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주목"(으)로 총 4,113건 검색되었습니다.
- [잡터뷰] 공대 연구실에 웬 아티스트? 로봇디자이너 송정률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4호
- 좋아하고 기계도 좋아해서 고민인 분들, 주목! 로봇연구실에도 디자이너가 있대요. 송정률 디자이너는 서울대학교 인간중심소프트로봇기술연구센터에서 딱딱한 금속이 아닌 부드러운 재료로 소프트로봇을 개발하는 공학연구자들과 5년째 일하고 있어요. “미래엔 로봇디자이너가 많이 필요할 ... ...
- 8첩 곤충 반상, 밥상 위로 올라온 곤충과학동아 l2020년 04호
- 쉽다. 더군다나 최근 곤충의 약리적인 효과가 밝혀지면서 곤충은 식용으로 더욱 주목받기 시작했다. 2018년 조나단 파츠 미국 매디슨 위스콘신대 교수와 티파니 와이어 콜로라도주립대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은 귀뚜라미가 장내 미생물 증진에 효과적이라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연구팀은 성인 2 ... ...
- [4·15 총선] 긴급 여론조사, 과학계 민심을 듣다과학동아 l2020년 04호
- 핵융합 반응을 인공적으로 일으켜 전력을 생산하는 방식은 한국뿐만 아니라 전 세계가 주목하고 있다. 특히 영국은 2019년 6월, 2050년까지 온실가스 순배출량을 ‘0’으로 만들겠다는 법안을 의회에서 통과시킨 뒤 방안 중 하나로 2040년까지 세계 최초의 상용전기를 생산하는 핵융합 플랜트를 ... ...
- 호주 산불로 파괴된 숲, 돌아올 수 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4호
- 범위도 특히 넓었죠. 이렇게 큰 산불이 일어난 주된 원인이 기후변화에 있다는 사실을 주목해야 해요. 2019년의 호주는 가장 뜨겁고 건조한 해를 보냈어요. 이는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인도양 다이폴이 유난히 심했던 탓이죠. Q 이번 산불은 호주 생태계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호주의 숲은 산불에 ... ...
- [한페이지 뉴스] 나비에게 배우는 ‘완벽한 검은색’과학동아 l2020년 04호
- 구현할 방법을 자연에서 찾았다. 연구팀은 나비의 검은색 날개 표면에 있는 미세구조에 주목했다. 연구팀은 호랑나비과(Papilionidae)와 비블리스아과(Biblidinae) 등 4개 분류군에 속하는 14종의 나비 표본을 이용해 500nm 파장(초록색)에 대한 날개의 반사도를 측정했다. 빛 흡수율이 매우 높은 검은색 ... ...
- [VOTE FOR SCIENCE] 총121표 유권자들의 선택은?과학동아 l2020년 04호
- 했다(1인 3표제). 후보 5명의 이름과 당명, 핵심 공약과 선거포스터는 각 후보들이 주목하는 유권자 집단의 민심(사전조사)을 반영해 위트있게 만들었다. 투표는 3월 5일부터 16일까지 12일간 온라인으로 진행됐고 총 121표가 집계됐다. 투표 결과, 유권자들은 미래를 선택했다. 10대 청소년들의 고민을 ... ...
- 아로코스, 행성 탄생 이론 뒤집나과학동아 l2020년 04호
- 지역은 태양이 처음 만들어졌을 당시 모습을 간직하고 있다는 점에서 아로코스 관측이 주목을 받았다”고 말했다.당시 뉴허라이즌스호가 촬영한 아로코스의 데이터는 플라이바이 후 약 10시간 뒤 지구에 도착했고,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2월 28일자에는 이들 데이터를 분석한 논문 세 편이 나란히 ... ...
- 전기자동차 배터리 엔지니어 “싫은 일부터 하나씩 지워보세요”과학동아 l2020년 04호
- 화학상이 수여되면서 산업계에서 배터리 기술의 파급력이 학문적으로도 인정받았다. 주목받는 연구를 하고 있지만, 윤 책임연구원이 처음부터 이 일을 하려고 했던 건 아니다. 연구자의 길을 꿈꾼 것도 아니었다. 어릴 때는 일찍이 자신의 꿈을 정했거나 타고난 재능이 있는 친구들을 마냥 ... ...
- [DGIST] 더 빨리, 더 정확히, 더 많이 만능 AI 프로세서 개발과학동아 l2020년 04호
- 프로세서 만들고파”2016년 궁 교수는 고대역폭 메모리(HBM·High Bandwidth Memory) 설계로 주목을 받았다. 2차원 평면에 메모리 셀이 깔린 일반적인 메모리와 달리 3차원 공간에 메모리를 쌓은 HBM은 적층 구조로 데이터를 많이 저장할 수 있다. HBM은 수많은 데이터 학습이 필요한 AI 프로세서에 주로 사용되고 ... ...
- [과학동아 키즈] 인공 뇌 연구의 최전선에 서기까지과학동아 l2020년 03호
- 관련 서적 등을 더 찾아본 뒤, 2007년 나는 결국 탄소나노튜브 연구에서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던 이영희 성균관대 물리학과 교수의 연구실 소속 대학원생이 됐다. 모교에 탄소나노튜브 분야의 세계적인 연구자가 있었다니. 이것도 내게 신선한 충격을 준 사건이었다. 탄소나노튜브에서 ... ...
이전55565758596061626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