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신생아
갓난애기
d라이브러리
"
갓난아기
"(으)로 총 53건 검색되었습니다.
꿈,뇌간서 전기신호로 발생한 영상과 감정의 뒤범벅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담비도 대부분 렘 수면을 취한다고 한다. 하버드의대의 로버트 맥칼레이 박사는 태아와
갓난아기
들은 렘 수면기가 굉장히 길기 때문에 렘 수면이 두뇌 발달에 중요한 것이라고 말한다. 또 홉슨 박사는 생쥐에게 10일간 렘 수면을 취하지 못하도록 했더니 게걸스럽게 먹어대기 시작했고 결국은 굶어 ... ...
잠의 건강학 수면시간의 「적정선」
과학동아
l
1990년 09호
나에게 얼마만큼의 잠이 필요한가를 결정해주는 기준은?"잠은 하루에 8시간씩 자라." 부모들과 교사 의사들로부터 흔히 듣는 충고다. 그러나 8시간 수면을 하고서는 도저히 공부량 또는 작업량을 완수할 수 없는 사람들에게는 공허한 말일 수밖에 없다.정상적인 수면을 방해하는 대표적인 질환으로 ... ...
최면의 정체
과학동아
l
1989년 05호
최면은 주술도 마술도 아니다. 의학 심리학에 근거를 둔 지극히 과학적인 연구분야인 것이다.대학 1학년생인 한 여학생(K양)이 필자의 진료실을 찾은 적이 있다. 겉보기에는 여느 여학생과 다름 없었던 K양은 공포증때문에 수업시간에 들어갈 수 없다고 호소했다.그래서 필자는 K양에게 공포심을 주 ... ...
국민 10명중 1명 꼴 황달없는 간염이 더 많다
과학동아
l
1989년 01호
잠복기 전구기 황달기 회복기 순으로 진행되는 간염. 그냥 두면 급성간염 만성간염 간경변 간암으로 나아간다. 우리 몸안에서 가장 크고, 해독작용을 비롯해 수많은 일을 하고 있는 장기가 바로 간이다. 그런데 이 간이 지금 심각한 위협에 직면해 있다. 많은 사람들의 간이 간염으로 손상받고 있는 ... ...
신생아의 놀라운 능력
과학동아
l
1989년 01호
조건반사새로 태어난 동물 새끼들은 금방 일어서고 걸어다니기도 한다. 반면 사람의
갓난아기
는 그러한 운동면에서는 뒤늦은 것 같아 보인다. 강아지새끼는 태어나자마자 눈을 뜨기도 전에 발발 기어다니고 사슴새끼는 가늘고 긴 다리를 일으켜 세워 허느적거리며 걸어다닌다.그렇다면 사람의 ... ...
불면 불몽의 건강학 마음먹은대로 잠들 수 있다
과학동아
l
1989년 01호
필요성을 보여준다. 나이와 수면시간은 반비례관계나이에 따라 수면시간도 달라진다.
갓난아기
는 하루중 14~15시간을 잠으로 보내지만 생후 6개월이 되면 13~14시간 정도 잔다. 국민학생의 수면시간은 대개 10~11시간.또 청소년들은 8~9시간, 성인이 되면 7~8시간, 노인들은 약 6시간 동안 잔다.다시 말해 ... ...
인류는 어떻게 변할것인가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특징이라면 후두가 높은 원시인들은
갓난아기
처럼 불분명한 발음 밖에 못했다(현대인의
갓난아기
도 후두가 높아 젖을 먹으면서 호흡이 가능하다.)손의 형태가 우리와 큰 차이없는 네안데르탈인이 만든 석기는 대단치는 않지만 제작공정이 몇 단계로나뉘어 있어 원리적으로 빼어나다. 약점은 끝 ... ...
조기교육, 이래서 중요 3~11살 사이에 두뇌발육 절정
과학동아
l
1986년 11호
나이에 따라 대사 활동의 정도가 크게 다른것을 알고 놀랐다고 말했다.한살 이내의
갓난아기
의 대사율은 성인에 비해 3분의2정도이며 2살에 가까와지면 성인과 비슷해지는데 특히 이때에는 두뇌중에서도 고도의 지능관계를 조정하는 대뇌피질의 활동이 현저하다고 한다.또 3살이나 4살이 되면 ... ...
당뇨병 완치 가능하다 세포이식의 새로운 치료법
과학동아
l
1986년 10호
작동하지 않은것 즉 관용성(Tolerance)이 있다는 것이다. 신장이식수술환자에게 면역체계가
갓난아기
의 것처럼 되게하는 T.L.I(Total lymphoid irradiation) 방법이 쓰여지고 있다. 이것은 당뇨병의 치료에도 시사를 던져준다 ... ...
뇌발달의 시각화 성공
과학동아
l
1986년 07호
왕성한 부위가 붉은 색, 저조한 부위가 푸른색으로 나타나 있다. 왼쪽 끝 생후 5일의
갓난아기
의사진에서 붉은 두개의 반점은 시상(視床)이다. 이것은 단순한 운동을 조절하거나 촉각 등의 감각을 지배하는 부위로서 활발히 활동한다. 아래쪽에 있는 시각(視覺)의 피질은 아직 그다지 활발하지 않다.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