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진"(으)로 총 11,349건 검색되었습니다.
- [버섯요정의 기묘한 모험] 전설의 버섯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2호
- 오지를 탐사하며 찍은 버섯 사진들을 어과동 친구들에게 공개합니다. 아직 보여드릴 멋진 버섯들과 재밌는 버섯 이야기들이 많이 준비되어 있으니 기대하셔도 좋습니다. 그럼 12월 15일 자에 또 만나요 ... ...
- [이달의 과학사] 1922년 11월 26일 3200년 만에 발굴! 투탕카멘의 무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2호
- 무덤의 입구로 향하는 12개의 계단이 숨겨져 있었지요. 입구에는 투탕카멘의 왕명이 써진 인장이 있어 투탕카멘의 무덤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11월 26일, 무덤에 들어갔더니 황금 의자, 왕관은 물론, 침대와 소파, 무기 등 수많은 보물들이 있었어요. 카터는 발굴 작업을 지원해주던 카나번 ...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2호
- 주목! 아이돌이 에 떴어요. 수학을 사랑하는 아이돌, CIX의 용희가 김진화 기자와 인터뷰를 나눴기 때문이죠. 아이돌이 수학에 빠지게 된 계기부터, 팬들의 문제를 풀어준 사연 및 수학기자와의 구구단 배틀까지! 알고 보니 CIX 팀명과 노래 제목 등 곳곳에 수학이 숨겨져 ... ...
- [메타버스 여행법] 오늘은 크리에이터 월드에 놀러가 볼까?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2호
- 댓글로 올리기. 4화 당첨자송현정 독자가 캠프파이어를 즐기는 모습을 보여 줬어요!사진으로만 봐도 따뜻해 보이네요. 어때요, 친구들? 오슬이가 소개한 5곳의 크리에이터 월드가 마음에 들었나요? 다음 시간에는 제페토에서 때마다 열리는 다양한 이벤트를 120% 즐기는 방법에 대해 알아볼 ... ...
- [꿀꺽! 수학 한 입] 이건 몰랐어! 동화 속 이야기 1. 라푼젤은 목이 튼튼했다?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21호
- 1600~1700년대 독일의 건물들은 매우 높고 장식이 화려한 것이 특징이거든요. 이때 지어진 건물로 유명한 독일 드레스덴의 성모 교회는 전체 높이가 91m나 돼요. 마을 곳곳에서 종을 울려 시간을 알려주는 종탑들의 높이는 대부분 80m 이상이었지요. 만약 라푼젤이 50m 높이의 탑에 살았다면, 라푼젤의 ... ...
- [4컷 만화] 스프레이로 10분 만에 드레스 완성!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1호
- 합성 섬유까지 다양한 종류의 섬유를 사용해 만들 수 있다고 설명했어요. 또 버려진 옷이나 다른 직물에서 재활용된 섬유를 다시 녹여서 사용할 수 있어 친환경 소재로 활용될 수 있다고 밝혔답니다 ... ...
- [이달의 과학사] 1988년 11월 2일 로버트 모리스, 인터넷을 마비시킨 모리스 웜을 배포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1호
- 컴퓨터 웜은 아닙니다. 그러나 모리스 웜은 엄청난 손해를 끼치며 대중적으로 유명해진 첫 웜이에요. 이 사건 이후로 컴퓨터를 사용하는 기업과 학교는 인터넷 보안의 중요성을 깨닫고 보안을 강화하게 되었습니다.로버트 모리스는 어떻게 되었냐고요? 그는 사회에 큰 손해를 끼친 혐의로 재판에서 ... ...
- 과학동아천문대와 함께하는 이달의 우주 날씨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1호
- 사진을 비교해 살펴봐요! 자, 그럼 여기서 퀴즈! 지구로부터 약 2900만 광년 떨어진 은하 IC 5332는 어떤 형태의 은하일까요?① 정상나선은하② 막대나선은하③ 타원은하④ 우리은하⑤ 불규칙은하어과수 홈페이지(kids.dongascience.com)의‘어과동-와르르 선물터’에 비밀댓글로 정답을 남겨 주세요.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도덕적인’ 인공지능 가능할까?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1호
- 비윤리적인 데이터를 계속해서 생산한다면, 그것을 학습하는 인공지능은 인간이 가진 비윤리성에 기반해 업무를 수행할 것이며, 이것은 결국 인류의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협할 거예요. 결국 인간의 윤리에 대한 책임감을 생각해 봐야 해요. 우리가 디지털 시민으로서 올바르게 행동하고, 판단하는 ... ...
- [냠냠! 어수잼] 자연이 알려주는 시간의 흐름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21호
- 양옆으로 돌아가요. 영침★이 붙어 있는 아래쪽 반구를 움직여서 영침의 그림자를 정해진 위치에 맞추면, 위쪽 반구에 있는 구멍에 현재 시각이 나타나지요. 조선의 과학자 장영실이 만든 물시계인 ‘자격루’도 있어요. 물의 양이 변하면 물통 속에 있는 막대기가 떠오르도록 만들었어요. 막대기 ... ...
이전55565758596061626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