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평소
평일
d라이브러리
"
평상시
"(으)로 총 272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거품 함수와 방정식
수학동아
l
201107
지구에 많은 영향을 준다. 특히 바다거품은 지구에 들어온 태양의 복사 에너지를 잔잔한
평상시
바다보다 더 많이 반사시켜 지구가 태양에너지를 덜 흡수하도록 만든다.또 공기와 바닷물이 섞이면서 만들어지는 바다거품은 공기 중에 녹아 있는 이산화탄소를 바다가 흡수하는 데도 영향을 준다. ... ...
반지의 선택 그린랜턴
과학동아
l
201107
들고 다니던 녹색랜턴을 기억할 지도 모른다. 더 관찰력이 예리한 사람이라면 쉘든이
평상시
에 입고 다니는, 가슴에 이상한 마크가 있는 녹색 티셔츠를 떠올릴 수도 있겠다. 우리나라에도 네 권의 그린랜턴 만화책이 출간됐고, 케이블방송 ‘투니버스’에서 방영한 ‘저스티스 리그’에도 ... ...
Part1. 원전 사고 5가지 핵심 쟁점
과학동아
l
201104
복의 빛일까, 위험을 경고하는 창백한 빛일까. 가압식이냐 비등식이냐의 차이는
평상시
방사성 물질의 유출 가능성에서 차이가 있다. 비등식은 노심에서 직접 냉각수를 증기로 바꿔 이 증기로 터빈을 돌린다. 반명 가압식은 냉각수와 터빈을 돌리기 위한 물이 아예 별도의 파이프로 분리돼 있다. ... ...
생명의 기원, DNA를 찾아서
과학동아
l
201104
따라서 전자현미경으로만 뉴클레오솜이 사슬 모양으로 연결된 구조를 관찰할 수 있다.
평상시
에는 염색질의 형태로 풀어져 존재하다가 세포가 분열하는 시기가 되면 응축해 염색체가 된다. 염색체의 상태가 되면 현미경으로 쉽게 관찰할 수 있다. 양파에서 염색체를 관찰하는 실험을 생각해보자. ... ...
연구활동은 꿈을 이루는 과정
과학동아
l
201103
평상시
학생들의 목소리 크기가 다 다르다는 것을 조사합니다. 각 학생들의 집에 가서
평상시
대화와 TV 소리 크기의 관계를 조사해 많은 수의 실험결과를 얻습니다. 이를 해석해 ‘TV 소리가 큰 집일수록 가족 구성원들의 목소리가 크다’는 결론에 도달했다면 가설연역법에 의한 탐구활동을 한 ... ...
모의평가와 EBS 꼼꼼히 분석해야
과학동아
l
201011
보면 배가 아프다던가 머리가 멍해진다는 학생들이 있다. 이러한 현상의 원인은
평상시
에 편안하게 연습을 하다가 막상 실전에서 과도한 긴장을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학생들이 할 수 있는 것은 연습을 실전처럼, 정확한 시간과 적당한 긴장감 속에서 반복 연습하는 것이다. 조금 과장해서 말하자면 ... ...
두근두근 문구 발명 대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1010
이 펜을 이용해 칠판에 글씨를 쓰면 손으로 글씨를 쓴 듯 글자 이미지가 나타난다.
평상시
에는 보통 볼펜처럼 사용할 수 있다.전자칠판으로 확 달라진 교실을 만나 보자전자칠판은 화이트보드처럼 생겼지만, 그 위에는 수만 개의 미세한 점들로 이뤄진 특수 모양이 입혀져 있어요. 점들은 각각의 ... ...
PART 2 수학이 없는 학교
수학동아
l
201010
지도를 보면서 지역적 특성과 연관 지어 배울 예정이다. 그런데 책에 그려진 세계지도가
평상시
보던 것과 많이 다르다. 우리나라의 위치가 인도랑 비슷하고 면적도 더 커 보인다. 백두산과 한라산의 높이도 알 수 없다. ‘어떻게 된 거지?’지도에서 수학이 사려졌기 때문이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 ...
거울은 숨은 그림 찾기의 달인?!
수학동아
l
201010
거울은 반사한 빛을 분산시켜 원래의 물체보다 작게 보인다. 따라서 원기둥 거울을 통해
평상시
볼 수 있는 대상을 보려면 원래 대상보다 동그랗게 늘려 놓은 것을 비춰야 한다.평면거울에 물체를 비추면 거울 속의 물체는 실제 물체와 좌우가 바뀐 것처럼 보인다. 거울 앞에 서서 내 모습을 볼 때 ... ...
Part 2. 아름다운 한복
수학동아
l
201009
한복바지를 만들면 뒤집기 전에 바지에 솜을 넣어 따뜻한 바지를 만들 수 있다고 해.
평상시
에는 솜을 넣지 않다가 추운 겨울이 되면 바지를 뒤집어 솜을 넣은 뒤 입었단다. 옷 한 벌로 여러 계절을 입을 수 있도록 뒤집고 꼬는 방법을 생각한 우리 선조들의 지혜가 놀랍지 않니?어디가 앞일까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