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잡기"(으)로 총 433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더 지니어스의 생존법 : 인디언포커과학동아 l201510
- 보고도 일부러 큰 숫자의 칩을 걸어 상대가 포기하게 유도하곤 한다. 혹시 상대의 10을 잡기 위한 거짓말 확률도 구할 수 있을까.엄 : 일단 10×10 행렬을 그려서 각 상황별로 철수와 영희가 받는 보상을 계산해서 … (이때부터 기자는 아무것도 알아듣지 못했다.)정 : 그건 어려울 것 같은데, 식 개수보다 ... ...
- [Life & Tech] 무선으로 충전하는 ‘와이파워 시대’과학동아 l201509
- PMA), 그리고 무선충전연합(A4WP)이다. 세 연합은 무선충전 시장의 주도권을 잡기 위해 표준화 경쟁을 하고 있다. 이 중 WPC와 PMA는 자기유도방식을, A4WP는 자기공명방식을 이용해 무선충전 기술 표준을 제시하고 있다. 현재 시중에 나와있는 무선충전기기만 보면 선발주자인 WPC의 기술표준이 가장 널리 ... ...
- 수학으로 밝혀낸 걸음걸이의 비밀수학동아 l201509
- 그쪽 다리를 굽히면서 걷는다. 뒤에 있던 발을 앞으로 옮기는 동안 한쪽 발로 균형을 잡기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그래서 무게중심을 낮추기 위해 무릎을 살짝 구부린다. 종종걸음으로 걷는 이유는 짧은 다리동물이 걷는 원리는 물리진자로 설명할 수 있다. 우리가 알고 있는 진자는 실 끝에 추가 ... ...
- 소똥부터 물방울까지! 별별발전소어린이과학동아 l201508
- 자기유체를 담으면 파도의 힘으로 뒤흔들어 배터리로 쓸 수 있을 것”이라며, “균형을 잡기 위해 배 밑바닥에 싣는 물을 자기유체로 바꿔서 배에 전기를 공급하는 방법도 가능하다”고 설명했어요. 자연의 힘으로 전기가 펑펑?똥에서 모은 가스로 모터를 돌려 돌려~소나 돼지가 싼 똥은 그저 ... ...
- 세월호 인양7가지 질문과학동아 l201507
- 대부분은 프로펠러를 돌려 움직이는데, 아쉽게도 조류가 센 곳에서는 위치를 정확히 잡기 어렵다. 그나마 가능성이 있는 건, 최근 개발된 해저 탐사용 게 로봇 ‘크랩스터 CR200’이다(왼쪽 위 사진, 과학동아 6월호 참조). 크랩스터는 다리 여섯 개로 몸을 지지해 초속 1m의 빠른 유속에도 버티면서 ... ...
- 놀이하는 동물, ‘꽃보다 악어’과학동아 l201507
- 노는 악어도 있다. 브라질에서는 어린 검정카이만(Melanosuchus niger) 두 마리가 마치 술래잡기를 하듯 빙글빙글 돌며 서로를 붙잡으려고 하는 놀이행위를 보였으며, 아프리카의 어린 나일악어(Crocodylus niloticus) 두 마리가 재미 삼아 힘겨루기를 하기도 했다. 비록 자주 보고되지는 않지만 어른 악어들이 ... ...
- 반사경이 반짝반짝! 표준연구원 우주광학센터어린이과학동아 l201507
- 대한 기본 설명을 들은 두 기자는 연구동으로 직접 들어가 봤어요. 여기서는 모양 잡기, 표면 연마하기, 금속 막 입히기 등 반사경을 만드는 모든 과정을 볼 수 있었지요. 커다란 상자처럼 생긴 기계로는 유리로 된 틀을 깎아서 둥글고 얇은 반사경의 모양을 만들고 있었어요. 또 한쪽에서는 마치 ... ...
- PART 1 인공지능 디스토피아는 없다과학동아 l201507
- 악한 의도를 가진 기계가 나타나 인간을 멸종시킬 것이라는, 지금으로서는 뜬구름 잡기에 불과한 걱정을 앞세워 인공지능 연구에서 얻을 수 있는 이득을 포기하기엔 너무 시기상조라는 뜻이다. 갓 태동한 이 분야에 대해 앞으로 공학적, 사회적, 법적, 윤리적으로 거듭 숙고해야 한다. 지금 우리 ... ...
- 이제 나도 게임 프로그래머!수학동아 l201505
- 12세 소년 토마스 슈어즈를 소개했다. 토마스는 혼자서 ‘버스틴 지버’라는 두더지 잡기 게임 같은 여러 가지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앱)을 만들었다. 누가 가르쳐 준 것이 아니라, 학교에서 앱 개발 동아리 활동을 하면서 스스로 프로그래밍을 배웠다. 이날 참가한 독자들은 대부분 토마스의 ... ...
- Part 3. 강함을 배운다과학동아 l201505
- 신칸센 엔지니어들은 물총새의 사냥 장면을 보고 힌트를 찾았다. 물총새는 먹이를 잡기 위해 수십m 높이에서 빠른 속도로 물에 다이빙을 하는데 신기하게도 물이 거의 튀지 않는다. 부리가 완벽한 대칭에 가까운 쐐기 모양이기 때문이다. 부리 끝 한 점에서 시작해 머리쪽으로 갈수록 정확한 비율로 ...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