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새벽
여명
어둑새벽
새벽녁
신명
동틀녘
d라이브러리
"
새벽녘
"(으)로 총 53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자자리 은하트리오 산책
과학동아
l
199304
보셨습니까?" 이번달에 다시 한번 도전해 보자. 이번에는 초저녁의 서쪽 하늘이 아니라
새벽녘
의 동쪽 하늘에서 수성을 볼 수 있다. 수성은 4월 6일 03시에 태양과의 이각이 28도나 되는 서방최대이각이 되므로, 이 날을 전후해 1주일 정도의 관측 적기가 찾아온다. 밝기는 4월 1일 +0.5등급에서 4월 15일 0. ... ...
물병자리는 나일강의 발원
과학동아
l
199209
춘분점의 '궁'(宮)은 중요한 지배 요소이다. 점성가들은 이미 우리가 '물병자리 시대의
새벽녘
'에 들어와 있다고 한다. 이들의 예견대로라면 이 새로운 시대는 과학과 인간성이 조화로운 통합을 이루는 시기일 것이다. 또 예술과 과학은 함께 번성할 것이고 인류는 서로 평화롭게 살게 될 것이다 ... ...
은하수를 건너는 배
과학동아
l
199208
가장 유명한 이 페르세우스 유성우는 8월13일경에 그 극에 이르게 되는데 이 무렵의
새벽녘
에는 1시간에 50개에서 1백개에 이르는 많은 유성이 관측된다. 이러한 유성우가 나타나는 것은 그 기간 동안 지구가 태양 둘레의 궤도에서 혜성의 부스러기 속을 통과하기 때문이다. 혜성이 뿌려놓은 물질들은 ... ...
봄소식 전해주는 동물들의 기지개
과학동아
l
199203
사실은 별들의 세계에서도 세월이 지나면서 밝기가 변하는 것은 그 진화 과정 때문이다.
새벽녘
에 쌍둥이자리가 서쪽하늘로 지는 모습을 보면 카스토르와 폴룩스를 위로 하여 두 줄기의 별이 지평선 상에 똑바로 선 상태가 된다. 이 때의 모습을 잘 보면 커다란 문 기둥이 서쪽 하늘에 우뚝 서 있는 ... ...
세월따라 다양한 모습 선보인다
과학동아
l
199111
보인다. 우리나라에서는 예로부터 저녁때 서쪽하늘에 있는 금성을 '개밥바라기'라 하고
새벽녘
동쪽하늘에 있는 금성을 '샛별'이라 했다. 금성은 지구에서 가까울뿐더러 이산화탄소로 이루어진 두꺼운 구름으로 덮여있어 반사율이 무려 76%에 이른다. 따라서 행성중에서 가장 밝게 빛나 최대 -4. ... ...
금성이 반달처럼 보이는 이유
과학동아
l
199107
보름달의 모습은 '태평연월'이 아닐 수없다.하현달은 상현달과 정반대로 자정쯤 떠서
새벽녘
에 남중한다. 그믐달은 새벽에 떠서 곧 여명 속으로 사라진다. 그믐달이 '비련의 주인공'에 자주 비유되는 이유는 바로 이 때문이다. 내행성의 특성 이제 이야기를 행성으로 돌려 보자. 몇 달에 걸쳐서 ... ...
석기시대 목동들
과학동아
l
199105
것이다. 다른 한가지는 복사점이 떠오르는 시간이 2시 이후가 되기 때문에 실제 관측은
새벽녘
에나 가능하다는 것이다.5월의 길잡이 별/ 봄철의 다이아몬드오렌지 색의 아크투루스가 남동쪽 하늘 높은 곳에서 빛나고, 봄처녀별 스피카가 그 아래에서 반짝인다. 북두칠성과 큰곰자리는 북쪽 하늘에 ... ...
호랑이와 악어의 사투
과학동아
l
199105
도마뱀 등도 잡아 먹는다.호랑이는 야행성으로 활동이 가장 활발할 때는 해질 무렵이나
새벽녘
이다. 나무에는 잘 오르지 못하나 수영은 잘 한다. 그러나 자주 헤엄치는 것은 아니고 그저 얕은 물가에서 목욕을 한다. 이때 악어의 습격을 받게 되면 이리저리 피하는 척 하면서 뭍으로 유인해 잽싸게 ... ...
로마
과학동아
l
199005
9월부터 12월까지는 다른 때에 비해 더 많이 비가 내리지만 대개는 밤에 내리다가
새벽녘
에 그친다. 그래서 비온 다음 날 아침은 하늘도 더 맑고 공기도 깨끗해 상쾌한 기분을 느낄 수 있다.그래서 그런지 로마인들은 대체로 낙천적이고 다정다감했다. 기질은 다혈질이지만 누구에게나 친절하다는 ... ...
1년중 관찰에 가장 적합 겨울밤의 별자리 보기
과학동아
l
198901
태운다'라는 뜻의 그리스어 '세이리오스'가 근원이었다.또 여름에 이 별이 태양과 함께
새벽녘
하늘에 나타날 무렵은, 나일강의 물의 부피가 불어나는 시기이기도 했다. 때문에 고대이집트에서는 '시리우스'를 '소치스'라 칭하고 톡톡히 활용했다. '소치스'가 하늘 위로 올라오는 하지 무렵을 일년의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