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루
대
줄거리
요점
개요
개략
스토리
뉴스
"
줄기
"(으)로 총 1,350건 검색되었습니다.
코로나19 일일 환자 다시 200명선…대구·서울 다시 늘고 세종청사도 뚫려
동아사이언스
l
2020.03.11
코로나19 치료제·백신 개발 어디까지 왔나 *코로나19 치료할 항체 후보 3개 찾았다 *中
줄기
세포로 코로나19 중증 환자 치료했다 신종 바이러스의 특징 *코로나19, 40대 이하 치명률 독감과 비슷…50대부터 '위험' *'코로나 증상 나타나면 사람 접촉 마세요'…"증상 나타난 뒤 5일 이내가 감염력 정점 ... ...
"HIV·암 환자 모두에게 희망되고 싶어" 사상 두 번째 HIV 완치 환자 애덤 카스티예호
동아사이언스
l
2020.03.10
치료를 통해 치료를 하는 경우가 많지만, 상태가 나쁠 경우에는 면역세포를 만드는
줄기
세포인 조혈모세포를 이식하는 수술을 해야 한다. 그는 상태가 나빴고, 4년 뒤인 2016년, 결국 위험한 골수이식 수술을 받게 됐다.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IV·노란색)가 면역세포인 백혈구에 침투하는 ... ...
국내 코로나 환자 131명 늘어… "증가 둔화 뚜렷하지만 서울·경기 집단감염 우려"
동아사이언스
l
2020.03.10
바이러스 속여 증식 막고… 세포 침입 원천봉쇄 코로나19 치료할 항체 후보 3개 찾았다 中
줄기
세포로 코로나19 중증 환자 치료했다 신종 바이러스의 특징 코로나19, 40대 이하 치명률 독감과 비슷…50대부터 '위험' 대소변에서도 코로나19 발견...지금까지 밝혀진 코로나19 감염경로는 中 임상 결과 ... ...
코로나19 치료법 중국 연구팀에 인하대 교수 참여
연합뉴스
l
2020.03.04
노화에 따른 면역 기능 저하로 코로나19 감염이 치명적인 경우가 많다"며 "이번 연구는
줄기
세포가 노년층의 면역 기능을 향상하는 새로운 치료 전략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설명했다. 이런 연구 내용을 담은 논문은 저명한 노화와 질환 국제학술지 'Aging and Disease' 최신 호에 발표됐다 ... ...
中
줄기
세포로 코로나19 중증 환자 치료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3.03
치료제인 '칼레트라'다. Abbott 제공 아직까지 중국 외 국가에서는 코로나19 감염자를
줄기
세포로 치료하는 사례가 거의 없다. 어떤 부작용이 나타날지 예측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대부분 의료진은 기존 약물 가운데 코로나19에 대한 항바이러스 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사용하고 있다. 미국 ... ...
[강석기의 과학카페]스트레스는 어떻게 흰 머리카락을 늘리나
2020.02.18
때문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오른쪽은 모낭의 현미경 이미지로 빨간색이 멜라닌세포
줄기
세포(위)와 멜라닌세포(아래)이고 녹색이 교감신경 뉴런이다. ‘네이처’ 제공 ※필자소개 강석기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일했다.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일했다. 2012년 ... ...
80종 넘는 코로나19 치료제 후보 임상시험 진행中
동아사이언스
l
2020.02.17
저장대병원 연구팀은
줄기
세포를 이용한 치료제도 찾고 있다. 연구팀은 생리형 유래
줄기
세포를 주입하고 코로나19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지 비교 실험할 예정이다. TCM 관련 임상시험도 15건이나 진행하고 있다. 가장 기대되는 약물은 발열이나 기침, 인후통 등 감기 증상을 완화하기 위해 ... ...
줄기
세포 운반하는 '초소형로봇' 망가진 무릎 고쳤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2.16
자기장을 주는대로 상처 부위 가까이 이동한 다음 로봇이 녹으면 안에 있던 치료용
줄기
세포가 상처를 치유하는 원리다. 로봇을 토끼 무릎에 주입한 후 전자기 유도장치를 통해 이동시킨다(왼쪽 위). 이후 고정장치에서 나오는 자기장이 로봇을 상처 부위에 계속 머무르도록 한다(왼쪽 아래). ... ...
국내 연구팀 짜게 먹지 못하게 하는 방법 첫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0.02.11
뇌
줄기
는 좌우 대뇌반구와 소뇌를 제외한 뇌의 가운데 부위로 뇌와 척수를 이어주는
줄기
역할을 하는 부위다. 손종우 교수는 “소금 섭취를 제어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분자 수준에서 규명한 것”이라며 “다만 어떤 상황에서 세로토닌이 분비되는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아 후속 연구에서 이 ... ...
쓸모없는 지방덩어리, 알고보니 ‘황금’
동아사이언스
l
2020.02.03
의료용으로 활용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첨단의료기기개발지원센터는 또 지방
줄기
세포 외에도 세포외기질을 이용해 3D 바이오프린팅으로 의료기기를 개발하고 있다. 연구팀은 세포외기질에 있던 세포를 모두 제거하고 원하는 세포를 틀에 집어넣어 인공장기나 오가노이드(실제 장기보다 작게 ... ...
이전
55
56
57
58
59
60
61
62
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