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틀"(으)로 총 67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2.커피잔 속에서 우주의 원리를 보다과학동아 l201601
- 노년에 자신이 완성한 중력 이론인 일반상대성이론과 전자기력을 통합하는 더 큰 이론적 틀을 만들어보려고 했지만 실패하고 말았다. 지금 돌이켜보면, 자연계의 힘들 중 특정한 두 개만을 통합할 목적이었으니 애초에 방향이 잘못됐다고도 볼 수 있다. 하지만 아직 완전한 이론에 도달하지 못한 ... ...
- 참매미의 새벽 대합창어린이과학동아 l201514
- 추천하고 싶어요. 7월말부터 몇 주간, 동이 트기 30분 전 숲이 있는 공원에 나가보세요. 동 틀 무렵 온 동네의 참매미가 갑자기 합창을 시작하는 걸 들을 수 있을 거예요. 올 여름, 참매미 새벽 대합창을 놓치지 않고 감상해 보기 바랄게요 ... ...
- 우주먼지부터 인공먼지까지, 먼지를 팝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512
- 용의자의 집에서 쇠톱이 발견됐다. 현미경으로 이 쇠톱을 관찰하자, 범죄현장의 창문틀에서 발견된 금속 파편과 똑같은 금속파편이 발견됐다. 또한 신발 밑창에서 방범창 금속과 같은 금속 파편들이 박혀 있었다.범인 검거 성공!인공먼지를 팝니다자, 이번 먼지는 실험실에서 만든 귀한 인공 ... ...
- Patr1. 폰노이만 vs 비(非)폰노이만과학동아 l201512
- 연산을 수행하는 일명 폰노이만 방식의 컴퓨터를 제안한 뒤 우리는 한번도 이 틀을 벗어나본 적이 없다. 하지만 하나씩 일을 처리하기엔 정보가 너무 많아졌고, 컴퓨터가 수행해야 할 일은 넘쳐난다. ‘연산을 한꺼번에 할 순 없을까?’ 지극히 자연스러운 이 질문은 5세대 컴퓨터를 만드는 원동력이 ... ...
- [상대성이론 100년사 ➓ 마지막화] 일반상대성이론의 과거, 현재, 미래과학동아 l201511
- 때문이다. 우주가 어떻게 생겨나고 어떤 모습으로 변화해 갈지를 말해 주는 근본적인 틀이다. 그러나 다른 과학이론들처럼 일반상대성이론도 다양하게 해석될 가능성을 가지고 있으며, 무엇보다도 경험과 관찰을 통해 어떤 식으로든 그 모습을 바꿔 나가게 될 것이다. 일반상대성이론도 거대한 ... ...
- [knowledge] 자연의 합리성을 사랑한 건축가, 가우디과학동아 l201510
- 모든 주택에 어느 정도의 채광, 환기를 담보할 수 있게 됐고, 도시 구조와 도시 주거의 큰 틀이 새롭게 만들어졌다.가우디는 이 에이샴플라를 빈 캔버스처럼 생각했다. 에이샴플라가 본격적으로 건설된 것은 가우디가 한창 활동하던 1900년경. 당시 가우디는 이미 널리 알려진 건축가였고 자신만의 ... ...
- 오감만족 수학 놀이터 군포수학체험관에 가다수학동아 l201510
- 그린 것이다. 비록 직선 미끄럼틀, 포물선 미끄럼틀보다 길지만, 이 곡선으로 만든 미끄럼틀 위에서는 공의 가속도가 비교적 조금만 줄어든다. 그 결과, 곡선 위에서 공의 속도가 점점 커져서 공이 더 빨리 도착하게 된다.결과를 예측할 수 없는 수학의 재미여러 실험을 마친 독자기자들은 여러 가지 ... ...
- 한글을 그리다수학동아 l201510
- ‘아’의 초성 ‘ㅇ’은 같은 크기, 같은 모양의 ‘ㅇ’이다. 이 폰트는 정해진 네모틀을 벗어나 한글 창제 원리에 따라 만든 ‘안상수체’다. 끝소리는 첫소리를 다시 쓴다는 훈민정음 조항대로 안상수체는 종성의 자음 모양이 초성에 오는 자음 모양과 같다.그럼 내 글씨체로도 폰트를 만들 수 ... ...
- Part 1. 뫼비우스의 띠가 남긴 숙제수학동아 l201510
- 만든 경계선 안쪽에 뫼비우스의 띠 모양의 비누막이 생겼다. 연구팀이 이 경계를 비틀자 비누막은 경계선을 따라 점점 넓어졌다. 그러더니 순식간에 앞뒷면이 확실하게 구분되는 보통의 비누막으로 변했다!뫼비우스의 띠 모양인 비누막이 보통의 비누막으로 변하는 순간은 막의 경계선 위의 한 ... ...
- [Knowledge] 전자 세상에서 가장 작은 보석과학동아 l201509
- 전류가 흐른다. 맥스웰 방정식(8월호 상수의 탄생 참조)에 따르면 전기와 자기를 하나의 틀로 이해할수 있기 때문에 현대 물리학에서는 전기력과 자기력을 합해 전자기력이라 부른다. 로렌츠의 힘(F=q(E+υ×B), υ는 속도)을 이용하면 전하(q)가 전기장(E)과 자기장(B) 안에서 어떻게 움직이는지를 알 수 ...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