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동양"(으)로 총 693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으로 무장한 조선의 천문학자수학동아 l2019년 08호
- 천문학자가 왜 수학을 잘해야 하냐고요? 고차원 문제도 해결한 수학 실력고려 충선왕은 동양 최고의 역법인 ‘수시력’을 중국에서 들여왔습니다. 수시력은 정교한 역법인 만큼 보통 수학으로는 다룰 수 없었습니다. 한 예로 수시력에는 황도좌표와 적도좌표를 변환하는 내용과 함께 그 변환하는 ... ...
- 불 난 노트르담 대성당, 복원될까요?수학동아 l2019년 06호
- 전라북도 익산시 미륵사 터에 남아있는 미륵사지 석탑은 7세기 백제시대에 건축된 동양에서 가장 오래된 석탑입니다. 하지만 고려시대에 벼락을 맞아서 한 차례 크게 파손됐고, 이후 계속적으로 돌이 무너지자 1915년 한반도를 식민 지배하던 일본이 시멘트를 부어서 붕괴를 막았습니다.80년 이상 ... ...
- 영화 ‘맨 인 블랙’ 외계인 vs. 지구 생명체 능력 대결과학동아 l2019년 06호
- 가능성을 주장하는 인물이 있다. 영국 일간 가디언은 4월 29일자에 지영해 옥스퍼드대 동양학부 교수의 인간과 외계인의 혼혈 가능성에 대한 언급을 보도했다. 지 교수는 1999년 출판된 데이비드 제이콥스의 소설 ‘위협: 외계인의 비밀을 들추다(The Threat: Revealing the Secret Alien Agenda)’를 접한 뒤 20년 ...
- 대륙 스케일 자랑하는 중국판 SF '유랑지구'과학동아 l2019년 05호
- 매번 미국인이 세계를 구하는 영화만 보다가 우리나라 사람은 아니어도 외모가 비슷한 동양인이 세계를 구하는 이야기를 보니 색다르고 즐거웠습니다. 그리고 블록버스터 영화답게 화려한 볼거리가 많습니다. 태양에서 멀어져 얼어붙은 세상, 플라스마를 내뿜으며 우주를 날아가는 지구, 그리고 ... ...
- Part 3. 나가고 싶지 않아요! 먹지 말아 줘요!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신석기 시대부터 이어져 내려온 전통 문화라고 설명하지요. 또 1909년 일본이 장생포에 동양포경주식회사의 포경 기지를 세우며 본격적으로 한국의 고래잡이 대표 기지로 자리잡았다고도 설명하지요. 그런데 생태축제라는 홍보와 달리 울산고래축제는 관광객들에게 바로 근처에 있는 고래고기 ... ...
- [과학뉴스] 우주 역사 137억 년간 별빛 총량은?과학동아 l2019년 01호
- 데이터를 분석해 감마선의 양을 알아냈다. 그 결과 광자의 총합은 약 4×1084개로, 동양에서 가장 큰 숫자단위인 무량대수(1068)보다도 약 4경 배 많았다. 연구팀은 약 100억 년 전에 별 생성량이 최대치를 기록했으며, 현재 우리 은하에서만 매년 약 7개의 새로운 별이 생성되고 있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 ...
- [화보] 희망을 노래하는 유쾌하고 멋진 세계수학동아 l2019년 01호
- 하트 프로젝트죠. 2018년에는 서양에서만 진행해서 아쉬웠어요. 올해 크리스마스에는 동양의 아이들도 만나고 싶어요. 전 세계 가족들과 함께 행복을 나누는 거예요. 물론 한국에서도 하트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싶어요. 제 작업이 궁금한 친구들은 한 달간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교육 키트를 ... ...
- Part 1. 한국 수학자 152명이 고른 ‘타임캡슐에 담을 수학’은?수학동아 l2019년 01호
- 숫자가 수로서 역할을 하지 못했다. 다만 이미 너무 좋은 기호가 있어 불편함이 없었던 동양은 산가지 이상으로 발전하지 못하고 근대수학으로 넘어가는데 또 다른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 이처럼 숫자와 수학의 발전은 아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서양 수학의 증폭제가 된 아라비아 숫자 좋은 ... ...
- Part 1.별자리, 누가 왜 만들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오리온의 모습으로 생각했어요. 이어진 별 세 개를 오리온의 허리띠라고 생각했죠. 동양에서는 오리온의 허리띠인 별 세 개가 세 명의 장군이라 상상하고, 이들만 따로 묶어 삼수(參宿)라는 별자리로 만들었어요. 오스트레일리아의 원주민들은 오리온자리의 별 세 개를 카누에서 물고기를 잡는 세 ... ...
- Part 1.새로운 실크로드가 온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이때부터 중국은 본격적으로 서방 국가에 비단을 수출할 수 있었다. 마르코 폴로, 동양을 알리다! | 1271년, 이탈리아의 상인 마르코 폴로가 아버지, 삼촌과 함께 터키, 이란, 아프가니스탄, 중국 등을 다녀온다. 이후 마르코 폴로의 경험담을 들은 이탈리아인 루스티켈로가 이를 받아 적어 ...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