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표준"(으)로 총 1,707건 검색되었습니다.
- 새 패러다임 여는 이동통신 기술과학동아 l2011년 02호
- 기술이 일반화되면, 우리의 생활은 더욱 급변할 것이다.필자는 현재 차세대 이동통신 표준인 LTE용 단말 칩을 개발하고 있다. 이동통신 산업의 핵심인 단말 칩은 10여 년 이상 해외 독점 기업에 고액을 지불해야만 했던 제품이다. 그래서 단말 칩의 국산화는 우리나라의 숙원 사업이었다. 오랜 시간 ... ...
- neutrino 중성미자 경쟁, 한국이 1등 할까?과학동아 l2011년 02호
- 것이다. ‘중성미자 변환’이라 부르는 이 현상은 중성미자에 질량이 있다는 증거다. 표준모형은 수정이 불가피해졌다. 2001년에는 태양에서 나오는 전자중성미자가 타우중성미자로 바뀌는 현상을 발견했다. 세 종류의 중성미자가 서로 바뀌는 비율을 ‘중성미자 변환상수’라고 부른다. ... ...
- 수학의 즐거움 이동통신 이끌다과학동아 l2011년 02호
- 기술은 이런 차세대 이동통신의 핵심이다. 두 기술은 4세대 이동통신인 와이브로와 LTE의 표준방식으로 채택돼 실용화를 눈앞에 두고 있다.이동통신연구실을 이끄는 이광복 교수는 OFDMA와 다중안테나 기술을 설명하기에 앞서 이동통신망 기술을 간략히 설명했다.“이동통신은 음성과 데이터의 ... ...
- Intro. 클락, 이러다 클나!수학동아 l2011년 01호
- 2010년 12월 31일 오후 11시 59분, 미스터 클락의 긴장은 최고조에 이르렀다.숨죽이며 새해맞이 카운트다운을 시작했다. 5! 4! 3! 2! 1! 1! 1!두둥! 이런, 연구실 안의 모든 시계가 멈췄다. 전자시계는 숫자가 바뀌지 않고, 손목시계는 바늘이 멈췄다. 휴대전화는 먹통이고 전자레인지 시계는 00:00으로 깜빡거 ... ...
- PART 3-1. 도전! 나만의 시계 만들기수학동아 l2011년 01호
- 진자시계 아저씨 이야기까지 듣고 나니, 시계가 지금처럼 정확해지기까지 정말 많은 천문학자, 과학자, 수학자, 시계학자들이 얼마나 노력했는지 조금이나마 알 것 같아.어이쿠. 해시계 할아버지는 지금 오셨네. 할아버지~ 왜 이렇게 늦게 오셨어요! 조금만 더 있으면 해가 뜨겠어요.예끼! 이놈. 늦 ... ...
- 2011 클락스토리 시계들의 반란을 잠재우다수학동아 l2011년 01호
- 항상 정확한 시각을 기록하고 연구하는 미스터 클락.그는 낮에 신문사 기자로 활약하고, 밤에는 인류 평화를 위해 세상에서 가장 정확한 시계를 연구하는 데 힘쓰고 있다. 그의 연구실에는 온갖 시계들이 째깍거리며 그들의 이야기를 쉼 없이 전한다. 2010년의 마지막 날인 오늘, 뭔가 수상하다. 시 ... ...
- Part 1-1. 1초의 위대함, 오차 0에 도전!수학동아 l2011년 01호
- 컴퓨터의 시각을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에서 유지하고 있는 서버에 접속해 대한민국 표준시와 같은 현재 시각을 알려 준다. *근삿값측정값과 같이 참값에 가까운 값을 그 참값에 대한 근삿값이라고 한다.*오차근삿값을 측정할 때는 측정하는 도구의 눈금에서 가까운 수를 읽으므로 실제 값과의 ... ...
- Part 2-2. 지금의 시계가 있기까지수학동아 l2011년 01호
- 너희의 말을 들으니까, 시계가 정말 대단한 일을 하고 있구나. 진짜 피곤하겠다. 그동안 모른 척했던거 진심으로 사과할게. 아 참! 그런데 수정아, 너희가 발명되기 전에는 어떤 재료를 이용해서 시계를 만들었어?내가 발명되기 전까지는 톱니바퀴나 진자를 이용해 시계를 만들었어. 난 지금도 톱니 ... ...
- 수학을 쓰려거든 연필로 쓰세요수학동아 l2011년 01호
- 세계에서 가장 큰 연필세계 표준연필은 굵기 약 6mm에 길이는 19cm다. 2007년 미국에서는 표준연필의 120배가 넘는 연필이 등장했다. 길이 23.23m, 무게 9752kg인 초대형 연필은 연필심의 지름도 25cm가 넘는다. 연필 끝을 뾰족하게 만들기 위해 목수 두 명이서 전기톱과 도끼를 이용해 꼬박 이틀간 고생해야 ... ...
- Part 2. 비소 박테리아는 진실인가 실수인가과학동아 l2011년 01호
- 천천히 자라면 그보다 적은 인으로도 살 수 있다는 것이다.레드필드 교수는 연구팀이 표준적인 실험 절차를 지키지 않아 박테리아에서 뽑아낼 때 DNA가 오염됐을 가능성도 제기했다. 레드필드 교수는 “박사 과정 학생이 이 데이터를 가지고 왔다면 다시 실험실로 돌려보냈을 것”이라며 연구팀을 ... ...
이전55565758596061626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