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등골
등뼈
척수골
척추
척추골
등골뼈
골수
d라이브러리
"
척수
"(으)로 총 197건 검색되었습니다.
비상! 슈퍼박테리아 한국 상륙
과학동아
l
201101
0대 여자는 당뇨와 화농성척추염을 앓아 장기간 입원 중이었고 13일에 확인된 70대 남성은
척수
골수염으로, 또 다른 60대 남성은 만성 간질환자로 3개월 이상 장기간 입원하고 있었다.보건복지부는 “이번에 발견된 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CRE)은 주로 중환자실에 장기 입원하거나 면역체계가 약해진 ... ...
사람이 영리한 이유는 머리와 몸이 따로 놀기 때문
과학동아
l
201009
목이 생기면서 그 역할이
척수
로 이동했다”고 말했다. 목이 진화하면서 뇌뿐 아니라
척수
도 진화했다는 것이다. 이 연구 결과는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7월 27일자에 실렸다 ... ...
1992년 사무엘 웨이스 박사의 성체 신경세포 생성 발견
과학동아
l
201009
한다는 생각과 맞물려 이런 주장은 설득력을 얻었다. 게다가 뇌출혈이나 사고로 뇌나
척수
의 신경세포가 망가질 경우 회복이 안 되는 현상(마비나 언어장애) 역시 이런 주장을 뒷받침했다.1960년대 성인의 뇌세포도 새로 생길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되긴 했지만 이런 도그마를 뒤엎을 정도로 ... ...
좀비 만드는 '5가지 레시피'
과학동아
l
201008
낭미충에 감염된 돼지고기를 덜 익혀 먹으면 사람에게 옮겨진다. 이 기생충은 안구나
척수
, 뇌에 기생하면서 중추신경계를 손상시킨다. 낭미충은 숙주(사람)를 무기력하게 만들기는 하지만, 좀비처럼 조종을 하진 못한다.그런데 숙주의 뇌에 살면서 조종을 하는 기생충이 실제로 발견됐다. 란셋 ... ...
상상까지 현실로 창조하라, 리얼리티 테크놀로지
과학동아
l
201003
이어주는 일종의 ‘뇌 컴퓨터 인터페이스(BCI)’이다. 실제로 뇌 전기자극을 이용해
척수
손상을 입거나 신경이 마비된 환자에게 새로운 삶을 찾아주는 초기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아바타를 조종하듯 뇌파나 뇌 전기자극을 이용해 근육이나 인공 관절을 동작시키는 신개념 방식이다. 이미 개와 ... ...
감각이 일어나는 경로
과학동아
l
201003
모를 수 있다. 연수반사의 종류는 특히 체내 항상성과 생명 유지에 관계된 것이 많다.
척수
반사와 연수반사는 모두 무조건반사에 해당하며 경험과 관계없이 선천적으로 태어나면서부터 갖고 있는 반사행동이다.3. 인간의 반사행동 중에는 맛있게 먹었던 음식을 보면 침이 나오는 행동도 있다. 이와 ... ...
창의성 높이는 공간 만드는 신경건축의 세계
과학동아
l
201003
어린이를‘
척수
성 소아마비’로부터 해방시킨 사람이다.
척수
성 소아마비란 어린이의
척수
신경에 폴리오바이러스가 침범해 수족마비 증세를 일으키는 전염병인데, 20세기 초까지 치사율이 5%가 넘을 정도로 매우 치명적이었다.조너스 솔크 박사가 소아마비 백신을 개발하던 1955년 무렵의 일이다. ... ...
실명도 줄기세포로 치료한다
과학동아
l
201002
있지만 지금까지는 결과가 희망적이라고 말했다. 교통사고로 목뼈골절 같은 중상을 입어
척수
가 손상된 환자들에 대해서도 신경줄기세포를 넣어주는 임상을 진행하고 있는데, 역시 증상이 호전되는 결과를 얻고 있다.한편 박 교수는 “줄기세포 치료 개념이 처음 나왔을 때 전신마비인 사람이 ... ...
줄기세포 원정치료 논란
과학동아
l
201002
을 진행하고 있다. 버거씨병(혈관이 막혀 사지 말단이 괴사하는 질병)과 퇴행성관절염,
척수
손상이 그것이다. 그럼에도 결과를 기다리지 못하고 상업화에 뛰어드는 모습은 자기모순이라고 할 수도 있다.한편 일본 같은 선진국도 자가유래줄기세포 치료를 허용하고 있는데 뭐가 문제가 되냐는 주장에 ... ...
참을 수 없는 가려움의 유혹
과학동아
l
200911
발표했다.기슬러 박사팀은 원숭이의
척수
와 뇌의 시상하부를 연결하는 신경다발인
척수
시상로(STT)에 존재하는 신경세포의 섬유에 전극을 부착해 전기신호를 측정했다. 연구팀이 히스타민을 원숭이에게 주입하자 원숭이는 가려움을 느끼고 몸을 긁기 시작했고 잠시 후 신경세포로 전달되는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