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관
환관
고자
화자
nash
d라이브러리
"
내시
"(으)로 총 61건 검색되었습니다.
공주는 왜 해적이 됐을까
수학동아
l
2011년 02호
피우는 것 좀 도와주시겠어요?”“헛소리 하지 마라. 네 녀석 때문에….”“화는 나중에
내시
고 제 말을 들어주세요.”불을 피우고 조금 기다리자 칠흑 같은 밤바다 저편에 불빛이 하나둘 보이기 시작한다.“상자를 열어 보셔야죠? 초상화에 없던 마지막 마무리…. 잃어버린 왕실의 도장. 맞죠? ... ...
구불구불~, 속 보이는 발명여행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9호
찾은 홈즈.“일단 응급처치는 했는데 자세한 것은
내시
경을 해 봐야…. 이번엔 직장
내시
경을 해야 할 것 같은데….”썰렁홈즈는 또 다시 기절했다. 어쨌든 이번에도 무사히(?) 진찰을 받을 수 있을 것 같다.일러스트 : ... ...
지오의 나라
수학동아
l
2010년 12호
상감마마께서 찾으십니다.”문밖에서 다급한 목소리가 들려왔다. 임금을 모시는 대전
내시
였다. 임금이 곧 황산사를 찾을 거라던 공주의 생각이 맞았던 것이다. 황산사는 급히문정전으로 달려갔다.“혹시 상감마마께서 연월기 만드는 일을 그만두라고 하시는 거 아녀?”천복의 말에 모두들 낯빛이 ... ...
당신은 날 믿었어야 했어요!
수학동아
l
2010년 11호
수학 없이 살 수 없었던 인생, 그리고 천재 수학자 부녀의 이야기를 만나 보는 건 어떨까?
내시
는 그저 과거에 수학을 잘했지만 세상의 끈을 놓아버린 사람으로 잊혀져 갈 뻔했다. 본인의 아픔을 기적처럼 이겨 내고, 그는 본인의 능력과 수학에 대한 열정이 우리와 조금 달랐음을 결국 증명해냈다. 4 ... ...
컴퓨터 바이러스, 사람 몸에도 침투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전송한다. 캡슐을 삼킨 뒤 평상시와 다름없이 활동하다가 수신 장치만 병원에 반납하면
내시
경 검사가 끝난다. 현재 연구팀은 원격조종으로 몸 안의 모든 부위를 촬영할 수 있는 캡슐을 개발하고 있다.올 5월에는 살아 있는 동물의 혈관 속을 누비며 혈전으로 막힌 혈관을 뚫는 초소형 로봇이 ... ...
비타민C로 만든 전기 맛 한번 보실래요?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페이스메이커가 대표적이고, 알약 크기만 한 캡슐에 초소형 카메라가 달려 있는 캡슐형
내시
경도 그렇다. 지난 5월 16일에는 박종오 교수가 이끄는 전남대 로봇연구소가 지름 1mm, 길이 5mm의 원통형 마이크로로봇을 만들어 돼지의 혈관에 넣고 원격으로 조종하는 데 성공했다. 이 로봇은 혈관 속을 ... ...
Part 1. 암호의 세대교체!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창제한 뒤 궁녀들은 한글을 이용한 암호를 만들어 낙서 수다를 즐겼어.예를 들어, ‘김
내시
는 대머리’라는 말은 ‘一 ㅣ 五 二 ㅐ 七 ㅣ 二 一 二 三 ㅐ 五 ㅓ 四 ㅣ’ 이라고 썼어. 한글의 자음은 수를 나타내는 한자로 바꾸고 모음은 그대로 써서 만든 거지.컴퓨터로 소인수분해하면 얼마나 걸릴까 ... ...
탄생 170주년 카메라의 무한 변신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닮은 셈이다.문제는 이렇게 되면 부피가 커져 ‘고통 없이 진단 받는다’는 캡슐형
내시
경의 최대 장점이 사라진다는 점이다. 이 때문에 세계적인 연구기관인 스위스의 로봇지능공학연구소(IRIS)에선 알약 형태의 기기를 한 칸 한 칸 삼킨 뒤 뱃속에서 자기력으로 결합시키는 내용의 논문이 ... ...
“내 아기를 부탁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유명한 뻐꾸기와 쌍벽을 이룰 나비의 생태가 밝혀졌습니다. 덴마크 동물학자 데이비드
내시
박사는 유럽산 잔점박이푸른부전나비가 자신의 애벌레를 개미가 키우도록 한다는 사실을 알아 냈어요.이 나비가 습지의 풀 위에 알을 낳으면 습지를 돌아다니던 개미는 그 알을 자신의 알로 착각하고 ... ...
뻐꾸기도 울고 갈 영악한 나비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애지중지 키운다. 그렇다면 개미는 왜 나비의 알을 자신의 알이라고 착각하는 걸까.
내시
박사는 개미가 자신의 알을 독특한 냄새로 알아본다는 사실에 착안해 나비와 개미의 알에서 풍기는 냄새를 각각 분석했다. 그 결과 나비와 개미의 알이 갖고 있는 화학물질이 60% 비슷하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