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주석"(으)로 총 173건 검색되었습니다.
- 화학이 사라지면 게임도 없다?!어린이과학동아 l201101
- 흙이 녹아 만들어진 금속을 발견하게 됐어요. 그걸 보고 여러 금속을 섞다가 구리와 주석을 섞은 최초의 합금인 청동을 만들게 됐지요. 이 청동을 본격적으로 사용하기 시작한 기원전 약3000년 전을 청동기라고 불러요. 그 후 철광석에서 철을 녹여낼 수 있도록 1000℃ 이상을 낼 수 있는 가마가 ... ...
- 42년 만에 땅에 내려온 이순신을 만나다과학동아 l201101
- ”그렇다고 철이 버팀재로 적합하지 못하다는 건 아니다. 철은 이온화 경향이 커서 주석과 구리보다 먼저 산화해 이들의 부식을 막는다. 자기 몸을 먼저 희생하는 셈이다. 하지만 40년 정도가 지나면 부식이 심해지므로 새 것으로 교체해야 한다. 특히 이순신 장군 동상처럼 크기가 큰 동상은 중심을 ... ...
- Part2. 다강체_물질계의 엄친아과학동아 l201101
- 친숙한 상용 제품을 탄생시키는 밑거름이 됐다.대표적인 예로 1950~1960년대 발견된 니오븀주석 (Nb3Sn)과 니오븀티타늄(NbTi)에서 나타나는 저온 초전도 현상이 있다. 초전도 현상은 병원에 있는 자기공명영상 (MRI) 장치나 실험실에서 사용하는 초전도 자석으로 응용되고 있다. 철크롬(Fe/Cr) 금속 다층막의 ... ...
- 에디슨의 유령탐지기를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201014
- 축음기 ‘틴포일’이야.틴포일은 손잡이가 달린 원통과, 확성기로 이루어져 있어. 주석이라는 금속으로 된 얇은 박을 원통에 감고 손잡이를 돌리면, 확성기와 원통 사이에 있는 바늘이 금속박에 자국을 남겨 소리의 특징을 기록한단다. 그리고 이 원통을 되감아 돌리면 금속박에 찍힌 홈이 다른 ... ...
- 한국 인공태양 핵융합 리더가 되다과학동아 l201011
- 성공한 것은 한국의 KSTAR와 중국의 EAST뿐이다. 그 중 초전도 재료로ITER와 똑같은 니오븀주석합금(Nb3Sn)을 이용한 것은 KSTAR뿐이다. 따라서 KSTAR가 이룩한 운영 성과는 ITER의 성공에 대단히 중요하다.두 번째 이유는 막대한 재원과 긴 시간이 필요한 핵융합에너지 연구만의 특성이다. ITER의 전체 건설 ... ...
- 왜 국제수학자대회를 열려고 하는 걸까?수학동아 l201009
- 한·일 월드컵 열기가 채 식기도 전에 중국에서는 국제수학자대회가 개최됐단다. 장쩌민 주석이 개막식 내내 참석할 만큼 중국에서는 중요한 행사로 치러졌지. 여기서 우리가 주목할 것은 2002년 국제수학자대회 이후의 중국 수학계의 변화란다. 중국 정부는 물론, 기업들의 지원도 기하급수적으로 ... ...
- 4차원을 꿈 꾼 이상수학동아 l201008
- 제시됐지. 그래서 서울대학교 국문학과 신범순 교수님은 달리 해석하지. 이 시는 뒤쪽에 주석을 달아 시를 설명하는데, 여기서 ‘인문의뇌수’, 즉 인문적인 정신과 마음,생각을 강조했대. 그리고 이상이 숫자를 수학과 다른 방식으로 보는 경우가 많아서 1은 ‘나’를, 3은 ‘그들’을 가리켰을 수 ... ...
- part2, 목적에 따른 글쓰기과학동아 l201007
- 생각하고 논문이나 보고서를 작성하는 방법이 있다. 책의 내용을 서론, 본론, 결론, 주석, 첨부 내용과 같이 3~4파트로 나눠서 분석하고, 앞으로의 연구 과제나 문제점을 객관적으로 정리하며 독서감상문을 작성하는 방법이다. 이처럼 책의 내용이나 분야에 따라 독서감상문의 형식을 다양화하면 ... ...
- 수학 퍼즐에 빠진 철학자, 마틴 가드너의 삶과학동아 l201007
- 있다. 가드너는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와 그 속편인 ‘거울 나라의 앨리스’에 주석을 달아 ‘앨리스(The Annotated Alice)’라는 책을 내기도 했다.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에 숨어 있는, 뜻을 알 수 없는 구절과 각각의 유래를 알고 싶은 독자라면 반드시 봐야 하는 책이라 할 수 있다.마틴 가드너를 ... ...
- 각진 친구들의 모임 다각형수학동아 l201006
- 통해 알 수 있습니다. 에무데무스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제자로 플로클로스의 유클리드 주석서 제1권에 그 당시의 수학에 대해 적어 놓았습니다.그리스 수학의 시작은 기원전 6세기에 활동한 수학자 탈레스가 활약하던 때부터입니다. 에무데무스 요약에 따르면 탈레스는 다음과 같은 기하학 정리를 ...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