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cell
감옥
교도소
감방
szell
쎌
샐
뉴스
"
셀
"(으)로 총 1,074건 검색되었습니다.
원자 하나까지 세밀하게 보는 가장 정교한 '나노입자 촬영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4.03
그래핀 두 장 사이에 끼우고 마치 코팅하듯 두 그래핀을 밀봉해 일종의 용기인 ‘액체
셀
’을 만들었다. 그 뒤 ‘액상 투과전자현미경(Liquid cell TEM)’을 이용해 전자를 투과시켜 액체 속 나노입자의 영상을 1초에 400장의 속도로 촬영했다. 시료 속 원자는 끊임없이 회전하기 때문에 정확한 구조와 위치 ... ...
줄기세포 치료제 '
셀
그램-AKI', 코로나19 치료목적 사용승인 받아
동아사이언스
l
2020.03.30
코로나바이러스를 일으키는 사스코로나바이러스-2의 모습(먼 그림)과, 인체 세포 침입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스파이크 단백질(오른쪽 앞)의 모 ... 확률이 더 높다. 파미
셀
은 연세대학교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 등에서 코로나19 환자에게
셀
그램-AKI를 정맥 투여할 계획이다. ... ...
파미
셀
"줄기세포치료제, 코로나19 치료목적 사용승인"
연합뉴스
l
2020.03.30
과도하게 반응해 정상 세포까지 공격하는 현상을 일컫는다. 파미
셀
에 따르면
셀
그램-AKI는 급성 신(콩팥) 손상을 막기 위한 동종 중간엽 줄기세포치료제다. 현재 임상 1상을 진행 중이다. ... ...
'약물 표적' 코로나19 바이러스 복제 효소 3D 정밀 지도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3.22
μM)로 나타났다. 중국과학원 우한바이러스연구소 연구팀이 지난달 국제학술지 ‘
셀
리서치’에 보고한 연구에 따르면 코로나19 치료 후보들로 꼽히는 에볼라 치료제 렘데시비르의 EC₅₀는 0.77μM, 항말라리아제인 클로로퀸은 1.13μM로 측정됐다. 하지만 두 약물은 부작용이 있다는 점에서 한계가 ... ...
코로나19 바이러스 구조 점점 자세히 보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3.11
단백질이 끊어지는 부위가 있다는 점이 다르다고 밝혔다. 이 연구 결과 역시 7일 ‘
셀
’에 발표됐다. 비슬러 교수팀은 사스코로나바이러스-2 스파이크 단백질을 극저온현미경을 이용해 관찰해 정확한 구조를 밝혀 백신이나 치료제에 활용할 중요한 단서를 제공했다(위 사진). 두 연구팀은 연구 ... ...
[강석기의 과학카페]스트레스는 어떻게 흰 머리카락을 늘리나
2020.02.18
취임할 때 모습과 비교하며 미국의 대통령이라는 자리가 불과 4년 만에 머리가 하얗게
셀
정도로 스트레스가 심하다고 해석했다. 이에 대해 오바마는 “머리가 일찍 세는 건 유전일뿐”이라며 자신은 대통령 일을 즐긴다고 주장했다. 반면 영부인 미셸은 “남편의 결정 하나하나에 세계가 영향을 ... ...
"2번 환자 치료한 에이즈약 부작용 가능성" 안전한 치료제 개발에 AI도 뛴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2.05
렘데시비르 만큼의 억제 효과를 보인다는 사실을 알아내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
셀
' 4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클로로퀸이 세포 내 산성도를 높여 바이러스가 세포에 침입하는 과정을 방해하는 것으로 분석했다. 이 약물은 사스 코로나바이러스에서도 역시 비슷한 작용을 해 억제효과를 ... ...
"아프리카인도 네안데르탈인 DNA 다수 보유"
동아사이언스
l
2020.01.31
2504명의 게놈 데이터와 비교해 이 같은 결과를 얻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
셀
’ 30일자(현지시간)에 발표됐다. 연구팀은 2013년 해독된 네안데르탈인 게놈 데이터를 일종의 비교 기준으로 삼은 뒤, 수천 명의 게놈 데이터를 확보해 해독하는 영국의 의료 프로젝트인 ‘1000게놈 프로젝트’로 ... ...
긁혀도 스스로 회복하는 웨어러블 센서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21
붙는 것이다. 연구에 참여한 김선미 화학연 연구원은 “수소결합으로 기계적 강도가
셀
뿐 아니라 자가치유 속도가 놀라울 정도로 빨라졌다”며 “3mm 두께의 절단된 소재가 상온에서 1분 후에 아령 1kg을 들 수 있을 정도의 강도로 회복된다”고 말했다. 초고속 자가치유 소재를 자르고 다시 ... ...
"항암제 저항 흑색종, 세포 골격 바꾸는 약점 찾았다"
연합뉴스
l
2020.01.15
분포한다. 영국런던퀸메리 대학교 과학자들은 관련 논문을 13일(현지시간) 저널 '캔서
셀
(Cancer Cell)'에 발표했다. 온라인(www.eurekalert.org)에 올라온 논문 개요 등에 따르면 흑색종 세포는 두 가지 종류의 세포 골격 단백질의 활성도를 높임으로써 특정 돌연변이 유전자를 겨냥한 면역치료와 ... ...
이전
55
56
57
58
59
60
61
62
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