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고려대"(으)로 총 615건 검색되었습니다.
- 코로나19 Q&A 리포트 과학동아 l2020년 10호
- 6.3%)보다 경증 및 중등도 환자(14.7%)에게서 더 많이 나타났다. doi: 10.1002/jmv.26368최원석 고려대 안산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기존에 중증 환자의 후유증 사례를 연구한 결과가 많았던 것은 주요 임상연구 대상이 중증 환자였기 때문”이라며 “감염이 면역체계에 문제를 일으킨다면 중증도와 관계없이 ... ...
- 과학자와 떠난 ‘언택트’ 여름 휴가, 사이언스 바캉스과학동아 l2020년 10호
- 바캉스는 양자역학 연구자인 김상욱 경희대 물리학과 교수가 특별 사회자로, 송대섭 고려대 약대 교수, 이재담 울산대 의대 교수 등 두 전문가가 패널로 함께 했다. 5월 한국생명공학연구원과 함께 코로나19 백신 후보물질을 개발한 송 교수는 최근 화제가 된 러시아 백신 이야기로 청중들의 눈과 ... ...
- [과동키즈] 치료에서 변호로 꿈은 변하는 것과학동아 l2020년 10호
- 더 적극적으로 활동하고 싶었다. 결국 나는 치과의사 면허를 취득한 지 5년 뒤인 2011년 고려대 법학전문대학원(로스쿨)에서 법학도의 길을 걷게 됐다. 의학을 공부했기 때문인지 의료법이나 과학, 공학 등과 관련한 분쟁 사건에 더 많은 관심이 갔다. 특히 특허 관련 판례를 공부할 때 특허나 기술에 ... ...
- [이달의 책] Science Fact가 된 Science Fiction과학동아 l2020년 09호
- 희귀질환은 경제성을 이유로 연구개발이 많이 이뤄지지 않기 때문이다. 저자인 김준곤 고려대 화학과 교수는 난치병인 신경모세포종을 과학자의 관점에서 설명하고, 또 환자 보호자의 시선으로 살펴본다. ● Science Book 동아사이언스가 소개하는 해외의 ... ...
- 논란 많은 러시아 백신 집중 분석과학동아 l2020년 09호
- 나오고 있다. 그럼에도 3상 임상시험의 결과가 어떨지는 아무도 예상할 수 없다. 송대섭 고려대 약학과 교수는 “현재 공개된 임상시험 논문을 살펴보면 코로나19 백신은 일반적인 백신보다 부작용 빈도가 높은 편에 속한다”며 “대규모로 진행되는 3상 임상시험의 특성상 1상과 2상에서 나타나지 ... ...
- 영화 '#살아있다' '반도' 속 좀비 바이러스 분석과학동아 l2020년 08호
- 인테그린은 우제류와 구조가 달라 구제역바이러스가 이를 인식하지 못한다. 김우주 고려대 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바이러스가 숙주세포를 감염시키기 위해서는 숙주세포의 막 수용체(단백질)를 인식하는 기능이 핵심”이라며 “종마다 다른 수용체를 모두 인식하는 수용체를 하나의 ... ...
- USA┃INTERVIEW “셜록 홈즈처럼 화성 미스터리 풀겠다”과학동아 l2020년 08호
- 부부서장과 e메일 인터뷰를 진행했다. 인터뷰는 비글 부부서장과 사제지간인 김준곤 고려대 화학과 교수가 맡았다. 셜록을 소개해달라셜록은 퍼시비어런스의 로봇팔에 달린 분광분석기로, 분광 이미지를 찍는다. 분광분석기가 미네랄, 화합물, 유기물 등을 감지하면 함께 장착된 두 대의 현미경이 ... ...
- 코로나19 치료에 덱사메타손 득일까? 실일까?과학동아 l2020년 08호
- 중증의 코로나19 환자에게 효과를 보이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고 분석한다. 최원석 고려대 안산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산소호흡기 치료가 필요할 정도의 중증환자는 사이토카인 폭풍처럼 과도한 면역 반응으로 인해 폐 기능이 상실된다”며 “이때 덱사메타손과 같은 스테로이드제를 처방하면 ... ...
- 더워지는데, 등교하는데… 코로나19 언제 멈출까과학동아 l2020년 06호
- 혈청 검사에서 주로 검출하는 항체는 면역글로불린M(IgM)과 면역글로불린G(IgG)다. 김우주 고려대 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혈액 내 면역글로불린M과 면역글로불린G가 검출됐다는 것은 바이러스가 체내에 침투해 병을 앓고 난 흔적에 대한 증거”라고 설명했다. 혈청 검사는 실제 감염자 수를 ... ...
- 인공 눈, 인공 팔, 인공 몸... 인체 개조 드라마 '루갈'과학동아 l2020년 05호
- 이들 제품 이상의 성능을 내는 망막용 신경 전극 칩의 특허를 출원한 상태다. 현재 고려대 의대, 충북대 생리학교실 등과 함께 이를 상용화하기 위한 작업을 진행 중이다. 기범에게 장착한 양자컴퓨팅 칩 역시 먼 미래의 얘기다. 양자컴퓨팅 칩을 구현할 큐비트(qubit)를 만드는 게 쉽지 않을 뿐만 ...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