1m가 넘는 화산재로 ... ...
Part ➊ 건강한 경쟁이 건강한 숲을 만든다
수학동아
l
2015년 04호
사람은 헝가리의 생물학자 애리스티드 린덴마이어다. 그리고 훗날 미국 매사추세츠공대
언어
학과 노엄 촘스키 교수가 알고리즘을 보강하고, 영국의 유명한 수학자 스티븐 울프램이 수학 패턴을 만들어 이 프로그램은 한 단계 더 발전했다.이처럼 나무의 성장을 재현하는 프로그램을 이용하면, ... ...
이전
55
56
57
58
59
60
61
62
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