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무선통신"(으)로 총 514건 검색되었습니다.
- 와이파이보다 100배 빠른 라이파이과학동아 l201401
- 넓이는 상상을 초월한다. 가시광선의 주파수 영역은 380THz~750THz(테라헤르츠. 1THz는 1000GHz). 무선통신 전체 주파수보다도 무려 1만 배이상 넓은 것이다. LED색에 따라 사용할 수 있는 주파수가 조금씩 다르지만, 이 광활한 대역에서 자유롭게 통신을 할 수 있다. 캄캄한 곳에서는 쓰지 못한다그런데 ... ...
- 또 하나의 여행, 공항탐험!어린이과학동아 l201324
- 전자칩의 정보를 읽어내 모니터에 띄우지요. 전자여권은 칩과 여권 판독기가 RFID(근거리 무선통신 장치)를 통해 서로 정보를 주고받기 때문에, 판독기에 10㎝ 이내로 가까이 하면 정보가 뜬답니다. 다른 기기로 여권 정보를 읽어낼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여권 인적사항을 알지 못하면 칩의 정보도 ... ...
- 전자칠판에서 스마트폰으로 ‘쓱’어린이과학동아 l201321
- ETRI(한국전자통신연구원)는 컴퓨터나 전자칠판에 띄운 인터넷 동영상을 스마트폰으로 빠르게 보낼 수 있는 ‘스크린간 콘텐츠 이동 및 공유기술’을 개발했어요. 인터넷 사용을 관리하는 ‘제어서버’를 설치하고 여기에 컴퓨터, 스마트폰, 태블릿PC 같은 전자기기를 무선으로 연결하지요. 연결된 ... ...
- Part 1. 그들은 안다! 당신의 모든 것을…과학동아 l201312
- 형태의 통신을 도·감청한다. 처음에 집중했던 것은 국제 통신에 많이 사용된 고주파 무선통신(3~30MHz)이었다. 김재완 영진전문대 전자정보통신계열 교수는 “고주파는 전리층과 지표 사이를 반복해서 반사되므로, 중계기 없이도 지구 반대편까지 전파를 보낼 수 있다”고 설명했다. 미국과 영국은 194 ... ...
- 전자오락을 열심히 하다가, IT 전문가가 됐어요 (정진원 삼성SDS EMS팀 기획파트장)과학동아 l201311
- “어렸을 때 일과의 3분의 1을 전자오락실에서 보냈습니다. 갤러그, 버블버블 등 수 많은 오락을 섭렵했어요. 전자공학과에 가면 전자오락 만들 줄 알았는데….” 국내의 대표적인 정보기술(IT) 시스템통합(SI) 회사 삼성SDS에 근무하는 정진원 EMS팀 기획파트장. 그에게 ‘전자공학을 전공한 계기가 무 ... ...
- 모범생 스트레스 이겨낸 통신 전문가 (최성현 서울대학교 교수)과학동아 l201311
- 서울대학교 관악 캠퍼스. 신공학관이 있는 곳을 가다 보면 다양한 분야의 연구동이 올망졸망 모여 있다. 그 중에서도 뉴미디어통신연구소는 어찌 보면 우리가 가장 자주 접하고 있는 휴대전화와 통신 단말기, 와이파이(Wi-Fi) 등 네트워크를 연구하는 곳이다. 이곳에서 차세대 네트워크 분야 연구 리 ... ...
- Part 3. 신세계 : 뇌 너머의 뇌과학동아 l201309
- 천신만고 끝에 세계지도를 그리는 데 성공한 대항해시대의 지도 제작자와 탐험가들은 이제 완성된 지도를 바탕으로 더욱 빠르고 정확하게 세계를 탐험할 수 있게 됐다. 뇌공학자들은 뇌지도가 비슷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뇌의 신비를 손에 넣은 인류는 스스로의 삶을 어떻게 바꿀까. ... ...
- “MS와 IBM도 우리의 후발주자”과학동아 l201309
- 바로 전기·정보공학부 졸업생들의 넓은 활동 범위다. 반도체, 디스플레이, 전력시스템, 무선통신, 공정제어, 소프트웨어 등등 전기·정보공학부와 관련이 없는 것을 찾는 일이 더 힘들 지경이다. 그래서 학부에 들어온 학생이 4년 동안 해야 할 일은 자신과 잘 맞는 분야를 찾는 것. 학부 과정은 ... ...
- 내 LTE만 느린 이유과학동아 l201308
- 기술도 그 중 하나였다.LTE-A는 기술적으로 광대역 주파수를 확보하면서 속도가 빨라졌다. 무선통신 기술에서 통신 속도를 끌어올리는 또 다른 주요한 방법은 안테나 개수를 늘리는 것이다. 기지국과 단말기가 여러 쌍의 안테나로 동시에 교신할수록 통신 속도는 빨라진다. 요즘 쓰는 LTE 및 LTE-A ... ...
- 우주기지 만드는 빅 엔지니어링과학동아 l201308
- 자료 : ISERI 제공우주개발을 하는 몇 가지 이유우주 개발에 관심을 두는 첫 번째 목적은 ‘우주 이민’이다. 이미 지구는 환경오염, 기후 변화로 멸종됐거나 위기에 빠진 종들이 많다. 인간에게도 대안이 필요해지고 있다. 또 운석충돌의 위험은 항상 잠재적으로 있기에 지구 밖에 삶의 터전을 마련 ...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