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음
결합
접속
연결부
접촉
어스
꺾꽂이용 가지
d라이브러리
"
접지
"(으)로 총 63건 검색되었습니다.
당신의 생명을 구해주는 튜닝의 법칙
과학동아
l
199703
접지
면적이 넓어져 제동력과 코너를 돌 때 안정감을 얻을 수 있는 반면, 넓어진
접지
면적 만큼 비나 눈길에서 미끌어질 확률이 높아지고 연비가 나빠진다.대부분은 타이어를 인치업(inch-up : 큰 크기의 것으로 바꿈)할 때 휠도 함께 교환한다. 이때 휠이 기준보다 크면 차 안쪽에 타이어가 닿는 것을 ... ...
모르면 더 위험한 안전장치
과학동아
l
199702
들어오는 정보를 분석, 만일 한쪽 바퀴가 잠기면 그쪽에 펌핑을 해줌으로써 4바퀴의
접지
력이 동일하도록 해준다. 따라서 스키드현상이 일어나지 않아 조종력을 잃지 않으며, 타이어 잠김이 생기지 않기 때문에 제동거리도 훨씬 짧아진다. 일반운전자가 위급한 상황에 처했을 때 그냥 브레이크를 ... ...
카레이싱 -극한을 돌파하는 첨단의 경연
과학동아
l
199701
뜨겁게 하면 마치 엿처럼 끈적거리게 된다. 이러한 성질 때문에 온도가 높아지면 도로에
접지
력을 높일 수 있다. 코너를 돌 때 타이어는 마치 콩알만한 알갱이처럼 벗겨진다. 경기 중에는 타이어를 팀원이 타이어워머에 넣고 온도를 체크하고 있다가 10여명 이상이 달라붙어 단 5초만에 타이어를 ... ...
삐뚤어진 바퀴라야 바로 간다
과학동아
l
199610
위해서는 타이어
접지
면이 노면과 100% 접해야 한다. 그런데 캠버각을 주면 오히려 100%
접지
를 방해하는 결과를 가져온다.그럼에도 캠버를 두는 이유는 노면에서 전달되는 충격을 최대한 분산시키기 위해서다. 충격 흡수부분인 스프링과 쇼크업소버(충격흡수기), 그리고 이들을 연결해주는 부분은 ... ...
초광폭 타이어의 허와 실
과학동아
l
199608
면적이 넓어지는 만큼 주행안정성도 좋아지고 제동거리도 짧아지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접지
면적이 넓으면 물이 고인 노면을 달릴 때 수상스키를 타듯 미끌어지는 ‘수막현상’이 더 생기는 단점도 있다는 것을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타이어 선택에 있어 더욱 유의해야 할 점은 차량 제원에서 ... ...
1. 전기를 고압으로 송전하는 까닭
과학동아
l
199607
이 길을 통해 전류가 빠져나가 버리기 때문에 몸체에 손을 댄 사람이 감전될 위험은 없다.
접지
를 하면 감전의 위험은 줄어들지만 여전히 문제는 남는다. 전기기구의 바깥쪽 몸체에도 전류가 흐르는 현상을 전류가 새어 나왔다고 해서 누전이라고 한다. 누전이 되면 가정으로 과도한 전류가 흘러 ... ...
공기흐름 막는 액세서리, 달면 손해?
과학동아
l
199605
좋다.스포일러는 양력을 줄이는데 사용된다. 예전에는 경주용 차량이나 후륜구동 차량의
접지
력 향상을 위해 사용됐다가 최근에는 구동방식에 관계없이 많은 차종에 적용되고 있다. 스포일러 장착은 양력을 줄일 수 있지만 항력이 증가한다는 점을 주의해야 한다. 스포일러는 양력을 줄이는 ... ...
전륜과 후륜의 차이
과학동아
l
199603
도로에 모래만 남게 된다. 도로에 뿌려진 모래는 눈이나 얼음 못지 않게 타이어의
접지
력을 떨어뜨린다. 더구나 도로에 끼어있는 먼지 등의 오물질이 녹은 눈과 합쳐져 도로가 질척거리면 비가 올 때보다도 더욱 노면을 미끄럽게 만들기 때문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한낮을 제외한 새벽녘이나 ... ...
생물- 곤충모형만들기
과학동아
l
199504
빨간색이 됩니다. 그 전에는 노랗지요.잠자리는 어떤 점이 특징일까요? 잠잘 때도
접지
않는 날개가 특징이지요. 또한 아주 큰눈을 가지고 있어요. 그래서 움직이는 물체를 쉽게 구별할 수 있지요.방법① 고무찰흙으로 머리 가슴 배를 만든다. 이때 배(꼬리)는 가늘고 길게 만든다.② 머리에 커다란 ... ...
4 다리
과학동아
l
199501
기구학적인 연동에 의해 링크 구조의 다리를 움직이는데, 몸체의 크기에 비해
접지
면적이 커 안정성이 높고 보행궤적이 단순한 반면, 무겁고 공간활용이 비교적 어렵다. 마치 동물처럼 움직여이에 비해 말과 같은 동물의 다리를 본딴 다관절 모델은 각 관절에 구동장치를 부착, 경량화가 가능하고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