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뚜껑
덮개
꼭지
물꼭지
덥개
병마개
왕관
d라이브러리
"
마개
"(으)로 총 117건 검색되었습니다.
고릴라 고환이 사람보다 작은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의한 팽창→침팬지→기생생물→둥지→두더쥐→교미
마개
→뱀→기니피그→동성애→갈매기→알→난소→암수한몸→복족류→음경→고양이→거세 등등.이 책을 읽다보면 인간의 성생활까지 깊이 이해할 수 있다고 얘기한 건 다음과 같은 경우다. 사람을 포함한 영장류의 경우 몸집의 차이에 비해 ... ...
따뜻한 마음은 머리 안에 있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다른 선로를 향하도록 스위치를 누르는 것. 하지만 다른 선로에도 인부 한명이 귀
마개
를 한 채 일을 하고 있다. 5명을 구하기 위해 스위치를 눌러 1명을 희생시키겠는가?동료 인부와 함께 철로 옆에서 일을 하고 있다. 그때 갑자기 고장난 철도운반차가 철로로 들이닥쳤다. 철도운반차를 그대로 두면 ... ...
바꿔, 바꿔! 놀라운 발명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0호
발명가 윌리엄 페인터는 더위를 식히기 위해 음료수를 마셨다가 배탈이 났다. 엉성한 병
마개
때문에 음료수가 상했던 것이다. 이 일로 페인터는 음료수병을 완벽하게 밀봉할 수 있는 병뚜껑을 만들기로 결심했다.실패를 거듭하던 어느 날, 페인터는 병뚜껑둘레를 눌러서 조이면 되지 않겠느냐는 ... ...
[생물]곰팡이도 물총 쏴서 포자 퍼뜨린다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액체가 분출하면서 포자를 밀어낸다. 마치 끝에
마개
가 달린 물총을 꼭 쥐고 있다 놓으면
마개
가 벗겨지며 분출하는 물의 추진력으로 날아가는 것과 같은 현상이다.머니 교수는 “18만g라는 가속도는 자연계에서 관찰된 것 가운데 가장 큰 값”이라며 “이들 곰팡이는 숙주인 초식동물로 옮겨가기 ... ...
모자이크로 붙인 카시오페아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값이다. 조리개란 카메라 렌즈 안에 들어오는 빛의 양을 조절하는 일종의
마개
인데, 수치가 작을수록 빛을 많이 모아 밝은 사진을 찍을 수 있다.f=35mm나 f=50mm 같은 표시는 렌즈의 초점거리다. 초점거리란 렌즈의 상이 또렷하게 맺힐 때 렌즈와 상 사이의 거리로 카메라에서는 카메라 렌즈에서 ... ...
2008년 4월, 한국인 우주에 간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8호
기계음은 안 들리고 사람 목소리는 잘 들리는 귀
마개
를 개발하고 있어. 우주에서 귀
마개
의 성능을 실험할 거야.❿ 메모리 소자 성능 테스트백혈구만 한 분자에 많은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분자 메모리의 특성을 우주에서 실험하는 거야. 더 작고 더 많은 정보를 담을 수 있는 메모리 소자를 개발할 ... ...
과학 행사 평정 비법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8호
반작용의원리’로 모든 운동은 작용에 반대되는 반작용이 있다는 원리지. 페트병의
마개
를 열었을때물이 아래쪽으로 나오는작용에 대한 반작용으로 반대 방향의 힘이 생기는 거야. 비법 하나탄산음료 페트병을 고르자!물로켓 속의 공기는 자동차 타이어 안의 공기보다 약 3배나 더 압축돼 ... ...
PART2 굿바이 미네랄워터
과학동아
l
2007년 03호
더욱 위험하다.과학동아는 한국화학시험연구원에 의뢰해 먹다 남긴 생수병(500ml)의
마개
를 닫은 채 상온(20~25℃)에서 나흘간 방치하며 일반세균과 총대장균군을 측정했다. 총대장균군은 위생 상태를 나타내는 지표로 물이 오염되지 않았는지, 수인성전염병의 발병 위험은 없는지 보여준다. 과연 ... ...
우주로 이사가는날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2호
인해 매우 시끄럽다. 오랫동안 이런 소음에 노출되면 소음성 난청이 올 수 있다. 귀
마개
는 필수이며, 휴대용 청력 검사기도 가져가야 한다. ⑤ 충치꼼꼼하게 치과 치료를 하고 떠나도 장기간 우주여행을 하면서 충치나 염증이 생길 수 있다. 간단한 충치 치료가 가능한 덴탈 키트를 챙겨 가야 한다 ... ...
우주정거장서 초파리 1000마리와 뒹군다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작동하는 소리로 시끄러워 걱정을 많이 했는데, KAIST 이덕주 교수가 개발한 우주귀
마개
덕분에 잘 잤다. 얼굴 찍고, 황사 찍고아침에 일어나 세수를 하고 카메라 앞에서 얼굴 사진을 찍었다. 이 카메라는 한서대 조용진 교수가 개발한, 책 크기에 900g짜리 소형 등고선 촬영장비다. 지구에서 다리 쪽에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