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해"(으)로 총 8,188건 검색되었습니다.
- 리만 가설의 단초 제공한 오일러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소수에 관한 추측도 제시했다. 음수가 아닌 정수 n에 대해 22^n + 1꼴의 수는 모두 1과 자신만을 약수로 갖는 소수라는 게 그의 추측이다. 현재는 이런 수를 ‘페르마 수’라 부르며 Fn으로 표기한다. 예를 들어 F0는 3, F1은 5로 명백한 소수다. 비슷한 방법으로 계산해보면 F2 = 17, F3 = 257, 그리고 F4 = 6553 ...
- 2000년 이상 난제, 쌍둥이 소수 추측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알퐁스 드 폴리냐크가 쌍둥이 소수 추측을 일반화했다. 임의의 자연수 k와 소수 p에 대해 p - p′ = 2k를 만족하는 순서쌍 (p, p′)가 무한하다는 명제를 만든 것이다. 쌍둥이 소수 추측은 k = 1일 때에 해당한다. 그런데 이 문제의 증명은 생각처럼 쉽지 않았다. 에우클레이데스는 ‘간접 증명’을 통해 ... ...
- [신의 책] 선택의 순간을 설명하는 몬티 홀 문제수학동아 l2024년 02호
- 2/3가 될 수밖에 없어요. 만화에서 재희는 5개의 선택지를 가진 5지선다형 문제에 대해 친구들에게 설명하면서 몬티 홀 문제를 언급하는데요. 이 문제를 5지선다형 문제에 적용하면 아래와 같은 질문으로 바꿀 수 있어요. 해답은 뭘까요? 처음에 뽑은 답이 정답일 확률은 1/5, 즉 20%지요. 답지를 ... ...
- Part1. 휴머노이드 로봇 AI로 ‘퀀텀점프’할까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점이다. 바로 AI다. 앞서 테슬라와 삼성전기를 이끄는 이들이 휴머노이드 개발에 대해 말할 때 ‘뇌’ 또는 ‘AI’란 키워드를 함께 언급한 데에는 이유가 있다. 현재 과학기술계의 가장 큰 화두인 AI는 로봇에서도 어김없이 큰 파도를 일으키고 있다. 한국기계연구원이 2024년 1월 발간한 ... ...
- [검찰청 과학수사노트 2] 알코올과 마약, 흔적은 반드시 남는다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부서가 바로 대검찰청 과학수사부 DNA화학분석과다. 이곳에서 수행하는 법화학 감정에 대해 더 자세히 알아보고자 1월 2일 오후, 대검찰청 과학수사부 DNA화학분석과의 법화학실을 찾았다. 화학물질을 분석하는 각종 장비들이 빼곡히 늘어선 실험실이 기자를 반겼다. 법화학실에서 만난 김진영 ... ...
- [만화뉴스] 햄버거와 아이스크림, 야채보다 더 식욕 당길까?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참가자에게 맛을 상상하게 한 뒤 음식에 대한 선호도와 먹고 싶은 욕구, 단맛, 짠맛 등에 대해 답하도록 했죠. 연구 결과, 가공식품이라고 더 식욕을 느끼는 것은 아니었어요. 대신 단맛과 짠맛 등에 대한 선호가 식욕에 영향을 주었지요 ... ...
- [광고] 콩나물쌤과 함께하는 문해력 속담왕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알려 주고, 나만의 표현으로 직접 속담을 바꿔 보도록 하죠. 다양한 과정을 통해 속담에 대해 깊이 생각해보며 문해력과 어휘력을 키울 수 있어요. ‘고래 싸움에 새우 등 터진다’는 속담은 어떻게 나왔을까요? 남의 싸움에 끼어 들었다가 피해를 봤던 옛 선조들의 삶의 지혜가 말을 통해 전해져 ... ...
- 누구에게나 열려 있는 거대 소수 찾기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인류 역사에서 의미 있는 것’이라는 사실을 알게 됐기 때문”이라고 했다. 소수에 대해 더 많은 이야기를 학생들에게 들려주고 싶어 인터넷에서 다양한 자료를 찾던 최 씨는 1997년 GIMPS를 알게 됐다. 그저 수학의 힘과 논리로 거대한 소수를 찾을 수 있다는 점이 놀라웠다. 수학에 경외심마저 ... ...
- 편지에서 시작된 난제 골드바흐의 추측수학동아 l2024년 02호
- 다시 오일러의 이야기로 돌아가 보자. 리만 가설보다 더 오래된 난제 이야기다. 한 편지에서 시작된 소수에 관한 난제 ‘골드바흐의 추측’이다 ... 사실이 확인돼 있다. 하지만 이 수보다 큰 수에서 예외가 발견될 수 있다. 그 후의 짝수에 대해서 정확히 성립하는지 아무도 증명하지 못했다 ... ...
- 쌍둥이 소수 추측으로 필즈상 수상한 제임스 메이나드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수상 이후 그는 대중 강연에서 종종 모습을 드러내는데, 그때마다 소수의 아름다움에 대해 연설한다. 메이나드 교수는 2022년 필즈상 시상식 당시 와의 인터뷰에서 “열정적이고 또 열정적인 수학자로 기억됐으면 좋겠다”라며 포부를 밝혔는데, 그의 앞으로의 연구 결과가 기대되는 ...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