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론
주의
견해
의견
원리
설
론
d라이브러리
"
학설
"(으)로 총 355건 검색되었습니다.
겨울잠의 비밀 불포화지방산
과학동아
l
201105
세포막의 구성을 바꿀 수 없다고 생각해왔다. 이번 연구 결과는 지방 대사에 관한 기존
학설
을 바꿔놓은 것이다.아놀드 교수는 “이 연구는 겨울잠을 자는 동물이 어떻게 계절에 변화에 맞춰 생체리듬을 조절할 수 있는지를 밝혔다”며 의의를 밝혔다. 연구결과는 ‘미국 공공과학도서관학술지(PLoS ... ...
눈먼 쥐의 일주리듬에 미치는 빛의 영향 확인
과학동아
l
201105
했다. 결정적인 발견의 영광은 다른 과학자에게 돌아갔지만.주류 학계 반발 산 이단
학설
1980년 영국 브리스톨대 브리언 폴렛 교수의 실험실에서 대학원생활을 한 포스터 교수는 동물에서 빛을 감지하는 세포를 주제로 다양한 연구를 했다. 어류의 피부에서 빛을 감지하는 색소세포를 찾아내 ... ...
생명의 기원, DNA를 찾아서
과학동아
l
201104
형질을 고루 갖추고 있으므로 이
학설
을 뒷받침하지 못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학설
은 17~18세기 동안 지배적이었다. 세포의 발생과정에 대한 연구가 본격화한 19세기 중엽이 돼서야 단순한 상태부터 복잡한 상태로의 발전이 일어나 구조가 새롭게 생겨난다는 후성설(epigenesis)이 인정됐다.최초의 ... ...
벼룩 점프의 비밀 풀었다
과학동아
l
201103
뛰어오른다. 사람으로 치면 350m 정도를 뛰어 오르는 셈이다. 이런 비결에 대해 두 가지
학설
이 존재한다. 영국의 생물 학자 미리암 로스차일드는 벼룩의 다리 근육에 있는 ‘레실린’이라는 고무단백질이 힘을 받아 압축 됐다가 순식간에 늘어난다고 주장했다. 반면 영국의 생물학자 헨리 베넷 ... ...
신경교세포 100년 만에 입을 열다
과학동아
l
201103
‘지속성 가바(GABA)’였다. 이는 ‘뉴런만 신경전달물질을 합성하고 분비한다’는 기존
학설
을 뒤집는 발견이다. 이 책임연구원은 “신경교세포도 신경전달물질의 합성과 분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며 “앞으로 신경과학 교과서를 다시 써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작년 11월 24일 ... ...
Part3. 2만4000년 전, 네안데르탈인 최후의 날
과학동아
l
201103
연구가 있어요. 우리의 큰 코가 추운 공기를 데워서 추위를 이기게 해 준다는 기존
학설
이 잘못됐다는 연구 결과가 지난 2월 ‘인간진화저널’에 발표되기도 했죠. 우리의 출산률이 낮다는 연구가 2007년에, 호모 사피엔스에 비해 하루 100~350kcal 에너지를 더 많이 소모한다는 연구 결과와 이 시기 ... ...
달에 있는 물, 혜성에서 왔다
과학동아
l
201102
결과를 들어 달이 45억년 전 혜성 같은 천체와 부딪쳐 지구에서 떨어져 나갔다는 기존
학설
역시 부정했다. 달에 있는 물 성분을 조사한 결과 태양계 외부에서 혜성과 충돌해 생겼을 확률이 높다는 것이 테일러 교수팀의 주장이다.테일러 교수는 “달에 있는 물은 지구와 생성 원인이 다르고, 수소와 ... ...
과학이 아니다
과학동아
l
201012
방광 표면에서 발견한 관. 소광섭 교수는 이 관이 경락으로 추정된다고 주장했다.]봉한
학설
은 1960년대 북한의 김봉한 박사가 경락을 해부학적으로 규명하기 위해 세운 이론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소광섭 서울대 물리학부 교수가 연구하고 있다. 소 교수는 흰쥐의 혈관 안에서 알 수 없는 봉오리와 ... ...
테라포밍, 지구의 조건
과학동아
l
201012
관계를 만족한다. 대기 중 산소의 역할 태양계 탄생에 대한
학설
중 가장 유력한
학설
은 성운설이다. 이를 바탕으로 생각하면 태양계를 구성하는 행성들은 모두 유사한 대기를 가져야 한다. 그러나 지구만 유독 20%가 넘는 산소를 갖고 있으니 신기한 일이다. 지구의 원시대기는 다른 행성들과 ... ...
긍정의 힘으로 만든 나노 고분자
과학동아
l
201010
묻어나왔다.장 교수팀의 성과는 고분자에서는 나노입자를 만들 수 없다는 기존의
학설
을 뒤집는 결과여서 더욱 의미가 깊다. 사실 장 교수가 실험을 하는 동안 같은 방법으로 실험한 결과를 먼저 발표한 곳이 있었다. 그 연구팀은 폴리피놀이라는 전도성 물질로 지름 80nm 크기의 나노입자를 만드는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