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미국
USA
미국인
american
d라이브러리
"
아메리칸
"(으)로 총 127건 검색되었습니다.
양자에 ‘순간이동’ 이름 붙인 주인공 찰스 베넷
과학동아
l
200810
‘transporter’라는 용어를 쓴다.마틴 가드너(미국의 유명한 과학저술가)가 ‘사이언티픽
아메리칸
’에 ‘스타트렉’에 관해 쓴 글을 흥미롭게 읽었다.1993년 논문을 발표했을 때 순간이동이 황당한 생각이라는 비난을 받지는 않았나?전혀 아니다. 연구에 참여한 우리 6명은 확신을 갖고 있었다.노벨상 ... ...
근육이 내는 소리로 질병 진단
과학동아
l
200802
상태를 알 수 있고 나아가 건강 상태도 진단할 수 있을 것이라고 미국의 과학잡지 ‘
아메리칸
사이언티스트’ 1·2월호에 발표했다.사브라 교수팀은 건강한 성인 남성의 넓적다리 피부에 소리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 16개를 1.3cm 간격으로 부착했다. 그 뒤 실험자의 무릎 위에 물체를 올려놓아 근육이 ... ...
양방향메시징서비스(MO)
과학동아
l
200712
성장하면서 다양한 형식의 MO가 방송프로그램에 적용되기 시작했다. 설문투표형은
아메리칸
아이돌처럼 수많은 시청자가 짧은 시간 동안 문자메시지로 설문 또는 투표에 참여한 결과로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방식이다. 채팅형의 경우 프로그램의 진행자가 여러 사람이 보낸 메시지를 보면서 직접 ... ...
PART1 과학으로 디자인한 콘셉트카
과학동아
l
200703
‘카마로’(Camaro)를 꼽을 수 있다. 카마로는 1960년대 전형적인 미국 스타일의 스포츠카 ‘
아메리칸
머슬 카’(American muscle car)를 미래지향적으로 재해석했다. 지난해 현대자동차가 발표한 ‘헬리언’(Hellion)도 사나운 성격의 동물을 연상시키는 동시에 사이버 느낌을 강조했다. 연료전지가 탄생시킨 ... ...
DAY3-4 스페이스십투 타고 우주 가볼까
과학동아
l
200612
무중력 상태를 느낄 수 있다.현재 판매 중인 미그 전투기 상품은 3가지다. ‘그레이트
아메리칸
데이즈’가 판매하는 미그-25는 최대 마하 약 3까지 속도를 낸다. 비용은 1만700달러(약 1000만원)다. 스페이스 어드벤처스가 제공하는 미그-29 탑승 체험은 최대 마하 2.3(약 2816km/h)으로 비용은 7850달러(약 73 ... ...
3. 사랑은 변하는 거야
과학동아
l
200607
부러움의 대상이다. 그래서 자신의 성경험을 과장해서 떠벌이는 경우가 꼭 있다. 영화 ‘
아메리칸
뷰티’의 여고생 안젤라는 다양한 성경험을 자랑하면서 친구들을 애송이 취급한다. 하지만 안젤라는 한번도 남자와 잠자리를 같이 한 적이 없다.04_ 내곁에 있어줘(Be with me)혹시 내가 동성애자? ... ...
똑똑하게 해 주세요, 하느님
과학동아
l
200603
새로 생긴 덕택이다. 뇌 발달은 몸의 움직임과 긴밀히 연결돼 있다.미국교육전문지 ‘
아메리칸
스쿨보드 저널’ 최신호는 캘리포니아 주교육청 조사결과를 인용해 운동을 많이 할수록 뇌 활동이 활발해지고 학업성취도가 올라간다고 보도했다. 그러니 수술로 뇌 용량을 늘린다는 먼 나라 이야기를 ... ...
PART1 과학잡지가 바꾼 세상
과학동아
l
200601
있는 유력 과학지가 사이언티픽
아메리칸
이다. 과학과 자연을 보는 창사이언티픽
아메리칸
은 황우석 교수를 올해의 연구분야 리더 50인과 최고 3인의 하나로 선정했다가 최근 명단에서 제외한다고 발표하여 우리를 또 한번 우울하게 만들었다. 이 잡지는 19세기 중반 미국에서 일반인에게 ... ...
구름 위에서 즐기는 웹서핑
과학동아
l
200506
시스템의 안전을 보장하는 조건으로 기내 사용을 긍정적으로 검토하기로 했다. 이에
아메리칸
항공 등은 시험비행을 거쳐 기내 휴대전화 통화 기술을 2006년쯤 상용화할 예정이다 ... ...
뇌에도 유쾌한 운동이 필요하다
과학동아
l
200503
연재하고 있다. 세계 수학퍼즐의 일인자인 미국의 마틴 가드너가 ‘사이언티픽
아메리칸
’에 1957~1981년까지 25년 동안이나 수학퍼즐을 연재한 것이 너무나 인상 깊어 자신도 꼭 한번 해보고 싶었기 때문이다. ‘한국의 마틴 가드너’라고나 할까.정수론이 전공인 그는 현재 박사논문에 그의 모든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