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돛단배
배
돛배
요트
지벡
함선
선박
d라이브러리
"
범선
"(으)로 총 45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3 역사상의 거선(巨船)들
과학동아
l
198907
16세기까지만 해도 그렇게 두드러지지 않았던 유럽의 배들이 17·18세기에 크게발달하여
범선
전성시대를 맞이하였다. 우리는 그런 전형을 트라팔가해전(1805) 당시 넬슨제독이 탑승한 영국함대의 기함 빅토리호에서 찾아볼 수 있다. 다음은 빅토리호의 주요요목이다.17·18세기 유럽 열강은 해군력의 ... ...
새출발 다짐하는 소련의 과학계
과학동아
l
198810
밖에 없다.호수는 바이칼호 주변의 교통로 구실도 한다. 여름이 되면 사람들은 보트나
범선
을 이용하며, 겨울에는 썰매나 스키를 이용한다. 선창에서 북쪽으로 수km정도 가면, 이르쿠츠크 천체물리학 연구소가 관장하는, 수백m 높이의 꼭대기에 설치된 태양망원경이 있다. 그곳에서 20km 북쪽으로 ... ...
풍력 발전의 실태 우리나라의 섬지역에 안성마춤
과학동아
l
198806
바람의 힘을 방아(곡식 찧는 기계)의 동력으로 사용하였고, 바이킹의 대명사인 수많은
범선
들은 19세기 말까지도 5대양을 횡단하였다. 네덜란드의 풍차는 설명의 여지가 없는 풍력이용의 예. 이외에도 도처에서 바람의 이용 흔적은 허다하다. 동력원으로서의 바람에너지는 산업혁명 시기를 맞아 ... ...
해시계에서 불시계까지 시계의 발달 시계의 발달①
과학동아
l
198803
매듭 5개가 30분동안 통과되었다면, 그 배는 5노트의 속도로 가는 셈이었다. 19세기까지도
범선
들이 여전히 '통나무를 던졌던 것'은 매시간 속도의 진행을 알기 위해서였다.이렇듯 다방면에 쓰였던 모래시계도 밤시간을 재는 데는 인기가 없었다. 시계를 자주 돌려야 하는 불편함 때문이었다. 때때로 ... ...
우리 고유의 한선(韓船) 황포 돛단배가 복원된다
과학동아
l
198712
처음 싹튼 곳은 충남 연포에 위치한 대한청소년요트학교. 여기서 우리나라 고유의
범선
으로 교육했으면 하는 바람과 아쉬움을 가진 몇몇 청년들이 한선의 자료를 찾아나선 게 계기가 되었다. 이때 40여년간 이 분야를 연구해온 김재근교수와 평생을 두고 뱃노래의 발굴에 매진해온 김순제교수와의 ... ...
이전
1
2
3
4
5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