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체학
항해천문학
항해
익살 점성학
천체지학
d라이브러리
"
천문학
"(으)로 총 1,635건 검색되었습니다.
은하 중심부에 막대가 있었다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고정된 장소에서 특정한 별들로 이뤄진 채 오랜 시간 동안 유지되는 구조가 아니다.
천문학
자들은 나선팔과 막대를 밀도파 이론으로 설명한다. 이에 따르면 나선팔은 밀도파가 지나가는 영역에서 생성된 젊은 별에 의해 나타나는 구조다. 즉 나선팔은 밀도파가 지나가는 장소에서 생겼다가 별들의 ... ...
참이 되는 값을 찾는 식, 방정식
수학동아
l
2010년 07호
“동일한, 일치하는”이란 뜻의 단어인 aequalis(아이쿠알리스)에서 왔으며 원래는
천문학
용어였으나 17세기에 수학에서도 쓰이기 시작했다.방정식을 참으로 만드는 어떤 값을 찾는다고 할 때 ‘값’을 뜻하는 영어 단어로는 value를 쓴다. value는 ‘가치 있는’이란 뜻의 고대 프랑스어 단어인 valoir ... ...
국내 과학글쓰기의 현주소를 진단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달과 별이 뜨고 지는 원리’를 비롯해 20여 권의
천문학
관련 서적을 펴낸 명실상부한 ‘
천문학
전도사’이다.그의 말처럼 대부분의 과학자들은 과학글쓰기의 중요성을 통감하고 있다. 과학글 쓰기가 중요하다는 이야기도 1990년대부터 시작됐다. 특히 2003년 과학기술부 원자력 국장을 지낸 임재춘 ... ...
진짜 별이 되신 우주 박사님!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오셨지요. 이후 학생들을 가르치시는 한편 한국
천문학
회장을 맡으시는 등, 우리나라
천문학
발전을 위해 노력하셨어요.박사님은 특히 어린이들에게 관심이 많으셨어요. 그래서 어린이를 위한 책도 많이 쓰셨고 방송도 하셨지요. 예비 우주인이었던 고산 아저씨도 어렸을 때 박사님의 영향을 받아 ... ...
생명정보학, 게놈 데이터 더미에서 보석 캔다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통해 염기해독 비용을 낮추고 해독 속도를 높였지만 이런 ‘개선’만으로는 해독에 드는
천문학
적 비용을 낮추는 데 한계가 있었다.길버트 교수의 수제자로 1970년대부터 DNA염기서열해독법을 연구해온 현 하버드대 의대 조지 처치 교수는 또 바이러스 단백질 구멍을 이용해 염기서열을 해독하는 법 ... ...
우리 몸의 칼슘 설명하는 새로운 초신성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캐나다 토론토대
천문학
및 천체물리학과 문대식 교수가 참여했다.초신성 폭발은 그동안
천문학
자들이 크게 2가지 방법으로 설명해 왔다. 하나는 아주 무거운 별의 폭발이고, 다른 하나는 탄소나 산소가 많은 백색왜성의 표면에서 일어나는 폭발이었다. 태양 질량보다 8배 이상 무거운 별은 중심부의 ... ...
레이저 그 탄생을 위한 질주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재는 성과를 얻었다. 노이즈가 거의 없고 마이크로파를 증폭시킬 수 있다는 이유로 전파
천문학
에서도 메이저를 주목했다. 덕분에 메이저 연구는 이내 붐을 맞이했다. 실용적으로 활용하기 좋은 고체 메이저와 합성 루비 메이저도 빠르게 개발됐다. 메이저를 통해 마이크로파를 발생시킬 수 있음이 ... ...
반짝반짝~, 아기별의 탄생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이제 막 태어난 아기별들의 모습이에요. 이부분에서 초신성 폭발이 일어난 적이 있는데,
천문학
자들은 그 때 생긴 충격파 때문에 이 새로운 별들이 생긴 것일지도 모른다고 생각하고 있대요. ▲ 지구에서 1500광년 떨어진 오리온 성운은 오리온자리의 검 부분에서 가장 밝은 곳이죠. 이 먼지 ... ...
수학자? 과학자?②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이 책은 근대 과학에서 가장 중요한 책으로 꼽힌다.뉴턴은 반사망원경을 발명해
천문학
에도 공을 세웠다. 반사망원경은 이전까지 쓰이던 굴절망원경에서 색이 번지는 현상을 없앴다. 반사망원경은 굴절망원경보다 크게 만들기 쉬워 지금도 대형망원경은 주로 반사망원경으로 만든다.▼관련기사를 ... ...
빅뱅 직후 우주에는 쿼크가 흘렀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결과 우리의 우주가 아주 작은 점에서 시작했다는 빅뱅(대폭발) 이론이 탄생했다.그 뒤
천문학
자들은 시간을 거슬러 빅뱅 직후의 초기 우주를 관측하려고 끊임없이 노력했다. 하지만 빛으로 볼 수 있는 우주의 시간은 근본적인 한계가 있다. 빅뱅 직후 약 40만 년 이내에 매우 뜨겁고 밀도가 높은 초기 ... ...
이전
55
56
57
58
59
60
61
62
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