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로"(으)로 총 304건 검색되었습니다.
- [Culture] ‘슈퍼 파워’ 가졌지만 저체온증 시달려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벙커에서 숨죽여 지내며 인류 종족을 보존하겠다는 사명감이다. 사프라넥은 선택의 기로에 놓인다. 사명감을 가진 최후의 인류가 돼 벙커로 들어설지, 아니면 남은 인생을 행복하게 보낼 것인지. 당신이 14분의 1로 줄어들었다면 인류를 위해 어떤 선택을 할 것인가 ... ...
- [종목3] 루지, 이미지 트레이닝도 VR로 실전처럼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일반인 7명을 탑승시킨 뒤 작동하는 동안 나타나는 다리 근육의 활성도를 근전도검사기로 측정했다. 인체가 시뮬레이터를 얼마나 사실적으로 받아들이는지 확인하기 위해서다. 분석 결과 허벅지 앞부분의 길게 뻗은 근육인 대퇴직근은 코스에 따라 시뮬레이터의 앞뒤 방향 기울기가 커지면서 좌우 ... ...
- [규정] 도핑 ZERO ‘클린 올림픽’ 만든다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유전자 도핑이 실현될 가능성이 낮아 이번 평창 동계올림픽에서는 적용하지 않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과학으로 金빛 질주, 국가대표 사이언스[종목1] 스피드스케이팅, 0.1초 단축 위해 찰나의 순간 분석[종목2] 스켈레톤, 세계랭킹 1위 도운 DNA 훈련법[종목3] ... ...
- Part 3. [활약2] 지구를 넘어 화성까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2호
- 힘을 주면, 반작용의 힘으로 큐브샛을 원하는 위치로 움직이게 할 수 있지요. 추력기로 큐브샛의 이동 거리를 늘릴 수도 있어요. 추력기는 크게 두 가지로 구분이 돼요. 산화제와 연료를 태워서 ‘팡’ 하는 큰 힘을 만들어 한 번에 멀리 가는 ‘고출력 출력기’와 플라즈마 이온을 조금씩 내보내서 ... ...
- [Issue] 심장마비에 기침이 효과?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의무적으로 구비된 자동심장충격기(AED)가 이 경우 유용하게 쓰이죠. 다만, 자동심장충격기로 심장충격을 실시할 때는 심폐소생술을 멈추고 환자에게서 손을 떼야 합니다. 또 다른 사람이 환자에게서 떨어져 있는지도 확인해야 합니다. 2000볼트(V) 이상의 고압 전류를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 ...
- [Future] ‘ 마션 인 하와이 ’ 8개월의 기록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닮았다. 2012년 NASA가 보낸 화성탐사로봇 ‘큐리오시티(Curiosity)’가 화학및광물분석기로 분석한 결과 화성 표면은 오랫동안 풍화된 현무암질인 것으로 밝혀졌다. 이와 비슷하게 마우나 로아 지역도 화산이 분출한 화구 주변에 마그마가 퇴적하면서 해발 약 2500m에 작은 언덕이 생겼다. 이곳은 생긴 지 ... ...
- [Origin] 1kg 정의, 130년 만에 바뀐다과학동아 l2017년 11호
- mg) 단위의 질량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힘들다는 단점도 있었다. 플랑크 상수로 kg 정의하기로과학자들은 인공물 대신, 변하지 않는 상수로 기준을 바꾸자고 제안했다. 불가능한 아이디어는 아니었다. 길이의 단위인 미터는 원기 대신 ‘빛의 속력’을 이용해 정의하도록 1983년 바뀌었다. 빛은 ... ...
- 네 감정을 맞혀볼까? 취조실에 나타난 표정분석기수학동아 l2017년 09호
- 아깝다’와 ‘어서 원고 써야 하는데’라는 생각이 가득했습니다. 지금의 표정분석기로는 가짜 표정을 구별할 수 없었습니다. 표정분석기 대해부! 가짜 표정도 꿰뚫어 보는 표정분석기를 만들려면 지금 쓰이는 분석기의 원리부터 알아야 합니다.이모션을 포함한 표정분석기 대부분은 심리학자 ... ...
- Part 3, 기후변화 최대 피해지, 북극 스발바르는 지금과학동아 l2017년 03호
- 그러나 지금은 작은 유빙 위에서 겨우 몸을 가누고 있거나, 헤엄을 치면서 생사의 기로에 있는 모습만 보게 된다. 과거 북극탐사에서 한 번도 경험하지 못했던 폭풍우도 늘었다. 2012년 8월 북극해 탐사에서 두 번이나 폭풍을 만나 고립됐던 기억이 아직도 생생하다.기후 조절 ‘심장’, 북극해의 이상 ... ...
- [Future] 주목받지 못한 반도체 영웅, 강대원 박사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약품처리를 해서 원형 구멍을 만들 수 있었고, 그 유리판을 반도체 위에 씌운 뒤 증착기로 원하는 위치와 모양으로 알루미늄을 씌울 수 있었다. 김충기 교수는 “벨 연구소는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을 한 곳에 모아서 연구하는 융합연구를 이미 1940년대부터 시작해 최초로 트랜지스터(BJT)를 개발한 ...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