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적출
적발
탐지
간파
발각
탄로
발견기법
뉴스
"
발견
"(으)로 총 10,190건 검색되었습니다.
현생인류-네안데르탈인 4만 9000년 전 첫 사랑 나눴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2.13
발표한 쉬머 연구원 연구팀은 유럽에서 가장 오래된 호모 사피엔스 유골, 독일에서
발견
된 '라니스 집단 ' 유골에서 유전체를 채취하고 분석했다. 이를 통해 네안데르탈인과의 혼혈이 발생한 시점을 역추적했다. 라니스 집단 유골들은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 결과 4만9000~4만1000년 전 유럽 중부 및 ... ...
"거울상 생명체 연구 중단해야…재앙 초래할 수도"
동아사이언스
l
2024.12.13
왼손과 오른손처럼 두 가지 거울상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자연에서는 한 가지 형태로만
발견
되며 인위적으로 좌우가 바뀐 형태를 만들 수 있다. 가령 DNA는 오른손 방향으로 꼬이는 나선형 구조를 갖고 있다. DNA와 RNA는 ‘오른손잡이 물질’, 단백질을 구성하는 아미노산은 ‘왼손잡이 ... ...
태양 닮은 별들, 100년에 한번씩 '슈퍼 태양폭풍'
동아사이언스
l
2024.12.13
연구원 팀은 태양과 비슷한 별들이 예상보다 더 자주 슈퍼플레어를 일으킨다는 사실을
발견
하고 연구 결과를 12일(현지 시간)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공개했다. 슈퍼플레어는 태양과 같은 별(항성)의 활동이 격렬해지면서 어마어마한 양의 고에너지 입자와 방사선 등을 폭발적으로 방출하는 ... ...
[동물do감] 뼈보다 빨리 성장하는 피부, 악어의 독특한 비늘 패턴 비밀
동아사이언스
l
2024.12.12
"악어의 비늘은 간단한 기계적인 작용을 통해 스스로 표면 형태를 구성하는 것을
발견
했다"며 "악어가 성장하면서 비늘엔 불규칙한 기하학적 패턴이 형성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보통 다른 동물의 비늘은 생성 과정에서 유전적 작용의 영향에 놓이는데 악어는 확연히 다른 방식으로 비늘을 형성하는 ... ...
올해 과학기술유공자에 불소화학 권위자 고 박달조 박사 등 6인
동아사이언스
l
2024.12.12
규명했다. 과산화수소의 세포 내 역할 규명, 새로운 항산화효소 퍼옥시레독신(Prx)을
발견
하는 등 세포 신호전달 연구를 선도하고 후학 양성을 통해 국내 생명과학 연구 수준을 끌어올린 업적을 인정받았다. 채영복 박사는 생리활성 화합물의 새로운 합성법을 개발해 수입에 의존하던 국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2023년 '이상 고온' 미스터리 열쇠는 '알베도'
2024.12.11
세레스의 2023년 지구 알베도 데이터가 평년(이전 20년 평균)보다 크게 낮아졌다는 사실을
발견
했다. 이런 경향은 특히 북반구 중위도와 열대(저위도)에서 두드러졌는데, 바로 이상 고온이 심했던 지역이다. 시뮬레이션 분석 결과 2023년 지구 알베도 감소는 이상 고온에 0.22℃ 상승만큼 기여한 것으로 ... ...
"우주, 기존 예측보다 빠르게 팽창할 수도"
동아사이언스
l
2024.12.10
계산할 때 사용하는 값은 허블상수다. 미국 천문학자 에드윈 허블이 우주가 팽창한다는
발견
을 학계에 보고하면서 우주의 팽창 속도를 계산할 때 제시한 값이다. 허블상수는 우주가 팽창하는 속도를 나타내며 우주 나이와 반비례한다. 하지만 천문학계에는 허블상수에 관한 난제가 있다. 우주를 ... ...
충·방전 시 팽창하는 실리콘 음극재 해결 단서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2.10
방전 중 부피가 팽창하는 실리콘 음극재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적 실마리가
발견
됐다. 배터리 시스템 전반을 개선해 문제를 해결하는 접근 방식이다. 연세대는 이상영‧이용민 화공생명공학과 교수팀이 LG에너지솔루션과 함께 실리콘 음극재가 충방전시 팽창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 ...
지름 10m 불과한 초소형 소행성까지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2.10
소행성을 찾는 데 유리하다. 정밀 분석 결과 지름 100m 이내의 작은 소행성 138개가 새로
발견
됐다. 그중에는 지름 10m 정도로 지금까지 소행성대에서 관측된 소행성 중 가장 작은 것도 있었다. 작은 소행성을 관측하면 운석의 기원에 대한 단서를 찾고 지구로 접근할 가능성이 높은 작은 소행성의 ... ...
누에 모방해 '친환경 인공 섬유'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2.09
내에 다량으로 존재하는 칼슘이온이 실크 단백질을 응축된 상태로 상분리시킨다는 점을
발견
했다. 실크 단백질은 웅축되면 6배 이상 농축되면서도 유동성을 유지했다. 연구팀은 누에 실샘 내의 환경을 모방해 산성화를 유도하면 실크 단백질 응집체들이 서로 연결되고 전단력(층밀리기힘)을 ... ...
이전
55
56
57
58
59
60
61
62
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