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목판"(으)로 총 63건 검색되었습니다.
- 삭지도 않고 썩지도 않는 닥나무 한지과학동아 l1998년 10호
- 있는 종이의 역할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오늘의 우리도 마찬가지이다. 세계 최고의 목판과 금속인쇄물을 일구어낸 사실만을 내세우고 있지, 그 내용을 담고 있는 우리 종이에 대해서는 관심이 없다. 천년 세월을 견뎌낸 우리의 종이, 삭지도 않고 썩지도 않은 우리의 한지. 그래서 살아 숨쉬는 ... ...
- 병주고 약주는 옻나무과학동아 l1998년 05호
- cm, 가로 48.4cm, 두께 3.9cm 크기의 목판에 22줄로 줄을 내고 한 줄에 14자씩 글자를 새겼으며, 목판 겉면에는 옻칠을 했기 때문에 오랜 세월이 흘렀으나 썩지도, 좀도 먹지 않고 원모습 그대로 후세에 전해지고 있다"(동아일보 98년 3월 12일자)."창건연대가 오래된 기림사에는 흔치 않은 문화재도 많다. 그 ... ...
- 선조들의 지혜 숯과학동아 l1997년 12호
- 이해가 가지 않을 정도로 좋다. 한국의 불가사한 건축물 중 하나인 해인사 장경각은 목판 보관에 필요한 온도, 습도, 통기 등의 균형이 이상적으로 돼 있다는 것이 현대적인 해석이다.한번은 문화재 보호의 일환으로 장경각에 있는 경판을 현대식 건물에 옮겨 보관한 일이 있었다. 습도와 온도를 ... ...
- 권위의 상징 문장과학동아 l1997년 08호
- 순시할 때 문장을 지닌 사람은 문장을 지닌 연유를 문장관에게 증명해야 했다. 그림은 목판화에 새겨진 문장관(1574). 전통 관복을 입은 모습이다.중세 기사의 모습기사의 복장은 방패, 투구, 머리장식, 그리고 망토가 기본이었다. 방패에는 가끔 전쟁과 관련된 가문의 구호가 적혀있었다. 망토는 ... ...
- 측우기 중국기원설 정면 반박과학동아 l1996년 10호
- 있다. 다른 예로 1966년 불국사 석가탑에서 발견된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8세기 초) 목판인쇄물인 ‘다라니경’을 들 수 있다. 중국학자들은 당(唐)에 유학간 학생과 승려가 이것을 가져왔다고 생각한다. 물론 한국학자들도 ‘다라니경’이 우리의 것이라는 근거를 좀더 명확히 밝혀야 하겠지만 ... ...
- 중국이 목판인쇄 고집한 이유과학동아 l1996년 08호
- 주로 소수의 전문가를 통해 전수되거나 간단한 유인물을 만드는데 사용됐을 뿐이었다. 목판으로 만든 책은 가장 긴 것이 1백84페이지에 불과했다.이제 “중국에서는 왜 인쇄술이 더 발전하지 못했는가” 라는 질문으로 돌아가자. 중국에서는 단지 활자 인쇄술을 사용할 별다른 예술적·실용적 동기가 ... ...
- 금속활자와 인쇄술과학동아 l1995년 12호
- 책 수송이나 종이 수집 등의 문제로 지방 감영에 내려보내서 그것을 다시 복각하게 하는 목판 인쇄도 이용됐다.당시의 활자는 구리 합금을 녹여 부어내는 방법으로 제조됐다. 활자를 부어내는데 쓴 금속은 모두가 합금이 었는데, 구리와 주석, 아연의합금인 놋쇠 활자가 주류를 이루었다. 낮은 ... ...
- 전통 한지과학동아 l1995년 08호
- 가진 가치는 단지 일본의 백만탑 다라니경보다 20년, 중국의 금강경보다 1백18년 앞선 목판 인쇄물이란 사실에 그치지 않는다.바로 이 불경이 1천2백여년이 지나도록 형체를 잃지 않고 보존된, 현대의 첨단과학기술로도 재현해내기 어려운 품질의 종이에 담겨져 있다는 것은 세계 최고에 버금가는 ... ...
- 옛지도과학동아 l1995년 03호
- 지도보다도 내용이 자세하고 정확한 지도라고 할 수 있다.대동여지도의 또 다른 특징은 목판 인쇄본이라는 점이다. 정척과 양성지, 정상기의 지도는 모두 필사본이어서 그 수효가 한정돼 일반이 널리 볼 수 없었다. 그러나 대동여지도는 인쇄본이어서 내용이 똑같은 지도를 여러 벌 찍어낼 수 ... ...
- 팔만대장경과학동아 l1992년 04호
- 사실을 그 예로 든다. 실제로 해인사에는 팔만대장경외에 절 자체적으로 만든 인쇄용 목판이 많아 팔만대장경과 그 보존 정도를 비교 해 볼 수 있는데 대개 대장경보다는 부식정도가 높게 나타난다.조각이 끝난 판에는 옻칠이 된다. 또 판끼리 부딪쳐 글자가 떨어져 나가는 것을 막기 위해 판의 네 ...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