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견본
본보기
모델
표본
자모
원형
틀거
뉴스
"
모형
"(으)로 총 860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아픔까지 느껴지는 의수(義手) 개발했다!
2018.06.26
그만큼 민감하고 섬세한 부위라는 말이다. 신체 부위가 이 면적에 비례하게 만든 사람
모형
이 바로 감각 호문쿨루스로 상당히 기형적인 형태다. 11년 동안 팔과 소통이 끊긴 원숭이 뇌의 체감각피질에서 손을 담당하는 영역은 예상대로 손을 흔들어도 발화하지 않았다. 그런데 무심코 얼굴을 ... ...
머리 큰 인류는 어떻게 태어났을까
2018.06.08
밝혀 네이처 5월 23일자에 발표했다. -인류 초기 조상(왼쪽)과 현생인류의 두개골과 뇌
모형
. -사진 제공 시카고대 특이한 것은 사회적 관계를 맺고 협력 또는 경쟁하는 게 외려 뇌 크기를 줄일 수 있다는 지적이다. 곤살레스포레로 연구원은 “협력과 집단 간 경쟁은 다른 사람의 기술에 의존하게 ... ...
생명 진화 비밀은 접히고 펴지는 단백질의 특수 구조
동아사이언스
l
2018.05.29
리더는 “진화는 단백질이 기능하는 방법을 매우 효과적으로 찾아낸다. 이번 진화
모형
은 단백질 기능과 유전, 진화를 한 모델로 설명한다는 점에서 최초다”라며 “미래에는 이 연구를 단순한 모델이 아닌 실제 단백질에 적용하는 방법을 모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미국 ... ...
분해 안 되는 펩타이드 약물 개발
과학동아
l
2018.05.29
4월 30일자에 발표했다. 이중 가교를 이용한 펩타이드의 고리 구조를 도식화한
모형
. - Christian Heinis 제공 펩타이드는 아미노산이 여러 개 연결된 형태로, 펩타이드 치료제는 소량으로도 효과를 볼 수 있어 차세대 약물로 꼽힌다. 단백질과 구조가 유사해 거부 반응이 없다는 것이 장점이지만, 혈액 ... ...
"이젠 식사 때마다 '미생물 먹이'도 챙겨 드세요'
동아사이언스
l
2018.05.23
등 ‘마이크로바이옴’ 전문기업 천랩의 천종식 대표가 인체를 미생물 덩어리로 표현한
모형
옆에 섰다. 식사 때마다 ‘미생물 먹이’도 챙기라고 권하는 그는 “스스로를 미생물 박애주의자라고 불러야겠다”며 웃었다. -사진 제공 윤신영 기자 이 기사를 읽고 나면 식사 때마다 보이지 않는 몸속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우리 눈을 감쪽같이 속이는 선물상자의 비밀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8.05.22
그림을 그려요. 펜로즈 삼각형은 원근법을 사용해 우리 눈을 속인 경우에요. 우리가 만든
모형
은 특별한 각도에서만 펜로즈 삼각형처럼 보여요. 이 각도에서 우리의 뇌는 현실에서 있을 수 없는 2차원 장면을 3차원 도형이라고 상상하면서 혼란에 빠지게 된답니다. *출처 : 어린이과학동아 10호(2018. ... ...
월드컵보다 기대되는 입자물리학계 축제, ‘아이챕’ 7월 한국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5.17
013년 노벨상의 대상이 된 힉스 입자가 1964년 처음 언급된 입자와 같은 것인가 △우주 표준
모형
의 최대 난제, 중성미자의 질량은 왜 그렇게 작은가 △중력파를 포함한 다중신호천문학으로 무엇을 할 수 있는가 △ 반물질이 사라진 이유 그리고 암흑물질과 암흑에너지 실증연구의 현황은 어떠한가 △ ... ...
창의력 비결은 잠...수면 중 기억-창의력 관계 모델 제시
동아사이언스
l
2018.05.16
것이다. 루이스 교수는 “태양을 중심에 두고 지구가 도는 태양계의
모형
과 원자
모형
이 닮았다는 것을 지금은 누구나 안다”며 “하지만 러더퍼드시대에는 이는 전혀 별개의 문제 였다”고 말했다. 그의 모델에 따르면, 비렘 수면 때 러더퍼드의 머릿속에 양성자에 대한 기억이 반복 재생되다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나이가 들면 왜 효자손이 필요할까
2018.05.08
피부도 가려움에 취약 연구자들은 이런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가려움의 신경회로
모형
을 제시했다. 즉 젊은이의 피부에서는 가벼운 물리적 자극을 받았을 때 억제신호를 보내는 메르켈 세포와 활성신호를 보내는 미지의 세포(아직 실체를 규명하지 못했다)가 함께 작용해 적당한 수준의 가려움을 ... ...
[2018년 필즈상] 물리 문제 푸는 수학자 휴고 듀밀-코핀
수학동아
l
2018.05.06
초소형 자석처럼 자성을 갖는데, 이 성질을 수학적으로
모형
화한 것이 이징
모형
입니다.
모형
이 간단한데다 정확한 해를 구할 수 있어 고체 물리학에서 매우 중요하지요. 이런 뛰어난 성과에도 불구하고 듀밀-코핀 교수의 이번 필즈상 수상에 대해서는 반신반의하는 분위기입니다. 가장 큰 ... ...
이전
55
56
57
58
59
60
61
62
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