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소
위치
소재지
공간
자리
현장
집
d라이브러리
"
곳
"(으)로 총 10,917건 검색되었습니다.
[특집] 개코와 똑같다?! 복제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4호
“다만 여러 털 색깔을 지닌 동물을 복제할 경우, 색을 결정하는 요인이 핵 외에 다른
곳
에도 있어 털 색이 다를 수 있다”고 말했어요. 반려동물을 복제하려면 6000~8000만 원의 비용을 지불해야 합니다. 그럼에도 반려동물을 복제하려는 사람들은 점점 많아지고 있어요. 체세포 보관 업체인 ... ...
[화보] 바다생물을 찾아서 바다로 다이브!
과학동아
l
2024년 04호
있죠. Q. 과학동아 독자에게 전하고 싶은 말이 있나요?바다는 생명이 탄생하고 진화한
곳
입니다. 바다생물은 우리의 생명의 고향에서 장구한 세월을 살아오며 놀라운 능력을 갖춘 존귀한 존재이자, 지구의 수십억 년 역사를 함께한 지구 가족입니다. 우리가 이해하는 바다생물의 비밀은 극히 ... ...
“20년 전 제언이 여전히 유효, 이제는 직접 바꾸겠다”_정우성
과학동아
l
2024년 04호
들어올 계획입니다. AI 반도체는 기존 반도체 게임과는 완전히 새로운 영역입니다. 이
곳
에서 한국의 새로운 기간산업을 구축하는 길을 닦는 역할을 맡았다고 생각합니다. Q 마지막으로 각오 한마디를 들려달라저희 집에는 이공계 진로를 꿈꾸는 중학교 3학년 그리고 초등학교 6학년인 아이들이 ... ...
[가상인터뷰] 소변을 연료로 쓰는 나노로봇 등장!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4호
크리스티나 시모 연구원은 “다른 세포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도 목표로 하는
곳
에만 집중 치료가 가능하기 때문에 부작용이 적은 암 치료 방법이 될 것”이라고 말했어 ... ...
대기오염 예보는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으로!
수학동아
l
2024년 04호
점막에 부딪히면서 막힌다. 하지만 지름 2.5㎛ 이하의 ‘초미세먼지’는 폐 깊숙한
곳
까지 들어간다. 2.5㎛는 머리카락의 굵기의 약 25분의 1밖에 안 되는 값이다. 표면적이 크면 바람의 영향을 그만큼 많이 받아 공기 중에 더 오래 떠 있을 수 있고, 인체에 더 많이 붙을 수 있다. 게다가 미세먼지 ... ...
[다시 쓰는 과학교과서] 표준모형 너머 우주의 근본 이론 찾는다
과학동아
l
2024년 04호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비활성 중성미자를 잡아내기 위해서는 중성미자가 생성되는
곳
에서 수십m 이내로 떨어진 매우 가까운 거리에 검출기를 설치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국내의 경우, 전남 영광 한빛원자력발전소가 조건에 부합했다. 원자력 발전 과정에서 중성미자가 다량 생성되기 ... ...
[SF소설] 타디그레이드 피플
수학동아
l
2024년 04호
가쁘게 진동하던 선의 고막에 예상치 못한 그리운 목소리가 덧씌워졌다.“선내가 있는
곳
으로오세요”그 목소리는 분명 우나였다. 어렴풋이 들렸지만 우나가 분명했다. 선은 자신의 한쪽 귀에 이어폰이 여전히 끼워져 있는 것을 확인하고는 넘어가기 직전의 숨을 억지로 짜내어 외쳤다 ... ...
영화를 DNA에 저장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3호
미래에, 지구보다는 지구 밖에서 더욱 필요한 기술이야. 바로 내가 있는 달 도서관 같은
곳
에서 말이야. 그 이유를 알려줄게! 폭발적으로 늘어나는 데이터를 보관하려면? 2018년 IT분야 분석 기관인 국제데이터코퍼레이션(IDC)은 인류가 만든 모든 정보의 용량이 2025년 기준 175ZB(제타바이트)●에 달할 ... ...
OUTRO 탈출 도파민 중독! 도파민 디톡스 앱 사용기
과학동아
l
2024년 03호
되겠죠. 이를 막기 위해선 다음 단계로 그동안 소셜 미디어가 줬던 효능감을 다른
곳
에서 찾는 일이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소셜 미디어에서 소속감을 느끼고 있었다면 축구나 오케스트라 같은 그룹 활동을 하는 것이 유효할 겁니다. 김주현 한국뇌연구원 정서인지질환 연구그룹 선임연구원_오늘날 ... ...
[한눈 과학] 3월⟶ 1월 봄 시작 당겨진다
과학동아
l
2024년 03호
가정한다. 현재 대비 21세기 후반기에 연평균기온이 가장 많이 증가하는 지역은 서울 등 7
곳
으로 전망됐으며, 이들 지역에서 연평균기온은 약 2.4℃ 증가했다. SSP2-4.5 시나리오 : 기후변화 완화 및 사회경제 발전 정도가 중간단계를 가정한다. 이 시나리오부터 SSP5-8.5 시나리오에 이르기까지 21세기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