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타액
바늘
가시
spit
d라이브러리
"
침
"(으)로 총 612건 검색되었습니다.
제3의 의학이 생겨날 것인가 동양의학과 서양의학의 결합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출현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말한다. 이렇게 하여야만 동양의학에서 사용하는 한약이나
침
치료의 효과판정이 정확하게 행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전술한 동양의학과 서양의학의 비교에서 본 것과 같이 동양의학은 여러가지 장점과 특징을 가지고 있으나 서양의학자들이 일반적으로 가지고 있는 ... ...
10만메가톤의 에너지 태풍의 생성과 소멸
과학동아
l
1987년 09호
눈이 큰 것은 지름이 1백km나 되는 것도 있다.태풍주의의 바람은 아래 그림과 같이 반시계
침
방향으로 중심을 향해서 불어들고 있으나 좌우대칭적이 아니고 진행방향에 대해서 중심역의 오른쪽이 왼쪽보다 강하다. 그 까닭은 태풍이 상층풍의 흐름에 따라 북상하므로 진행방향의 오른쪽에서 태풍을 ... ...
PART Ⅱ 세균(박테리아) 병주고 약주는 작은 거인
과학동아
l
1987년 09호
조건이 변할 때 무서운 병원균으로 돌변한다. 예컨대 외음부를 산성으로 유지해 세균의
침
입을 막아주던 유산간균의 수가 출산 직후 줄어들면 마이코플라즈마라는 세균이 감염돼 산욕열을 일으킨다. 또 에이즈 등에 걸려 면역기능이 상실되면 독성이 낮은 세균들도 맹렬한 감염을 일으키기 때문에 ... ...
태풍때의 강풍
과학동아
l
1987년 09호
바람은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반시계
침
방향으로 분다. 그것은 태풍의 남동쪽에는 따뜻하고 높은 태평양 고기압이 있고 북서쪽에는 차고 낮은 대륙 고기압이 있기 때문이다. 9월경이면 대륙고기압이 아직 약하고 태평양의 고기압이 훨씬 강하므로 태풍을 향해 몰아 부는 바람은 남동쪽에서 강하게 ... ...
시원한 맛속에 담긴 식품첨가물을 조심하자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수 있음을 경고하고 있다. 또 여성들이 기대하는 피부미용효과도 확실한 과학의 뒷받
침
이 없는 형편이다. 결국 인공색소 등 첨가물이 들어간 유색음료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이 달라지고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기존 청량음료가 잘 팔리지 않자 업계에서 새로운 판매전략으로 비타민C를 ... ...
최악의 공해에 최소의 대책도 없어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주목되는 대체품 아라미드 펄프 석면이 지닌 엄청난 위험성 때문에 세계 석면산업은
침
체일로로 치닫고 있다. 반면 미국의 듀퐁사 등 섬유·화학기업에서는 석면의 대체품을 개발하기 위해 막대한 연구투자비를 쓰고 있다. 현재 몇몇 제품에서는 유리면(glass wool)이나 암면(rock wool)등이 대체재로 ... ...
값싸고 사용에도 편리한 쑥
과학동아
l
1987년 06호
모습이 화타의 눈에 띄었다. 거미가 밑에서 다가가자 벌이
침
을 한방 쏘는 것이었다.
침
을 맞고 떨어진 거미는 한참 몸을 움츠리고 있더니 마당에 떨어져 아직도 타고 있는 담배 부스러기 쪽으로 기어가 벌에게 쏘인 상처를 불에 지지는 것이었다. 뜨거워지면 떼었다가 다시 지지는 식으로 몇번을 ... ...
호남지역 유일의 한의대로 인기높은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과학동아
l
1987년 06호
하게 된다. 남학생들의 병역은 일반사병으로 재학중 입대하는 경우가 가장 흔하나
침
구의정장교시험에 지원, 합격해 장교로 근무하기도 한다는 게 학교관계자의 설명이다. 일반 의대출신의 경우처럼 군의관제도를 추진중이어서 귀추가 주목된다. 한의대를 졸업하면 국가고시를 거쳐 한의사면허를 ... ...
영광과 좌절의 파노라마 한국의 발명가들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기록된 석
침
(돌로 깍아만든
침
)이다. 오늘날 동양권에 많이 퍼져있는
침
술은 모두 이 석
침
에서 유래된 것으로 추측된다. 삼국시대에 와서는 천마총의 벽화보존 방법, 백제 무령왕능의 석실보존 방법 등이 있고 고려시대의 고려청자 제조방법의 발명 및 팔만대장경 목각판 발명은 세계적으로 유래를 ... ...
뇌세포의 조율사 꿈은 머리를 좋게 한다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대뇌의 신(新)피질이 이상하게 발달되어 있다. 크릭은 그것을 문제삼아 REM수면이 없는
침
토룡이나 오리너구리는 꿈의 탈학습기능이 작동되지 않으므로 커다란 신피질을 갖게 되지 않았을까 생각했다. 정보를 버리지 않고 커다란 메모리를 갖는 것으로 대응했으리라 추론된다.만약 꿈을 꾸지 ... ...
이전
55
56
57
58
59
60
61
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