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범위
분야
테두리
한계
범주
영토
지역
스페셜
"
영역
"(으)로 총 880건 검색되었습니다.
보행자 인식해 자동으로 작동하는 볼라드 시스템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1.11
시스템에 태양광 발전기술을 접목했다. 지난 2008년부터 태양광 발전 시스템으로 사업
영역
을 넓혀 태양광용 접속반 및 모니터링 시스템을 설치 운용 중인데, 이런 경험을 기반으로 볼라드 시스템에서 필요한 전력을 태양광 발전을 통해 얻기로 했다. 김광식 ㈜대연씨앤아이 기술본부장은 ... ...
“인증과 실증으로 융합신산업 날개 달아요”
동아사이언스
l
2019.11.06
길을 달려보고 개선점을 찾아 보완할 수 있도록 하는 실증지원을 통해 생기원 기업 지원
영역
의 스펙트럼을 넓히겠습니다.” 지난 7일 서울 여의도 국회 앞에서 김민선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국가산업융합지원센터 소장을 만났다. 이날 국가산업융합지원센터는 이원욱 화성시 국회의원, 노웅래 ... ...
英 버진갤럭틱, 우주관광 벤처 첫 뉴욕증시 데뷔
동아사이언스
l
2019.10.29
1억9600만주가 발행됐다. 우주관광 비즈니스는 상업용 우주 개발 시장에서 생소한
영역
이다. 기존 우주 개발 시장은 통신이나 감시 위성을 위주로 수십년 동안 성장해왔다. 그러나 우주관광은 상업화까지 상대적으로 시간이 오래 걸렸다. 영국 억만장자인 리차드 브랜슨(Richad Branson)이 2004년 ... ...
‘백 투 더 문’ 꿈 실현할 우주산업 생태계 활짝 열린다…2019 국제우주대회 폐막
2019.10.26
등 전통적인 우주 강국들의 전유물이 아닌 자신들의 새로운 도전
영역
으로 개척하려는 신흥국들이 이번 IAC에서 주목받았기 때문이다. IAC를 주관하는 국제우주연맹(IAF)는 내년에 열리는 제71회 IAC를 UAE 두바이에서 열기로 결정했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흡연과 당뇨병 관계 밝혀지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0.19
미국 마운트시나이의대 신경과학부 교수 연구팀은 흡연이 뇌 중간 ‘하베눌라’라는
영역
의 뉴런을 활성화시킨다는 연구결과를 네이처에 발표했다. 하베눌라는 대뇌 신경 회로에서 신경 신호 전달을 중계하는 부분이다. 흡연을 하면 하베눌라 부위의 뉴런에서 ‘니코틴 아세틸콜린 수용체(nAChR ... ...
운동 빨리 배우는 '운동신경'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0.16
데에도 쓰인다. 연구팀은 실험 참가자들을 두 그룹으로 나눠 각각 운동에 관여하는
영역
인 '일차 운동피질'과, 몸의 피부에서 들어오는 감각을 인지하는 '체성감각피질'을 억제했다. 그리고 다음날, 실험 참가자들에게 전날 학습했던 운동을 그대로 재현해보도록 하고 움직임이 얼마나 똑같은지 ... ...
"혁신적인 소재∙부품∙장비 만드는 국가가 패권 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0.15
신 총장은 “소재∙부품∙장비 산업이야말로 우수한 인력과 장인정신이 필요한
영역
이며 일본이 이 분야에서 강한 것도 이런 이유"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한국의 중소기업은 10~20년의 장기간 연구개발을 재정적으로 버티기 어렵다”고 분석했다. 신 총장은 품질 및 가격에서 경쟁력 있는 ... ...
한국, 국제학업성취도평가에서 읽기·과학 8위까지 하락
동아사이언스
l
2019.10.14
이상민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14일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국제학업성취도평가(PISA)에서 한국의 교육경쟁력이 읽기와 수학, 과학에서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 성취수준 비율. 이상민 의원실 제공 OECD 회원국 가운데 한국의 PISA(국제학업성취도평가)
영역
별 순위. 이상민 의원실 제공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 "먼 우주도 태양계와 비슷하다"는 편견 깬 외계행성
2019.10.10
확인할 기술이 없지만 그리 멀지 않은 시기에 외계행성의 생명 역시 본격적인 관측의
영역
으로 들어올 것이다. 태양계 행성에서 생명을 찾지 못하더라도 실망할 이유는 없다. 태양계에는 고작 여덟 개의 행성이 있지만, 태양계 밖에는 수천억 개의 행성이 있다. 외계행성의 발견은 태양계의 역사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하루 주기 변덕은 생체시계 때문?
2019.10.08
대신 망막에 있는 멜라놉신(melanopsin)이라는 수용체가 파란빛의 정보를 뇌의 일주리듬조절
영역
인 시각교차상핵(SCN)으로 전달한다. 파란빛이 들어와 멜라놉신이 활성화되면 SCN은 여전히 낮이라고 해석한다. 그런데 벌써 해가 떨어져 멜라놉신이 잠잠해져야 할 때임에도 백색광 인공조명으로 계속 ... ...
이전
55
56
57
58
59
60
61
62
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