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좌담회
심포지엄
담화회
간담회
심포지움
연회
회의
d라이브러리
"
토론회
"(으)로 총 66건 검색되었습니다.
생물종 보존에 냉동저장법 제안
과학동아
l
199306
유명한 SF작가인 벤포드는, 지구상의 생물종이 급속히 줄어들고 있다는 생물학자들의
토론회
에 참석한 후 충격을 받았다. 그는 "멸종되는 생물종을 미리 예측할 수 있다면 어떤 방법을 동원해서라도 표본을 보존하는 것이 후손에 대한 도의적 책임이다"라고 주장했다.동물원이나 식물원 등에 ... ...
우주 탄생의 비밀, 중력파 탐지로 추적한다
과학동아
l
199304
말한다. 1991년 3월에 과학 재단의 천문학자문위원회의 의장인 타이슨 박사는 하원의
토론회
에서 LIGO 프로젝트를 전면적으로 실행에 옮기기에는 아직 시기상조라고 주장했다.이 열띤 논쟁은 1991년 의회가 LIGO 프로젝트를 위해 연구비용으로 5백만달러, 관측소 건설비용으로 1천6백만달러(둘다 1992년 ... ...
가이아 이론이란?
과학동아
l
199301
3인, 토론자 5인, 일반 참석자 3백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띤 공방이 벌어졌던 이
토론회
는 서구에 이은 가이아논쟁의 국내 상륙으로 크게 보도되었다. 과연 가이아이론이란 무엇인가. 한마디로 말해 가이아이론이란 '지구는 살아 있는 생명체'라는 주장으로 지난 70년대 초 영국의 대기화학자 제임스 ... ...
(1) 인공지능 상품개발 50년
과학동아
l
199209
데이터베이스의 공유가 가능하므로 많은 이익을 얻을 수 있다.소설가 복거일씨는 한
토론회
에서 다가오는 21세기의 문화를 전망하면서 국제공용어의 등장을 예측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는 지나치게 낙관주의가 아닐까 한다. 도리어 인종주의와 민족주의가 갈수록 거세어지는 미래에 다언어 ... ...
「찻잔속의 태풍」 인공지능 만들기
과학동아
l
199202
사람은 뉴엘과 사이먼이었다. 이들은 1956년 록펠러재단에서 개최한 다트머스대학 하계
토론회
에서 인공지능의 방향을 새로 정했다. 그들은 "전통적인 아날로그식 전자 시뮬레이션보다 보통의 디지털컴퓨터 프로그래밍 방식으로 인간의 지능을 흉내내는 것이 더 유용할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더 ... ...
'과학기자재 보내기 운동'을 다시 본다
과학동아
l
199109
이끌어낸 '초중고교과학기자재 보내기 운동'은 그간 방송을 통한 관계전문가들의 긴급
토론회
와 공개모금을 시작으로 신문·방송광고, 유관기관 협조요청 등 다차원적인 방법으로 국민대중의 지지를 호소해왔다.운동이 시작된 지 만 한달이 채 못되는 지난 8월12일까지의 모금액은 13억5천7백여만원. ... ...
양식장 송어 방출에 비상령 내려
과학동아
l
199109
'자연과 같게'최근 북서태평양 연안 어류전문가들이 미국의회의 지원을 받아 실시한 패널
토론회
에서는 현재의 위기상황을 네가지 정도로 압축해 진단했다.그 첫째는 지역토착의 야생송어가 줄어들고 있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미네소타 대학의 카프친스키박사는 "현재처럼 야생송어 본연의 ... ...
(1) 진화는 때때로 신속하게 이뤄진다
과학동아
l
199107
등 많은 분야에서 세계 각국의 저명 과학자들이 다수 참석, 진화론에 대한 발표 및
토론회
를 가졌다. 이 회의에서는 1940년대 이후 30여년간 진화론의 본류를 이뤘던 종합학설에 입각한 연구결과가 중점적으로 검토됐다.여기서 나온 한가지 주목할 학설은 생물의 진화가 점진적인 변이의 축적에 ... ...
(3) 창조론자에게 묻는다
과학동아
l
199107
큰 잘못중 하나다.수년전 유명한 진화론자인 몽태그(Ashley Montague)박사는 프린스턴 대학
토론회
에서 발생반복설이 진화론을 지지하는 이론으로 더이상 사용되지 말아야 한다고 언급했다. 동물의 배 발생과정에서 생기는 새궁이나 새열은 물고기의 것과는 전혀 다르다. 물고기 배의 새열은 숨을 쉬게 ... ...
4 고함소리의 1백억 배
과학동아
l
199107
초저주파 아파트가 갈라지고 빌딩이 흔들린다1973년 파리에서 초저주파음에 대한 국제
토론회
가 열렸다. 여기에서는 인간과 건물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많이 미치는 초저주파를 어떻게 규제할 것인가에 대해 열띤 토론이 벌어졌다. 당시까지만 해도 그 특성상(보이지도 않고 들리지도 않음) 주목받지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