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측정"(으)로 총 3,64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걸음걸이] 두 발로 걸어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07
- 발생하는 여러 가지 힘이 합쳐져 ‘0’이 되는 점이지요. 로봇의 발에는 힘과 회전력을 측정하는 센서가 있고, 골반에는 기울기 센서가 있어요. 그래서 로봇이 움직일 때마다 센서가 작동해 ZMP가 발의 중심에 오도록 상체를 움직이게 되는 거랍니다.뒤꿈치로 딛고 앞꿈치로 땅을 차라!로봇과학자들은 ... ...
- Part 2. 슈퍼카를 만드는 3가지 비결수학동아 l201707
- 이용할 수 있다. 최근에는 평창 동계올림픽에 출전하는 스키점프 선수들의 공기저항을 측정하는 데 이용하기도 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더 빠르게 더 폼나게, 수학 입은 슈퍼카Part 1. 얼마나 ‘슈퍼’하길래?Part 2. 슈퍼카를 만드는 3가지 비결Part 3. 슈퍼카에서 ... ...
- 풋볼 팬타지움 수학여행기수학동아 l201707
- 이 외에도 빛을 따라가야 하는 드리블 체험, 가상 골대에 공을 차면 정확도와 속도를 측정해주는 패널티킥 체험, 각국의 국가대표 축구팀 유니폼을 입고 사진을 찍는 AR(증강현실) 체험을 거치며 신나게 축구를 즐겼다.땀 흘릴 정도로 몸이 달아오른 독자들이 다음으로 모인 곳은 홍석만 ... ...
- [알쏭달쏭 논리 동화] 장화 신은 고양이가 슈뢰딩거를 만났을 때수학동아 l201707
- 안정과 붕괴의 중첩이나 고양이의 삶과 죽음의 중첩은 이론적으로 가능하지만 실제로 측정하거나 경험할 수는 없어. 물리학 이론과 실제 경험 사이의 간격을 메우는 일을 ‘해석’이라고 해. 내가 지지하는 ‘많은 세계 해석’은 우리가 고양이의 생과 사가 중첩된 상태를 보지 못하는 이유를 ... ...
- [과학뉴스] 물은 정말 무(無)맛일까?과학동아 l201707
- 마비시킨 뒤 단맛, 짠맛, 신맛, 쓴맛 등을 내는 음식을 먹이고 뇌 신경의 전기 신호를 측정했다. 짠맛 수용체를 마비시키고 소금을 먹이자 뇌 신경에 아무런 반응이 없었지만, 다른 맛을 내는 음식에 정상적으로 반응했다. 또 신맛 수용체를 마비시키고 물을 먹이자 뇌 신경의 반응이 없는 것을 ... ...
- [Future] 성큼 다가온 양자정보통신 시대과학동아 l201707
- 양자암호키 생성자가 어떤 방식으로 광자에 정보를 넣었는지 모른 채로 양자암호를 측정하면, 양자 중첩 현상때문에 원래 정보와 다른 값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만약 정보값 ‘0’을 ‘ㄱ’방식으로 보냈는데, 이것을 ㅅ‘ ’ 방식으로 확인하면 양자중첩에 의해 50% 확률로 0 또는 1의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만수르의 정체어린이과학동아 l201707
- 매달리면 용수철이 본래대로 줄어드는데, 그때 정밀한 센서가 용수철이 줄어드는 속도를 측정한답니다. 질량에 따라 용수철이 줄어드는 속도가 다른 걸 이용하는 거예요. 그뒤 컴퓨터가 용수철의 힘과 줄어드는 속도를 통해 우주인들의 질량을 계산해낸답니다.“내 몸무게는 변함 없지만, 내가 ... ...
- Part 4. [움직임] 사람의 움직임을 따라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07
- 지적했어요. 두개골의 ●전기전도도가 낮기 때문에 왜곡이 생긴다는 거예요. 두피에서 측정된 뇌파는 실제 뇌파의 80~90%에 불과해요. 이 때문에 뇌파로 드론을 움직일 수 있지만, 큰 로봇을 정교하게 조절하기는 어렵다는 거지요.●전기전도도 : 전기가 통하기 쉬운 정도를 나타내는 값.이를 ... ...
- [과학뉴스] 목성 극지에서 발견한 거대한 소용돌이들과학동아 l201707
- 최고 1400km에 달하는 것까지 있었다. 연구팀은 목성의 자기장과 중력 등을 세밀하게 측정한 결과를 함께 발표했다.볼턴 연구원은 “이번에 새로 알게 된 사실들은 지구를 뒤흔들 만한, 아니 목성을 뒤흔들 만한 것”이라고 평가했다. doi:10.1126/science.aal210 ... ...
- [과학뉴스] 하늘 보며 쓰나미 예측한다과학동아 l201707
- 시스템을 고안했다. 현재 쓰나미 관측 연구는 지진계와 부표, 해저압력센서 등으로 측정한 정보를 바탕으로 하고 있는데, 여기에 데이터를 추가해 예측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 것이다.논문의 제1저자인 조르지오 사바스타노 연구원은 “현재 NASA 제트추진연구소가 운용하는 GPS 시스템에 바리온 ...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