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고도"(으)로 총 2,133건 검색되었습니다.
- [누리호] 최초의 실전 비행 성공과학동아 l2023년 07호
- 태우고 5월 25일 오후 6시 24분,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에서 발사됐다. 누리호는 목표 고도 550km에서 목표 속도인 초속 7.58km로 인공위성 7기를 분리 및 사출하는 데 성공했다.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누리호, 최초의 실전 비행 성공Part1. 누리호 화보Part2. 누리호 발사 3일의 현장Part3. ... ...
- [누리호] 누리호 발사, 3일간의 현장과학동아 l2023년 07호
- 때까지 속도는 초속 1.8km 정도지만 2단이 분리될 때는 초속 4.3km에 이릅니다. 그리고 목표 고도 550km에서는 목표 속도인 초속 7.58km까지 속도를 냅니다. 2021년 10월 누리호 1차 발사가 아쉽게 실패한 이유가 바로 이런 목표 속도에 미치지 못해서였습니다. 1단 분리(125초), 페어링 분리(234초), 2단 분리(27 .. ...
- [SF소설] 귀향과학동아 l2023년 07호
- 시간은 우주와 다르게 흐르리라. 우린 광속에 가까운 속도로 여행하고 있었다. 시간은 고도로 팽창할 것이다. 그 틈새에 끼어서 지아에겐 몇 년이 될 몇 달의 시간을 보내며, 이따금 빈자리를 느꼈다. 그 애의 시간을 난 이해할 수 없겠지.처음으로 지구가 그리워졌다. 긴 여정 끝에 도착한 행성은 ... ...
- [러셀 탐구생활] 러셀의 삶을 뒤흔든 역설수학동아 l2023년 06호
- 바흐의 무반주 첼로 모음곡이 그렇듯이 수학은 가장 단순한 개념들만 가지고서 고도로 추상적이고 우아한 세계를 구축합니다. 그 결과물이 현실에 아무 쓸모가 없을지라도 수학자들은 우아함 자체에 만족하지요.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의무감이 아닌 열정으로 수학을 공부하는 학생에게는 ... ...
- 다가온 누리호 3차 발사, 발사 관전 포인트는 ‘위성’과학동아 l2023년 06호
- 페어링이 분리되며 4분 32초 후에는 2단 분리가 진행된다. 발사된 지 13분 3초가 흐르면 고도 550km에 도달해 차세대소형위성을 먼저 분리한다. 이어 위성간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20초 간격을 두고 져스텍, 루미르, 카이로스페이스, 도요샛 1~4호기가 차례로 분리된 뒤 비행을 종료하게 된다. 이상률 ... ...
- Habitat ‘화성 1년 살이’를 계획 중이라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빨리 회전하는가에 따라 양력이 좌우된다”며 “날개가 도는 속도에도 한계가 있고, 고도가 높아질수록 대기가 옅어지기 때문에 헬리콥터에 사람이나 짐을 실으려면 어느 정도의 무게까지, 얼마나 높이, 얼마나 빠르게 운송할 수 있을지 등의 문제를 풀어야한다”고 했다. 전 교수는 “로켓을 ... ...
- [지웅배의 '최애 은하'] 달 천문대에서 은하를 보는 날이 온다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20개가 에어버스의 원웹 위성들이다. doi: 10.1038/s41550-023-01903-3 2030년이 되면 허블과 유사한 고도에 약 6만~10만 개의 위성이 올라간다. 그렇게 되면 허블 우주망원경이 촬영한 이미지들 중 인공위성이 찍혀서 버려야할 사진 비율은 20~50%에 이를 것이다. 우주 개발과 천문 관측이라는 두 마리 ... ...
- ‘접시뇌’에게 컴퓨터 게임을 시켰더니과학동아 l2023년 06호
- 기억이 가능해진다면 OI의 혁신이 일어날 것”이라 전망했다. 하퉁 교수는 논문에서 OI가 고도로 발달한다면 ‘바이오컴퓨터가 의식을 가지면 어떡할까’와 같은 윤리적 문제가 추후 나타날 수도 있다고 예측했다. 뇌세포 바이오컴퓨터가 일상에 들어오려면 얼마나 기다려야 할까. 코티컬 랩스의 ... ...
- 생물학자가 본 바이오컴퓨터의 미래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정교한 커넥톰이 자발적으로 형성되지 못한다면 좋은 메인보드와 메모리를 구하고도 제대로 조립하지 못한 셈이 된다. 이런 측면에서 오가노이드들끼리 연결해서 신경 회로를 만들고자 하는 다양한 연구들은 바이오컴퓨터에 실제 뇌 같은 신경 회로를 구현하기 위한 핵심 기술이 될 것이다. 위 두 ... ...
- [논문탐독] 미래 우주로 향하는 로켓 추진체, Alice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위한 연구입니다. 연구진의 목표는 ‘알루미늄과 얼음(Al+ice=Alice, 이하 Alice)’을 고도 200~2000km 저궤도(LEO)에 장기 보관이 가능한 로켓 연료로 만들어 우주탐사에 사용하는 겁니다. 저궤도의 온도는 매우 낮기 때문에 물이 아닌 얼음 상태여야 하고, 얼음일 때 로켓연료가 그 형상을 유지할 수 ...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