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레
d라이브러리
"
마차
"(으)로 총 174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수학이 밝히는 자전거의 5가지 신비
수학동아
l
2011년 03호
뻗어가는 방사형 바퀴살과 서로 엇갈린 바퀴살로 나눌 수 있다. 방사형 바퀴살은
마차
에도 많이 쓰였던 것으로 위에서 누르는 힘에 강하다. 하지만 회전할 때 받는 비틀림에 약하고 탄성이 부족하다. 1870년에 개발된 엇갈린 바퀴살은 방사형 바퀴살의 단점을 극복했다.바퀴살이 엇갈리는 횟수는 ... ...
달력 그림에서 찾은 별자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9호
달력화의 위쪽을 자세히 봐 주세요. 반원형으로 된 부분이 보이지요? 가운데에
마차
를 타고 달리는 태양의 모습이 그려져 있고, 그 주위로 별이 그려져 있어요.이것은 하늘에서 태양이 다니는 길과 그 주위를 의미하는 ‘황도대’를 그린 거예요. ‘황도대’는 ‘황도12궁’이라고도 불려요. 1년을 1 ... ...
지오의 나라
수학동아
l
2010년 06호
” 지오의 눈이 휘둥그레졌다.“이제 우리가 만들면 되지. 하지만 저잣거리를 달리는
마차
와는 달라. 연월기는 우리를 미래의 세상으로 데려가 줄 테니까. 어쩌면 먼 과거의 세상을 보게 될지도 모르지.”“그럼 미래나 과거의 세상으로 데려다 주는 기구란 말인가요, 연월기가?” 황산사와 천복, ... ...
현재의 과학적 상상력은 왜 과거만 못할까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입체(3D) TV가 현실화되고 있다. 이 같은 기술의 진보는 어느 날 갑자기 TV가 생겼을 때나
마차
대신 자동차가 등장했을 때와 비교하면 충격이나 만족도에서는 크지 않은 것이 당연하다”고 설명했다.박 위원은 우리가 느끼고 있는 과학기술의 향연이 어느 한 순간에 이뤄지지 않았다는 점을 잊지 ... ...
오른쪽? 왼쪽? 보행의 과학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이유가 있어서가 아니라 역사적으로 우연히 선택된 결과다. 자동차가 발명되기 전에
마차
를 몰던 습관이 그대로 굳어져 지금의 자동차 이동 방향이 되었기 때문이다. 모든 과학과 기술이 꼭 합리적인 이유를 갖고 일상 생활에 적용되는 것은 아닌데, 자동차의 이동 방향도 그런 예 중 하나다 ... ...
“눈동자만 움직여도 현란한 영상과 소리 펼쳐져요”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모습을 담은 김광균의 시‘외인촌’을 읽다 보면 머릿속에 한 폭의 풍경화가 그려진다.
마차
는 희미한 안개 속에서 파란 불빛을 내며 달려가고, 하늘엔 새빨간 노을이 펼쳐져 있다. 특히 이 시의 마지막 행을 읽으면 ‘소리가 눈에 보인다’. “분수(噴水)처럼 흩어지는 푸른 종소리.” 소리가 색깔을 ... ...
3. 교통안전 지킴이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거슬러 올라간다. 로마 제국은 500여년에 걸쳐 8만km가 넘는 포장도로를 건설했다.
마차
가 다니는 4m 너비의 차도를 만들고, 양 옆으로 3m 너비의 인도를 함께 만들었다. 차도 옆에 경계석을 세우고 같은 높이의 인도를 만들어 사람들을 보호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1923년 교통사고를 줄이기 위해 ... ...
맛있는 세계 면류 총집합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편 뒤 알맞은 크기로 썰어낸다. 에도시대에는 상인들이 야키라라 불리는 이동식 포장
마차
를 어깨에 짊어지고 다니며 소바를 팔았다. 미리 삶아 놓은 면에 국물만 부으면 음식이 완성되기 때문에 사람들은 거리에서 소바를 먹으며 한 끼 식사를 대신하곤 했다. 소바는 일본 최초의 패스트푸드인 ... ...
[culture] 한여름 보양식의 제왕 뱀장어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유래한 것이다. 성질이 포악해서 조금만 방심해도 사람을 깨물려고 달려든다. 포장
마차
에서 많이 파는 ‘꼼장어’(표준어는 곰장어)는 먹장어(Eptatretus burgeri)라는 공식 이름을 갖고 있다.먹장어는 어류가 아니라 턱뼈가 없는 하등 척추동물인 ‘원구류’다. 입 주변에 네 쌍의 수염이 있고, 눈은 ... ...
지하철과 KTX 선로 같을까? 다를까?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다녔는데 이것이 철도의 선로를 제작할 때 기준이 됐다. 당시 나무선로의 폭(궤간)은
마차
를 끌던 노새의 엉덩이 너비였다. 사람만큼이나 노새도 몸 크기가 지역마다 달랐다. 이 때문에 선로도 폭이 제각각 다르게 건설됐다. 러시아는 1.534m의 넓은 궤간(광궤) 선로가, 일본은 재래선에 1.067m의 좁은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