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족
불충분
궁핍
모자람
가난
빈곤
결여
뉴스
"
결핍
"(으)로 총 661건 검색되었습니다.
세균과 바이러스, 누가 더 위협적인가
2015.06.13
항바이러스제의 약효가 제대로 발휘되지 않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최초의 후천면역
결핍
증(AIDS·에이즈) 바이러스 치료제인 아지도티미딘(AZT)도 개발된 지 얼마 안 돼 바이러스가 약물을 인식하면서 결국 쓸모없게 됐다. 반면 세균은 1928년 영국 미생물학자인 알렉산더 플레밍이 항생제 ... ...
25년에 한번꼴로 전염병 대유행… ‘독감’이 가장 위협적
2015.06.13
추정된다. 학계에서는 아프리카에 서식하는 야생 원숭이에게 감염되는 원숭이면역
결핍
바이러스(SIV)가 사람에게 전염된 뒤 변이를 거듭하면서 HIV로 발전한 것으로 보고 있다. 일부 학자는 이 과정에서 문란한 매춘문화 때문에 생긴 매독 같은 성병이 HIV의 전염력을 강화했을 것이라고 설명한다. 200 ... ...
전염병과 싸우는 사람들
2015.06.13
랑어 박사는 에이즈 치료 연구에 뛰어들기로 마음먹었다. 그는 이후 인간면역
결핍
바이러스(HIV)에 감염된 사람의 혈액에서 특정 바이러스의 단백질이 많이 나오는 것이 에이즈 증상 발현의 징후라는 사실을 새롭게 발견했다. 이는 단백질이 발현되기 전에 항바이러스제를 이용하면 증상을 막을 수 ... ...
내 손톱 살피면 건강 상태 알 수 있다? 손톱으로 보는 건강 눈길
동아닷컴
l
2015.06.12
숟가락 등부분처럼 완만한 곡선을 이뤄야 하지만 그 반대의 모양으로 함몰된다면 철
결핍
성 빈혈을 의심해볼 수 있다. 손톱은 본래 단단하지만 건조하거나 갑상선 기능이 저하되면 약해진다며, 이와 동시에 체중이 감소하고 머리카락도 얇아지고 잘 끊어지는 경우가 나타날 수 있으니 주의가 ... ...
[메르스 업데이트] 인간은 바이러스를 어떻게 막아내는가
2015.06.06
뎅기열은 여러 번 걸릴 수 있다. 후천성면역
결핍
증(AIDS·에이즈)을 일으키는 인간면역
결핍
바이러스(HIV)도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를 골라 죽이는 T세포를 감염시켜 인간의 면역체계를 무력화시킨다. ● 치사율 100%는 바이러스 생존에 불리 바이러스가 인체 면역체계를 뚫고 들어와 숙주를 ... ...
[건강한 우유]단백질·칼슘 듬뿍… 차갑게 마시면 더욱 고소
동아일보
l
2015.05.29
고소한 맛을 더욱 크게 느낄 수 있다. 남녀노소 모두에게 좋은 우유 노인들은 단백질
결핍
에 따른 영양 상태의 악화에 주의해야 한다. 단백질은 탄수화물, 지방과 함께 3대 영양소 중 하나로 몸을 구성하는 동시에 기능을 조절하는 성분이다. 단백질을 구성하는 아미노산에는 몸속에서 합성이 가능한 ... ...
키 153cm 체중 76kg 기철이, 당뇨-고지혈증 발병 ‘빨간불’
동아일보
l
2015.05.29
키의 제곱으로 나눈 수치)가 32가 넘는 고도 비만이다. 여기에 몇 년 전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ADHD)’라는 진단을 받고 치료제를 복용하고 있다. 기철이는 또래보다 뼈가 빨리 자라는 조숙증도 있었다. 부모가 모두 키가 큰 편이라 성인이 되면 178cm까지 커야 하지만, 비만과 조숙증이 계속된다면 ... ...
이번엔 정말 금연? 성공 실패는 이미 정해졌다
2015.05.13
이번이 처음이다. 맥넌 교수는 “우울증 치료에 쓰이는 경두개자극치료(TMS),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치료에 쓰이는 뉴로피드백(Neurofeedback) 등을 적용하면 정신과적 치료로 금연을 유도할 수 있을 것”이라며 “금연치료를 위해 연구되던 뇌섬엽 기능조절 약물 연구에 활기를 불어넣을 수 ... ...
ADHD에 대한 오해 5가지 공개…“ADHD 앓으면 성공하기 어렵다? NO!”
동아닷컴
l
2015.05.12
ADHD에 대한 오해 5가지 공개…“ADHD 앓으면 성공하기 어렵다? NO!” ADHD, 즉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를 진단하는 경우는 증가 중이지만 아직 ADHD에 대한 일반의 이해가 부족해 다양한 오해들을 낳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ADHD에 대한 오해 첫 번째는 ADHD가 질병이 아니라는 것이다. ADHD의 존재를 ... ...
이래도 화성에 가시겠습니까?
2015.05.05
“장기간 우주 방사선에 쪼이면 영구적인 뇌 손상으로 인지능력 감소, 주의력
결핍
등이 일어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우주인들이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는 수면실 등을 차폐하는 방법으로 우주방사선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는 방안들이 강구되고 있지만 투과력이 높은 고에너지 우주방사선은 ... ...
이전
55
56
57
58
59
60
61
62
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