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많음
듬뿍
다수
담뿍
d라이브러리
"
잔뜩
"(으)로 총 611건 검색되었습니다.
486PC 바람이 분다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있다. 잇따른 저가 PC의 발표로 소비자들은 더 싸고 좋은 제품이 쏟아질 것이라는 기대에
잔뜩
부풀어 있다. 한글 윈도우즈의 보급으로 국내에도 고급 PC를 선호하는 사용자들의 수도 빠른 속도로 늘고 있다.한편 PC 주력제품의 빠른 교체로 많은 사용자들은 혼란스러워하고 있다. 아직 대부분의 ... ...
당신의 충실한 조수 마이크로프로세서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메모리 즉 주기억장치(main memory)다. 그리고 이 친구가 참조할 파일이 서류철로 묶여
잔뜩
들어가 있는 서랍은 하드디스크다. 서랍속에 파일들을 철해 놓은 서류철은 디렉토리(directory)라고 한다. 그리고 자주 사용하는 서류봉투는 플로피디스크라고 보면 된다.이러한 비유를 통해 우리는 컴퓨터가 ... ...
별은 어떻게 탄생하나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수소 원자 1억개가 어지러이 운동하다가 서로 충돌하여 (그림2)와 같은 헬륨 원자들을
잔뜩
만들어 내지 않을까? 이 질문에 대한 대답은 'No'다. 그럼 10년, 아니 1백년쯤 기다리면 헬륨이 생겨날까? 유감스럽게도 아직 대답은 'No'다.그럼 무작정 기다리는 방법을 버리고 온도를 서서히 높여 보자. ... ...
국내반도체산업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높은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돼 메모리제품 생산비중이 높은 국내 반도체업체들은
잔뜩
기대에 부풀어 있다.실제 메모리분야에서 1메가D램의 경우 이미 지난해부터 삼성전자가 세계 최대공급업체로 자리를 굳혔으며, 현재 세계 메모리반도체시장의 주력제품인 4메가D램의 경우도 올들어 ... ...
망원경제작의 1인자 이만성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법률에 관련된 책을 보다가도 머리를 식힐 때 들여다보는 책이 복잡한 회로도가
잔뜩
그려진 공학도서. 지금도 이런류의 책만 보면 머리속이 시원하게 뚫린다고 한다. 이런 이씨가 고시에 합격할 수 없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일.이씨가 망원경 제작을 세부 전공으로 정하게 된 결정적 동기는 대학 ... ...
새로운 통신시대의 개막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방송국으로 날아간다. 사람의 입술에서 회자되던 최불암 시리즈가 이미 전자게시판에
잔뜩
올려져 있다. 그리고 수십억 달러의 돈이 지구 이쪽에서 저쪽으로 눈 깜짝할 사이에 날아간다. 영어사전 한권 정도의 문서가 1분 사이에 지구 저편에 컴퓨터 통신망으로 완전히 전달된다. 컴퓨터 통신의 ... ...
고정관념서 벗어나자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대학노트를 자신의 메모로 새까맣게 채웠다고 한다. 아이디어는 좋은 것만 내보자고
잔뜩
도사리면 오히려 나오지 않는다. 이것저것 아이디어를 내는 동안에 기발한 아이디어가 탄생한다.네번째 규칙은 '결합개선'. 한 사람의 아이디어에 다른 사람의 아이디어를 덧붙여서 새로운 아이디어를 내놓는 ... ...
밤하늘은 천체교육의 산 교실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그림3)식으로만 배운 학생은 틀림없이 선생님이 천문학 시간에 칠판에 동그라미만
잔뜩
그렸다는 기억밖에 남지 않게 된다. 암기과목이 돼마지막으로 우리가 짚고 넘어가야 할 문제는 천문학이 중고등학교에서 점차 '암기 과목화'한다는 사실이다. 모든 자연과학이 다 그렇듯이 천문학도 무조건 ... ...
사나운 불 길들이기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만났던 불은 벼락이 나무에 떨어져 붙은 불이었을 것이다. 물론 그것을 보고 처음엔 겁을
잔뜩
먹었을 것이다.② 알쏭이 : 불은 프로메테우스가 하늘에서 훔쳐온 것이다. 그 때문에 카프카즈산에서 독수리에게 그는 간을 쪼이는 벌을 받았다.③ 달쏭이 : 화산폭발에 의한 자연 발화가 불에 대한 ... ...
금성이 반달처럼 보이는 이유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묻는 동생의 질문에 대답할 수 없다면, 그 학생은 틀림없이 선생님이 칠판에 동그라미만
잔뜩
그렸다는 기억밖에 남지 않았을 것이다.앞에서 여러 예를 든 것처럼, '관측을 통한' 천문학 학습 방법이 결국 입시에서도 좋은 성적을 거둘 수 있는 천문학 학습의 바른 길이라는 사실을 모두가 깨달아야 ... ...
이전
55
56
57
58
59
60
61
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