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막기
방호
d라이브러리
"
가리기
"(으)로 총 114건 검색되었습니다.
니코틴보다 무서운 첨가제가 200개나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발암물질인 아세트알데히드를 만들기 때문이다.담배 특유의 거칠고 자극적인 냄새를
가리기
위해 넣는 향 첨가제인 멘톨도 니코틴이 몸 안에 고농도로 들어가게 한다. 미국 하버드대 연구자들이 담배회사의 내부문서를 입수해 분석한 결과, 이들이 멘톨의 함량을 조절해 청소년들이 흡연에 쉽게 ... ...
코끼리 무덤의 진실
수학동아
l
2011년 03호
사실은 존재하지 않는 곳이지만 밀렵을 통해 상아를 얻은 사람들이 자신들의 죄를
가리기
위해 ‘코끼리 무덤에서 가지고 왔다’라고 거짓말을 해서 생겨난 말이죠.”“코끼리 무덤이라는 말까지 만들어 내다니 정말 나쁜 사람들이네요.”쿠말로와 함께 도착한 숙소에서 동물들이 처한 상황에 ... ...
달라붙는 속옷이 몸에 좋은 이유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속옷이 몸에도 좋을까.일부러 바깥으로 드러내는 외국과 달리, 한국에서는 속옷을
가리기
에 바쁘다. 외국에서는 속옷도 패션이라며 겉옷과 색깔을 맞추고 패턴을 맞추지만, 한국 문화에서는 아직도 속옷 끈이나 밴드, 레이스 등이 보이면 ‘칠칠하지 못하다’는 인상을 준다. 하지만 아무리 ... ...
Part 2. 수학올림피아드와 슈퍼스타K는 닮았다
수학동아
l
2011년 01호
탄생하기까지 슈퍼스타가 되기 위한 훈련은 계속됐다.슈퍼스타K에서 최종 우승자를
가리기
까지 8개월이 걸렸다면, 수학올림피아드는 1년에 걸쳐 수학스타를 뽑는다. 2010 국제수학올림피아드(IMO)에 참가한 한국 대표들의 선발은 2009년 5월에 열린 한국수학올림피아드(KMO) 1차 시험에서 시작됐다. 이 ... ...
Part 1. 한의학은 과학이다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서너 잔의 독배를 마시고 있다. 많은 사람들이 쓰디쓴 커피(설탕을 듬뿍 넣어 쓴맛을
가리기
도 하지만)를 무척이나 좋아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커피를 먹고 간에 탈이 났다는 얘기는 들어보지 못했다 (카페인 자극으로 위가 나빠졌다는 사람은 있다).“많은 한약재는 수천 년 동안 사용됐고 이 ... ...
제1게임 먼저 두는 사람이 유리한 오목
수학동아
l
2010년 11호
둘 다 홀수 개를 집었으니까 닉쿤 선수가 백, 황찬성 선수가 흑이 되겠습니다.돌
가리기
는 두 선수 모두가 홀수 개 또는 짝수 개를 택하면 앞에 있는 돌이 자기 돌이 되고 서로 다르면 돌을 바꾸게 돼 있습니다. 오목에서는 항상 흑이 먼저 두죠. 황찬성 선수가 흑돌을 정중앙에 놓으며 경기가 ... ...
초파리의 짝짓기에서 인간의 뇌를 보다 - 분자신경행동학 연구실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세포들의 연결이 얼마나 강한지 신경전달물질은 무엇인지 알아내야 한다. 교미후 먹이
가리기
, 알 낳기 등 다른 짝짓기 행동과 관련된 신경세포까지 파악하면 ‘짝짓기 뇌 회로’가 완성된다.“전체 뇌 회로를 완성하는 것은 아직 먼 일이지만 조각조각 나온 결과도 중요해요. 특히 짝짓기 행동은 ... ...
섬유에서 시작하는 패션의 과학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아담과 이브가 나뭇잎으로 몸을
가리기
시작했다는 이야기가 나온다. 인류가 최초로 옷을 지어 입은 건 언제일까. 원시인들은 동물을 사냥해 가죽을 벗겨 몸을 가렸다. 하지만 동물 껍질을 그대로 말려 입으면 딱딱하고 뻣뻣한 단점이 있었다. 옷을 부드럽게 만들 필요가 있었다.전문가들은 스위스 ... ...
누구도 믿을 수 없는 불신의 벽, 편집증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않다. 비교적 증상이 가벼운 환자라면 그가 집착하고 있는 생각의 시시비비(是是非非)를
가리기
전에 그가 ‘왜 그런 생각을 갖게 됐는지’를 살펴봐야 한다. 그러고 난 뒤에 그가 자신을 보는 시각과 타인과 세상을 보는 시각이 객관적으로 어떻게 다른지 알려준다. 이와 함께 편집증적 시각을 ... ...
3D TV 아직도 안경 끼고 보세요?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실감나게 감상하는 식이다. 그러나 패럴랙스 배리어 방식은 검은 LCD 장벽이 화면을
가리기
때문에 렌티큘러 방식에 비해 화면이 어둡다. 또 이용자가 보는 위치를 약간만 바꿔도 장벽에 가려지는 면적이 달라져 화면의 밝기가 변한다.렌티큘러 방식과 마찬가지로 보는 위치가 크게 바뀌면 좌우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