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부정적"(으)로 총 517건 검색되었습니다.
- [Tech & Fun] 토끼를 잡는 데 전력을 다한 사자는…과학동아 l201602
- 하는 직장 상사의 이름을 종이에 적은 뒤, 그것을 발기발기 찢어 쓰레기통에 버리면 부정적인 생각이 줄어든다.나는 한다, 공부를 반드시아무리 아껴 쓰고 다시 채워도, 의지력은 결국 한정된 자원이다. 때문에 심리학자들은 어떤 일을 할 때 의지력에 의존하기보다는 아예 쓰지 않고도 해야 할 일을 ... ...
- [지식] 설문조사의 함정수학동아 l201602
- 이용해 긍정적인 측면을 부각시킬 때는 ‘보통이다’라는 항목을 설문 문항에 넣고, 부정적인 측면을 부각시킬 때는 빼는 일이 실제로 많이 있었습니다. 특히 정치권에서 대통령이 나랏일을 잘하는지 못하는지 물을 때 조사 기관의 성향에 따라 입맛에 맞게 보기를 만들곤 합니다. 불과 5년 전만 ... ...
- [News & Issue]사회성의 천재, 붉은털원숭이과학동아 l201601
- 이 실험은 아이에게 뽀뽀를 하거나 자주 안아주거나 하는 행동이 아이의 정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믿던 당시 사회 분위기를 완전히 뒤바꿔놓았다. 할로는 비윤리적인 실험을 강행했다는 이유로 여전히 손가락질 받고 있지만, 그가 이 실험을 통해 얻어낸 연구 결과는 인간의 본질을 좀 더 ... ...
- [Tech & Fun]누가 이 고요한 마음에 다시 불을 지피는가과학동아 l201601
- 있다고 발표했다. 연구팀이 30개의 논문을 분석해 보니, 흡연자 중 30~40%가 가정과 사회의 부정적 시선을 민감하게 느끼며, 27%는 자신이 흡연자라는 것 때문에 차별받는다는 생각을 하고 있었다. 또 이것이 스트레스로 이어져 그들은 스스로를 ‘밑바닥 인생’, ‘한심한 사람’, ‘왕따’ 등으로 ... ...
- Part2. 테러리스트 만드는 ‘뇌 속 스위치’ 있을까과학동아 l201512
- 긍정적인 느낌을 주는 사람의 사진을 보여주고 fMRI로 그들의 뇌를 관찰했다. 그 결과 부정적 고정관념이 있는 이들의 사진을 볼 때는 사회적 교감을 담당하는 전전두피질이 비활성화됐다. 연구팀은 전전두피질이 비활성화되면 감정을 담당하는 편도체도 활성이 낮아져 상대의 감정에 공감할 수 있는 ... ...
- Part3. ‘살아남은 자’의 슬픔, 뇌를 위협한다과학동아 l201512
- 글자 수를 세도록 했다. 이때 PTSD 환자와 일반인 모두 중립적인 단어나 보편적으로 부정적인 뜻을 담은 단어에는 뇌에서 뚜렷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전투와 관련된 단어의 글자 수를 셀 때는 달랐다. 일반인에게서는 전방대상피질의 활성이 증가한 반면, PTSD 환자에게서는 변화되지 ...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한다] 한국에서 열리는 세계 중학생 과학 올림픽! 제12회 국제중등과학올림피아드과학동아 l201511
- 만나 시야를 넓히길 바란다.Q. 올림피아드가 선행학습이나 사교육을 조장한다는 부정적인 시선이 있는데IJSO는 단기간의 사교육으로 효과를 보기 어려운 대회다. 실제로 대표로 선발되는 학생들을 보면 대부분 어렸을 때부터 과학에 관심을 많이 갖고 배경지식을 쌓아 왔다. 문제 수준도 대부분 ... ...
- [Hot Issue] 남의 고통은 나의 행복?과학동아 l201510
- ‘내기에서 5달러를 땄다’는 긍정적인 상황보다 ‘택시가 튄 물에 흠뻑 젖었다’는 부정적인 상황에 더 활짝 웃은 것으로 나타났다. 녹색 눈의 괴물을 조심하라“이러고 싶지 않은데 왜 이런 마음이 들까.”아마 친구의 불행에 묘한 기쁨을 느껴 본 사람이라면 대부분 이런 생각을 하게 될 것이다. ... ...
- [과학뉴스] 12살 때 받은 차별 32세까지 간다과학동아 l201510
- 인종차별 경험이 성인이 돼서도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특히 아프리카계 미국인인 경우와 청소년기에 차별을 경험한 경우 이런 경향은 더 강하게 나타났다. 미국 노스웨스턴대 교육및사회정책학과 엠마 아담 교수팀은 평균 나이가 32세인 50명의 아프리카계 ... ...
- [Life & Tech] 우리는 왜 ‘언프리티랩스타’에 열광하는가과학동아 l201510
- 빈도가 적어진 사람들은 게시물을 올릴 때 대조군에 비해 긍정적인 단어는 더 많이, 부정적인 단어는 더 적게 썼다. 반면 긍정적인 게시물에 노출된 빈도가 줄어든 사람들은 정반대의 패턴을 보였다(왼쪽 그래프 참고). 길로리 교수는 논문에서 “이번 연구 결과는 직접적인 접촉이 없더라도 ...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