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문지기
파수꾼
안내원
관리인
잡역부
감시원
보초
d라이브러리
"
수위
"(으)로 총 170건 검색되었습니다.
황당맨의 취재수첩
과학동아
l
201106
패널로 전력을 공급할 수도 있고, 물에 접촉했는지를 판단하는 단자가 있어 자동으로
수위
를 측정할 수 있다.홍수가 일어나 사람이 접근하기 어려울 때 유량과 유속을 측정할 수 있는 대규모입자영상속도계(LSPIV)의 개발도 김 박사팀이 이룬 성과다. LSPIV는 하천을 촬영한 뒤 영상처리 과정을 거쳐 물 ... ...
[수학이 만드는 미래 세상] 미래인터넷, 수학으로 새판 짠다
수학동아
l
201105
서버까지 가지 않고도 동영상을 저장해놓은 가까운 라우터에서 받을 수 있다. 현재 위험
수위
에 다다른 정보전송량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미래인터넷 연구다.사용자중심 네트워크도 만들어진다. 거실에 아버지가 나오면 TV에 뉴스가 나오고, 학생이 등장하면 교육뉴스나 취미와 관련된 내용을 ... ...
Part1. 원전 사고 5가지 핵심 쟁점
과학동아
l
201104
연료봉의 2~2.5배인 8~10m 높이로 물을 채워 둔다. 하지만 이번 사고에서는 이 수조의
수위
가 낮아졌다. 냉각이 멈추면 남아 있는 핵연료가 다시 핵분열을 시작하는 ‘재임계’ 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 공기 중의 중성자가 핵연료에 남아 있는 우라늄과 부딪쳐 핵반응을 유발한다는 주장도 있다. 하지만 ... ...
현장점검-구제역 지하수 3년 뒤 진짜 위기 온다
과학동아
l
201104
가능성이 높다.➍ 매몰지가 지하
수위
보다 낮거나 지나치게 가까울 때 매몰지 바닥이 지하
수위
보다 낮을 때, 유출된 침출수는 지하수로 직접 스며들 수 있다. 이번 사태에서 가장 위험한 지역이다.]침출수는 아직 발생하지도 않았다우선 침출수가 발생해 바닥으로 샜을 가능성이 있다. 공장장 김 씨는 ... ...
‘4대강 살리기’ 현장에 가다
과학동아
l
201007
박창근 교수는 지금이라도 한강을 다시 원래 모습으로 돌릴 수 있다고 주장한다. 한강
수위
를 높이는 역할을 하는 잠실보와 신곡보를 없애면 된다는 것이다.그러면 물 높이가 낮아져 강의 표면적이 10% 정도 줄고 강이 굽이칠 여력이 생겨 지금의 이촌, 난지, 뚝섬 등에는 모래톱이 형성될 수 있다. ... ...
세계 최장 새만금 방조제에 가다!
과학동아
l
201006
드나드는 ‘통선문식어도’라고 설명했다. 통선문식어도에는 방조제의 안쪽과 바깥쪽에
수위
차가 생길 것을 대비해 작은 문이 여러 개로 설치돼 있었다. 문이 차례로 열리면서 배가 서서히 방조제 밖으로 빠져나가는 구조였다. 통선문식어도는 신시배수갑문과 가력배수갑문에 각각 한 개씩 ... ...
‘똑똑한 하천’ 스마트 리버를 아시나요?
과학동아
l
201001
인프라와 3차원 지리정보 시스템, 통합 서비스 운영 시스템이 설치됐다. 그 결과 수질과
수위
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수중 동영상으로 수중 생태를 직접 보면서 환경변화를 관찰할 수 있다. 청계천이 변함없이 시민들의 사랑을 받는 데는 이런 노력이 숨어 있는 셈이다.“청계천에 사람들이 ... ...
사회기반시설 '평생 주치의'는 정보기술
과학동아
l
200910
도저히 체계적인 관리가 어렵죠.”하천관리 시스템도 마찬가지다. 전국 하천의 수량이나
수위
의 변화를 실시간으로 분석해 손금을 보듯 한눈에 파악하는 시스템을 구축하면 이번 무단 방류 같은 예상치 못한 사고가 났을 때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다. 한편 토목에 IT를 접목하는 과정에서 새로운 ... ...
아이스 에이지
과학동아
l
200907
없는 어느 대학
수위
의 주경야독에서 비롯됐기 때문. 제임스 크롤은 대학에서 청소부 겸
수위
로 일하면서 1875년에 ‘기후와 시간’이라는 책을 출간했다. 그는 지구의 공전궤도가 바뀌면 지표면에 도달하는 열 균형에 변화가 생겨 빙하시대가 도래한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크롤의 주장에는 정확한 ... ...
소행성이 혜성으로 변신한다고요?
과학동아
l
200903
세웠다가, 2003년엔 NEO의 크기 기준을 ‘140m 이상’으로 내리며 경계태세
수위
를 높였다. 지름 140m면 대도시 하나를 날려 버릴 정도다.한국천문연구원 우주과학연구부 최영준 박사는 “더 작고 어두운 천체를 찾으려고 노력하다 보니 그 노력의 부산물로 태양계 외곽에 있는 소천체인 카이퍼벨트천체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