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염색법
염색업
착색
물들임
d라이브러리
"
염색
"(으)로 총 268건 검색되었습니다.
엄지공주도 깜짝 놀란 마이크로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1023
오츠나 박사●미국 유타 의과대학 신경생물과 해부학과●배율 20배다양한 색으로
염색
된 제브라 피쉬의 머리가 마치 외계인같다. 척추동물인 제브라피쉬는 폐를 제외하고 인간이 가진 장기를 모두 갖추고 있다. 어때? 세밀하게 들여다보니 생물들이 정말 멋지지 않니? 이런! 시간이 벌써 이렇게 ... ...
짜릿한 전기 세상이 온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011
옷을 만드는데 쓰는 보통의 섬유를 탄소 나노튜브를 섞어 전기가 통하는 잉크로
염색
했는데, 옷을 빨거나 잡아 당겨도 전기를 전하는 능력이 줄어들지 않았어요. 게다가 충전도 가능해 마치 전지처럼 사용할 수 있답니다.*나노미터 : 1㎝보다 1000만 배 작은 길이.버려지는 에너지도 다시 보자 ... ...
식물 속 천연색소를 찾아라
과학동아
l
201010
색띠 만드는 크로마토그래피먼저 식물 색소 분리에 최초로 성공한 츠베트의 실험에 대해 알아보자. 그는 잎의 색소를 석유 에테르에 녹인 다음, 석회석 가루를 채운 유 ... 좋다는 장점이 있다. 우리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로 부모님의 오래된 손수건을 천연
염색
해드리면 어떨까 ... ...
빛이 갇힌 세계에서 만든 나노광학현미경
과학동아
l
201009
자외선을 사용하는 이유는 세포 같은 바이오 샘플이 자외선을 쬐면 자체발광이 일어나
염색
이 필요 없기 때문이다. 또 자외선이 LED의 재료인 갈륨나이트라이드나 징코사이드를 활성화시킬 수 있어 LED를 연구하는 데도 유리하다. 정 연구원은 “고등광기술연구소에 성능 좋은 레이저 장비가 잘 ... ...
염색
의 진화, 쪽빛부터 카멜레온까지
과학동아
l
201008
만들 수 없는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색을 창조했다.‘익살맞은’ 과학자들은 이제
염색
을 넘어 색을 띠지 않는 의상에도 주목하고 있다. 바로 투명 의상이다. 섬유입자에 스크린 역할을 하는 미세유리를 가공해 붙인 뒤 특수 카메라로 촬영하면 빛이 굴절하면서 물체의 뒷모습을 비춘다. ... ...
세상을 바꾼 재료? 미래를 바꿀 재료!
어린이과학동아
l
201006
새롭게 바뀌며 다른 색을 낸다. 카멜레온 전투복은 전투복의 섬유에 이 유기 색소재료를
염색
해 만들었다. 현재는 산에서 쓸 수 있는 녹색과 사막 지역에서 사용할 수 있는 황토색만 낼 수 있다. 하지만 색상이 변하는 온도나 빛의 범위를 미세하게 조절하는 기술이 개발 중이어서, 가까운 미래에는 ... ...
뇌신경 연결지도 커넥톰 나온다
과학동아
l
201005
산호초처럼 형광물질을 발산하는 동물에서 형광단백질 유전자를 추출해 신경세포를
염색
하는 ‘브레인보우’ 기법을 개발해 세포 수준의 커넥톰 연구를 주도하고 있다. 2007년에 브레인보우 기법으로 형광단백질 유전자를 쥐에 이식해 쥐 뇌의 시냅스 상호작용을 보여주는 지도를 만들었다.미국 ... ...
발명자도 놀랄 21세기 생활 속 레이저
과학동아
l
201005
파장에서 증폭되는 비율이 커진다는 사실을 확인했다.이를 이용해 김 박사팀은 기존
염색
현미경 진단법으로는 관찰하기 힘들었던 혈관 내 지방을 세포 수준에서부터 지방이 심하게 쌓인 고형물 형태까지 3차원 영상으로 얻을 수 있었다. 김 박사는 “동맥경화의 주요 원인인 혈관 내 지방 축적에 ... ...
정자에 관한 색다른 보고서
과학동아
l
201003
P. polionotus)가 선택됐다.과학자들은 이 두 가지 종의 정자들을 구분하기 위해 다른 색깔로
염색
했다. 그런 다음 두 종의 정자들을 하나의 배양접시에 담았다. 그러자 정자의 3분의 2 가량이 자신과 같은 종의 정자들과 무리를 짓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자가 무턱대고 아무하고나 무리를 이루는 게 ... ...
현미경으로 살아 있는 나노세계를 보다
과학동아
l
201003
미치지 않아 선명하고 깨끗한 정보를 제공한다”고 말했다. 관심 조직에 형광물질로
염색
을 한 뒤 빛을 쪼였는데 조직 내에 들어 있던 자체 형광물질이 같이 들뜬 상태가 되면 불필요한 정보까지 얻게 된다. 하지만 파장이 1064nm의 빛은 피부조직 속의 자체 형광물질을 들뜨게 하지 않는다. 파장이 100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