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문하생
학생
동공
동자
눈동자
사람
자손
d라이브러리
"
제자
"(으)로 총 410건 검색되었습니다.
[생활] 미디어아트팀, 태싯그룹 새로운 소리를 발견하다!
수학동아
l
201504
음악테크놀로지과 장재호 교수와 이진원 작가는 한국예술종합학교에서 스승과
제자
로 만났다. 이 작가는 한국예술종합학교에 진학하기 전 테크노 뮤지션 가재발로 활동하면서 한국인 최초로 영국 테크노 차트 1위를 차지하기도 했었다. 마음이 맞은 둘은 태싯그룹을 결성했다.기존 음악의 규칙을 ... ...
[Knowledge] ‘휘어진 시공간’은 어떻게 증명한 걸까
과학동아
l
201504
리만 기하학을 더 확장했다. 이탈리아의 수학자 그레고리오 리치-쿠르바스트로와 그의
제자
툴리오 레비-치비타는 절대미분해석학이라고도 불리는 텐서 해석학을 만들어냈다. 이것은 텐서라는 특별한 수학적인 양을 이용해 미분과 적분을 탐구하는 수학의 한 분야다.아인슈타인은 1912년 7월에서 ... ...
[Knowledge] 절대공간은 존재할까?
과학동아
l
201503
움직이는 그림이 그려지지 않는가. 라이프니츠가 생각한 우주는 달랐다. 그는 뉴턴의
제자
새뮤얼 클라크(뉴턴의 ‘광학’을 라틴어로 번역한 것으로 유명하다)에게 편지를 보내 ‘텅 빈 절대공간’을 반박했다. 먼저 ‘시간’을 사건들의 ‘먼저’와 ‘나중’으로 이해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 ...
PART4. 일반상대성이론 완성한 집단지성의 힘
과학동아
l
201501
갑자기 블랙홀이 정답이라는 걸 깨달았습니다.“┗말씀 감사합니다. 참 저도 선생님이
제자
들과 쓰신 ‘중력’ 책으로 공부했습니다.“감사합니다. 1200페이지가 넘는 책이라 무거웠을 텐데(웃음).”휠러는 특이한 인물이었다. 그의 학생 하나가 말했듯이 그는 급진적인 보수주의자였고, 실용적인 ... ...
PART 3 웜홀 타고 우주여행 가능할까?
수학동아
l
201412
은하계로 건너가 지구를 대체할 새로운 행성을 찾는다.웜홀은 1935년 아인슈타인과 그의
제자
네이던 로젠의 아이디어에서 발전된 개념이다. 그래서 처음 웜홀의 이름은 ‘아인슈타인-로젠 다리’였다. 웜홀의 개념은 간단하다. 종이의 양 끝에 각각 구멍 하나씩을 뚫고 하나에서 다른 하나로 가는 ... ...
PART 2 블랙홀 속 수학여행
수학동아
l
201412
곡선이다. 삼각형의 세 내각의 합이 180°보다 커진 것이다. 독일의 수학자 가우스와 그의
제자
리만이 처음 발표한 비유클리드 기하학은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성이론의 수학적 토대를 마련했다. 아인슈타인은 일반상대성이론을 발표하면서 “만일 비유클리드 기하학을 몰랐다면 결코 ... ...
PART 2. 물리학상
과학동아
l
201411
생각했다. 하지만 파란색 LED가 있어야 완전한 백색광 LED 전구를 만들 수 있었다. 스승과
제자
파란색 LED 시대의 서막을 열다 수많은 실패가 이어지다 질화갈륨(GaN)이라는 물질이 떠올랐다. 질화갈륨으로 파란색 LED를 만들 수 있다는 사실을 이론적으로 처음 밝혀낸 사람이 바로 나고야대의 아카사키 ... ...
미래 세상의 공통어, 코드
수학동아
l
201409
오류가 없는 명쾌한 증명은 쉽게 나타나지 않았다.그러다 1960년대에 힐베르트의
제자
였던 독일의 수학자 하인리히 헤슈는 처음으로 4색 문제를 컴퓨터로 증명할 수 있겠다는 생각을 했다. 헤슈는 컴퓨터 이론의 발달을 큰 영향을 미친 그래프 이론을 연구했는데, 이를 이용해 4색 문제의 증명에 기본 ... ...
독도에 풍덩 천국문이 활짝
과학동아
l
201409
붙어 있어 수족관처럼 알록달록하다. 무리지어 헤엄치는 물고기들이 스승을 따라다니는
제자
의 모습처럼 보였을까. 몇 년 전 명 소장은 스승의 날에 큰가제바위로 잠수했다가 갑자기 대학원 지도교수 생각이 나 목이 메였다고 한다. 바닷속에서 즉석으로 “스승님 고맙습니다”라는 글을 쓰고 ... ...
❸ 양자역학 - 행렬 곱셈으로 양자 운동을 계산하다
과학동아
l
201408
방식이 자신에게 익숙한 행렬 곱 셈의 일종임을 바로 알아차렸습니다. 보른은 자신의
제자
및 하이젠베르크와 함께 ‘3인 논문’을 출판합니다. 이 논문에서 보른은 행렬의 의미를 더욱 살려 힐베르트 공간과 에르미트 연산자 등 선형대수학의 개념을 물리학에 도입합니다. 선형대수학의 도입으로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