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디스플레이"(으)로 총 489건 검색되었습니다.
- [융복합 파트너@DGIST] '씨앗' 키워 정제까지...친환경 퀀텀닷 레시피과학동아 l2020년 06호
- ◇꽤 어려워요 빨강, 주황, 노랑, 초록, 파랑…. 선반 위 시약병에 담긴 알록달록한 액체가 시선을 끌었다. 이제 막 제작된 신선한(?) 퀀텀닷 입자가 ... 높은 색을 표현하면서도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보다 더 유연하게 구부러지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 [퀀텀닷 완전정복] 카드뮴 없앤 친환경 퀀텀닷과학동아 l2020년 05호
- 받아 원하는 색깔의 빛을 바로 내는 자발광 퀀텀닷을 개발한 것이다. 더불어 이것을 디스플레이에 응용했을 때 충분히 안정적인 수명을 유지한다는 사실까지 입증했다. doi: 10.1038/s41586-019-1771-5기존의 퀀텀닷 응용 소자가 빛을 흡수하는 퀀텀닷의 특성만 활용했다면, 이번 퀀텀닷은 전류를 흡수해야 ... ...
- [퀀텀닷 완전정복] 퀀텀닷으로 암 진단까지?!과학동아 l2020년 04호
- doi: 10.1021/acs.nanolett.6b04261다만 퀀텀닷을 이용한 진단이 실제로 상용화되기 위해서는 디스플레이나 태양전지와 마찬가지로 불안정한 표면을 안정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현재 질병을 탐지하는 프로브에 퀀텀닷을 결합하면 퀀텀닷의 발광 특성이 손실되거나, 반대로 원치 않는 곳에서 빛을 발하는 ... ...
- 신문에 이런 기사가? 만우절 ‘뻥’ 같은 진짜 기술 3과학동아 l2020년 04호
- 차이를 측정하는 정전식이 가장 널리 쓰인다. 홈버튼이 없는 스마트폰의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안에 지문인식 센서를 탑재하기 어려워 광원이나 초음파를 쏴 반사된 빛의 음영으로 지문을 인식하는 광학식과 초음파식도 쓰이고 있다.하지만 광학식이나 초음파식은 마치 지문을 촬영하듯 지문의 ... ...
- [퀀텀닷 완전정복] 진정한 삼원색 만드는 건 퀀텀닷 뿐이라는데과학동아 l2020년 03호
- 표현. 퀀텀닷은 크기가 나노미터 수준으로 작아 특정 에너지 준위를 가지는 반면, 기존 디스플레이의 발광물질은 원자보다 큰 결정물질이어서 에너지 밴드를 갖는다. 이에 따라 퀀텀닷 디스플레이는 삼원색인 빨간색(630nm), 초록색(532nm), 파란색(467nm) 파장에서 순도가 높아 그래프가 뾰족하게 ... ...
- 스타워즈 통신수단, 홀로그램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3호
- 구슬로 더 큰 홀로그램 영상을 만들 예정이에요. 히라야마 연구원은 논문을 통해 “이 디스플레이를 사용하면 멀리 떨어진 가족이나 친구와도 가까이 있는 것처럼 보고, 듣고, 느끼며 대화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말했답니다 ... ...
- 위아래로 접는다... 2ROUND 폴더블폰 전쟁과학동아 l2020년 03호
- 말리는 롤러블 디스플레이나 자유자재로 늘렸다가 원상태로 복구 가능한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기술전이 될 것”이라며 “이를 위해서는 폴더블폰에 적합한 메모리와 배터리, 트랜지스터, 전극 등의 개발이 선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 ...
- 상상이 현실이 된다! 스타워즈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3호
- 태양을 찾아서 ★ 도움유석재(국가핵융합연구소 소장), 최지훈(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실감디스플레이 연구실 연구원), 이재우(한국천문연구원 광학천문본부 그룹장), 전홍식(SF 판타지 도서관 관장), 김곤호(서울대학교 원자핵공학과 교수), 임용준(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지털홀로그래픽연구실 ... ...
- 과학동아 At a Glance과학동아 l2020년 02호
- 때는 파란색을 띱니다. 이런 특징을 TV 디스플레이에 활용하면 어떻게 될까요? 양자점 디스플레이는 향후 TV 시장에 지각변동을 일으킬 것으로 기대됩니다. 왜 그런지 설명해드립니다. 카피추의 ‘아기상어라지만’은 표절일까 ☞ 바로가기 (100p) ‘아기 상어 (뚜 루루 뚜루) 귀여운 (뚜 루루 뚜루 ... ...
- [융복합 파트너@DGIST] 뉴바이올리지전공, 잘 고른 항체로 새로운 항암제 만든다과학동아 l2020년 02호
- 낮고, 결과적으로 파지 디스플레이 기법을 이용해 분리하기가 쉽지 않다. 실제로 파지 디스플레이를 이용해 항체를 분리하면 대부분 길항제만 나온다. 작용제를 선별하려면 완전히 다른 방법이 필요했다. 예 교수팀은 2013년 ‘자가분비기반 항체 선별(Autocrine-based antibody screening)’이라는 작용제 ...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