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개구리밥
부평초
수선
추렴
수축
징수
d라이브러리
"
수렴
"(으)로 총 231건 검색되었습니다.
심해 열수구엔 그들만의 제국이 있다
과학동아
l
201306
갔다. 이 생태계는 전세계 바다 밑 해양지각판과 판들이 확장하고 있는 중앙해령, 판들이
수렴
하고 있는 섭입대의 호상분지, 그리고 열수작용이 있는 해산 등에 존재한다. 따라서 지리적으로 열수생태계는 마치 고립된 섬들처럼 여기저기 흩어져 분포한다. 한 열수구와 이웃하는 열수구가 수백에서 ... ...
[hot science] 작은 어항이 큰 불 낸다
과학동아
l
201302
초점이 맞으면 발화할 수 있다. 음료수가 들어 있는 페트병을 베란다에 보관할 경우에도
수렴
화재가 일어날 수 있다.유류 화재 중 식용유 화재는 낯설지만 자주 일어나는 편이다. 유류 중 신나, 휘발유는 바로 불이 붙어서 흔히 조심하는 편이지만 식용유에도 불이 붙을 수 있다는 생각을 하는 사람은 ... ...
암흑에너지는 정말 존재할까
과학동아
l
201211
지날수록 우주는 중력중심을 향해 수축할 것이다. 그렇다면 우주는 언젠가 한 점으로
수렴
해 붕괴할 것인가. 아인슈타인은 이런 불안정한 우주 이론을 받아들일 수 없었다. 그는 우주는 아름답고 영원불멸하다고 믿고 싶었다. 그는 임의로 일반상대론 장방정식에 중력에 반하는 에너지 항을 하나 ... ...
에너지 순환, 중위도는 훼방꾼?
과학동아
l
201208
vA<vB<vC 그리고 vC>vD>vE이다. 그 결과 B 지점은 마치 교통체증처럼 기류가 정체(또는
수렴
)하고 D 지점은 발산에 의해 공기가 흩어진다. 그 결과 B 지점에서는 기류가 하강해 지상에 고기압을 만들고 D 지점에서는 기류가 상승해 지상에 저기압을 만든다. 이것은 상층의 편서풍 파동 상태에 따라 ... ...
[시사] 수학으로 배우는 서커스 마다가스카 3
수학동아
l
201207
잘 타는 등 고양이과 동물과 매우 비슷하게 진화했다.포사와 같이 진화한 동물을 ‘
수렴
진화’했다고 말하는데, 이는 조상이 다른 두 생물이 환경에 적응하며 비슷한 외모를 갖게 되는 현상을 말한다. 포사는 여우원숭이들을 잡아먹기 위해 고양이과 동물의 생김새를 갖추게 된 것이다. 이렇듯 ... ...
과학동아로 살펴본 과학 핫이슈
과학동아
l
201108
부설 삼성방재연구소 수석연구원은 “이번에 발생한 지진의 진원이 두 판이 서로
수렴
하는 해구의 경사면이어서 지진해일을 일으킬 만큼 수심이 충분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지진해일의 전파속도는 ‘중력가속도×수심의 제곱근’에 비례한다. 이 공식에 따르면 수심이 6km에 달하는 태평양 ... ...
일본대지진 백두산 분화 촉발할까
과학동아
l
201105
곳(발산경계)이 가장 많다. 매년 대략 3km3의 현무암질 용암이 중앙해령을 따라 분출한다.
수렴
경계에서 분출되는 화산암은 매년 1km3이다.큰 지진이 화산 분화 유도할까지진과 화산은 둘 다 지구가 내부의 열을 지표 밖으로 내보내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규모 9.0의 지진이 발생하는 에너지의 양은 ... ...
Part2. 사상 최악의 지진해일…일본이 울었다
과학동아
l
201104
9의 지진은 처음”이라고 말했다. 따라서 이번 지진은 오래된 해양판을 가진 또 다른
수렴
대 지역에 거대 지진의 시작을 알리는 경고일 수 있다.노스웨스트대의 에밀리 오칼 교수는 “호주 동쪽에 있는 통가 근처와 대서양과 멕시코만에 접한 카리브해의 북동쪽 지역이 해당할 것”이라고 말했다 ... ...
수학교육 문제점, 생활수학으로 해결한다
수학동아
l
201104
개선ㆍ논의사항을 이끌어내고, 이를 토대로 4월 말에 공청회를 열어 종합적인 의견을
수렴
할 계획이다. 그리고 5월까지 수학교육을 개선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확정할 예정이다.수학교육연구센터도 5월까지 창의재단에 설치된다.한편 이번 발표에는 창의재단이 박경미 홍익대 수학과 교수팀과 ... ...
과학자를 매료시킨 ‘상상의 동물학’
과학동아
l
201102
진화한 모습이다. 곤충 먹는 동물(식충목)의 후손인 ‘슈록’은 오소리와 닮았다.
수렴
진화를 고려한 딕슨의 미래의 지구를 보면, 적어도 코쟁이류가 탄생할 가능성은 1억 년 뒤에도 희박할 것 같다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