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거대"(으)로 총 1,131건 검색되었습니다.
- [Culture] 우주의 다른 이름은 게임과학동아 l201702
- 외계 종족의 문건에 중요한 기밀이 담겨 있음나. 자체 방어 시스템 활성화 및 정체불명의 거대 질량체 접근은 이와 관련됨* 수정된 퀘스트 목표1. 궤도 스테이션이 중앙 서버로 최근 업로드한 데이터 송신을 마칠 때까지 방어할 것2. 도서관 방어 시스템의 공격을 무효화할 것# 남은 시간 14분 35초 ... ...
- [과학뉴스] 거대로봇 대전!과학동아 l201702
- 영화나 애니메이션에서 사람이 직접 타고 조종하거나, 사람의 움직임을 따라하거나 또는 말을 알아듣고 움직이는 거대 로봇을 본 적이 있는가. 놀랍게도 어릴 적 꿈꿨던 ... 일본, 그리고 국내에서 탄생한 로봇을 만나보자. ▼관련기사를 보시려면? [Future] 큰 녀석들의 전쟁, 거대 로봇 ... ...
- [공룡은 왜? 1화] 공룡의 구애 행동어린이과학동아 l201701
- 아크로칸토사우루스는 몸길이가 11.5m이고, 무게는 7톤, 머리 길이는 1.3m나 되는 거대한 육식공룡이에요. 당시 생태계 먹이사슬에서 가장 상위에 있던 공룡으로, 초식공룡을 주로 잡아먹었지요.구덩이의 크기와 모양은 이 지역에서 발견된 아크로칸토사우루스의 발자국과 매우 비슷했어요. 하지만 ... ...
- Epilogue. 미래 인류가 그릴 우주는 어떤 모습일까과학동아 l201701
- 지금까지 없었던 거대규모의 우주를 관찰하려는 시도가 이제 막 시동을 걸었고, 다양한 거대우주망원경도 몸단장을 마쳤다. 관측과 이론이 지금보다 훨씬 더 발달한다면, 인류가 재구성하는 우주의 모양과 역사는 또 어떻게 바뀌게 될까. 다양한 대안이론에 약간의 상상력을 덧대 ... ...
- [Issue] 파리천체물리연구소과학동아 l201701
- 천문대를 사용하는 건 당연히 아니고요(지어진 지 50년이 넘었습니다). 칠레에 있는 초거대망원경(VLT)과 유럽남부천문대(ESO), 하와이에 있는 캐나다프랑스하와이망원경(CFHT), 그리고 각종 전파천문대와 우주망원경을 이용해 원격으로 관측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IAP는 한 달에 한 번 공개강의를 통해 ... ...
- Part 3. 중력 수정해 가속팽창 설명하기과학동아 l201701
- 이 영역에서는 아인슈타인 이론과 일치해야 한다(태양계 검증). 마지막으로, 우주거대구조의 생성과정을 잘 묘사해야 한다. 가속팽창하는 우주에서는 은하 사이의 거리가 점점 빠르게 멀어지면서 은하단 등의 우주구조가 덜 생긴다.가장 오래된 아이디어는 f(R) 모형이다. 아인슈타인의 중력이론을 R ... ...
- Part 4. 암흑물질, 버리거나 취하거나?과학동아 l201701
- 더블유맵(WMAP)의 관측 결과와 일치했다.현재 수정뉴턴역학은 사실상 수명을 다했다. 우주거대구조 관측이 가속화되고 있는 현재, 은하 규모의 작동원리만을 기술할 수 있는 수정뉴턴역학이 다시 부활할 가능성은 그리 높지 않다. 지금까지의 연구에 따르면, 우주에 분포한 암흑물질은 ... ...
- Part 2. 암흑에너지 없이 가속팽창 설명하기과학동아 l201701
- 본격적으로 형성되는 시기와 비슷하다.우주가 불균일하고 우리가 우연히 그 우주의 거대구조 속 빈 공간(void)에 위치한다고 해보자. 우주는 전체적으로는 감속팽창을 하지만, 물질 밀도가 아주 낮은 우리 근방은 다른 지역에 비해 가속팽창할 수 있다. 물질이 적은 곳은 자체중력이 약해서 팽창률이 ... ...
- [과학뉴스] 다이아몬드에서 지구 맨틀을 보다과학동아 l201701
- 만들어지는 일반 다이아몬드에서는 이런 광물이 발견되지 않았다.연구팀은 “앞으로 거대 희귀 다이아몬드를 활용해 지구 내부의 거동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사이언스’ 2016년 12월 16일자에 발표됐다 ... ...
- Part 5. 인플레이션 끌어안기과학동아 l201701
- 팽창하므로 지평선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이후 수축하는 동안 밀도 요동이 만들어져 거대구조의 씨앗이 된다고 설명한다. 그럴듯 하지만, 검증이 불가능하다는 치명적인 문제가 있다. 급팽창 이론의 문제는, 아마도 우리가 우주초기의 양자론적 중력을 아직 제대로 이해하지 못했기 때문에 ...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