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
d라이브러리
"
P
"(으)로 총 853건 검색되었습니다.
Interview. “극지 연구에 국경은 필요없죠”
과학동아
l
201608
‘화성보다 모른다’는 우스갯소리가 있을 정도로 극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은 부분이 많다. 그래도 여기까지 올 수 있었던 건 국경을 넘어선 과학자들 간의 ... : 가장 뜨거운 바다에서 얼음 대륙이 꽃피다Interview. “ 극지 연구에 국경은 필요없죠”Infogra
p
hic. 물과 얼음을 싹 걷어낸 극지의 ... ...
[Tech & Fun] DGIST 학생들이 학교로 피서를 떠난 까닭은
과학동아
l
201608
불과 3년 전이다. 이번에 기자가 만난 3학년 학생들은 모두 DGIST의 첫 번째 학부생으로, UGR
P
는 이 학생들이 과학자로 첫 발을 내딛는 과정이다.처음은 언제나 설레는 법이다. 그 설렘은 아마 많은 청춘들이 오늘도 캠퍼스 한켠에서 뜨거운 여름을 보내고 있는 이유일 것이다. 올 여름의 담금질이 끝나면 ... ...
[수학뉴스] 복잡한 알고리듬만큼 어려운 게임?
수학동아
l
201607
나눴을 때 슈퍼마리오의 위치와 시간의 관계를 계산해 N
P
-하드 문제보다 더 어려운
P
S
P
ACE에 속한다는 사실을 밝혀낸 것입니다.어려운 문제라는 게 증명됐으니 이제 슈퍼마리오 게임을 잘 못한다고 해도 기죽을 필요는 없겠네요 ... ...
[Tech & Fun] 물리학자, 언어의 특징을 밝히다
과학동아
l
201606
간단하게(?) 모든 영어와 라틴어 단어에서 소리변화를 네트워크로 구조화한다면 f에서
p
로의 변화가 f에서 v로의 변화보다 많은지 적은지 한 눈에 알아볼 수 있다.네트워크의 통계적인 분석은 언어의 진화뿐 아니라 다양한 사회, 문화적 현상을 분석하는 데도 유용하게 쓰인다. 올해 초에도 ... ...
[지식] 알고 쓰면 과학, 모르고 쓰면 사기
P
-value
수학동아
l
201606
사용하는 사례가 많아지면서 통계학 전체를 의심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다”며, “
P
-value는 통계적으로 유용한 방법으로 제대로 알고 사용하면 많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사실
P
-value에 관한 문제는 이를 개발한 로널드 피셔도 알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이를 해결할 방법이 ... ...
P
art 1 그들은 왜 아이를 죽였나
과학동아
l
201605
자신의 자녀를 살해하는 사건이 잇따르고 있다. 월부터 4월까지 언론에 보도된 자녀살해 사건만 총 13건이다. 이들은 대체 왜 자신의 혈육(血肉)을 죽 ... 2006년 1월~2013년 3월까지)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P
art 1 그들은 왜 아이를 죽였나
P
art 2 무관심이 만든 자녀 학대. 어떻게 끊어낼 ... ...
Interview. 합성생물 디자인대회 ‘아이젬(iGEM)’
과학동아
l
201605
입력 값과 출력 값을 갖더라도 거기엔 여러 가지 경로가 있다. 지하철 노선처럼. 길은 AT
P
가 가장 많이 나오는 경로, 깁스에너지가 낮은 경로 등 다양한 조건에 따라 점수를 부여하고 점수가 높은 상위 9개의 경로를 보여준다.김준희 학생(이하 준희) 합성생물학의 ‘지하철 경로 앱’이라고 생각하면 ... ...
[Knowledge] 과학인가 사기인가 과학 데이터와 통계 논란(下)
과학동아
l
201605
다양한 통계자료들을 함께 사용해 가설을 검정하자는 주장이 있다. 미국심리과학회(A
P
S)는 ‘새로운 통계학’이라는 정책을 내놨다. 2014년 초에 ‘심리과학’지를 통해 발표된 이 정책은 과학적 가설검정 과정에서 유의확률과 함께 효과크기, 신뢰구간 등의 다양한 통계치들을 함께 사용할 것을 ... ...
[News & Issue] 과학인가 사기인가 연구신뢰 흔드는 재현성 논란(上)
과학동아
l
201604
최근 주로 지적되는 것은 잘못된 자료 분석 관행이다. ‘영가설 유의성 검정(Null Hy
p
othesis Significance Testing, NHST)’으로 알려진 이 절차는, 그동안 과학자들이 가설의 진위 여부를 검증하는 데 가장 널리 사용해 온 통계 방법이다. 이 절차를 통해 자신의 연구가설을 입증하고자 하는 과학자는 먼저 ... ...
P
art 4. 인공지능의 미래를 가늠하다
과학동아
l
201604
“알파고는 컴퓨터과학의 대표적인 미해결 문제인
P
-N
P
문제에서 우회로를 제시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기존에는 감히 시도하지 못했던 복잡한 문제에까지 인공지능을 적 ... 것들
P
art2. ‘알파크래프트’ 어디까지 왔나
P
art3. ‘딥러닝’ 넘어야 인공지능 시대 온다
P
art 4. 인공지능의 미래를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