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무선방송"(으)로 총 169건 검색되었습니다.
- 현재의 과학적 상상력은 왜 과거만 못할까과학동아 l2010년 03호
- “2040년 지구는 대단히 첨단 지향적으로 변모했다. 인간의 과학기술이 상당히 발전해 모든 일을 로봇이 해주고,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 덕분에 집안에서 컴퓨터로 모든 일을 해결할 수 있다. 지금과 다른 사회 시스템, 사고방식이 등장했다. 인간의 과학기술에 대한 끝없는 믿음이 그 속에 자리하고 ... ...
- 지하철과 KTX 선로 같을까? 다를까?과학동아 l2009년 06호
- 콧속에서 살랑거리다 못해 온몸을 간질이는 시원한 바람. 그래~ 이런 날씨에 집에만 있으면 죄다 죄! 야외에서 도시락도 먹고 예쁜 사진도 많이 찍어야지. 기차를 기다리는데 역내 방송에서 이 역을 정차하지 않는 기차가 통과한다는 안내가 나온다. 고속열차인 KTX다. 어라, 그런데 KTX가 다니는 선로 ... ...
- 방송국에 숨어 있는 빛과 소리의 마술과학동아 l2009년 05호
- 토요일 밤에~♩ 바로 그 날에~♪ 토요일 밤에~♬ 떠나간 그대~♪휘황찬란하게 돌아가는 조명, 손담비의 현란한 안무,흥이 절로 나는 복고풍 리듬, 그리고 귀를 막아도 온몸으로 음악을 느낄 수 있는 이곳은 ‘SBS 인기가요’ 촬영 스튜디오.마술 같은 기술로 빛을 움직이고 소리를 다듬는 방송 현장의 ... ...
- 보이지 않는 전자파노이즈의 위협과학동아 l2009년 03호
- 지난해 11월 미국 심장학회에서는 MP3 플레이어인 ‘아이팟 나노’와 연결된 헤드폰이 심장박동기에 오작동을 일으킬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식품의약품안전청은 2007년 7월 인공심장박동기를 비롯한 10개 품목에 전자파내성(EMS) 시험을 의무화하기 시작했고 올해 1월에는 위험도가 낮은 일 ... ...
- 소음 잡는 알리바이 폰의 비밀과학동아 l2009년 01호
- 주변 소음을 제거하는 휴대전화가 인기다.휴대전화 소음제거 기술은 3G 서비스의 상징인 영상통화에 꼭 필요한 기술.어떻게 시끄러운 장소에서 내 목소리만 또렷하게 전달할 수 있을까.최근 출시한 ‘알리바이 폰’과 ‘허쉬 폰’의 비밀을 파헤쳐보자.화려한 조명 속, 스피커에서 흘러나온 강한 ... ...
- 아날로그 통신에 푹 빠진 21세기 ‘줄리엣’과학동아 l2009년 01호
- A 교신기념(QSL) 카드김윤희(08학번) 씨가 들고 있는 우편엽서 크기의 카드는 교신한 뒤 주고받는 QSL 카드다. 카드에는 각 무선국을 상징하는 조형물의 사진이 실려 있다.D 모스 부호표줄리엣은 무선통신에 쉽게 익숙해질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교육한다. 백인숙(08학번) 씨는 “모스 부호에서 사용하 ... ...
- 길 위의 공포, 로드킬어린이과학동아 l2008년 12호
- 사람들은 말한다. 길이 생기면 고향에 더 빨리 갈 수 있을 거라고. 또 사람들은 말한다. 길이 넓어지면 좀 더 편안하게 목적지에 도착할 수 있을 거라고. 하지만 지금 풀숲에서 나와 새로 생긴 이 길 위를 건너는 야생동물은 발 끝에 닫는 낯선 감촉이 두렵기만 하다. 이 작은 생명은 멀리서 눈 깜짝할 ... ...
- 400만V 번개에 감동, 입체지구와 만나다과학동아 l2008년 11호
- “여러분 놀라지 마십시오.”장내 아나운서의 경고방송이 나오자마자, 어른 키보다 높은 곳에 있는 커다란 도넛형 금속물체에서 ‘빠지직’하며 귀를 찢는 듯한 굉음이 들린다. 동시에 보랏빛으로 빛나는 번개가 발생하더니 사방으로 번쩍이며 퍼져 나간다. 물론 주변에는 안전 울타리가 둘러싸고 ... ...
- 바꿔, 바꿔! 놀라운 발명어린이과학동아 l2008년 10호
- 이 곳은 자칭 천재 발명가 몬만드러 박사의 연구실. 지금 몬만드러 박사는 세상을 크게 바꾸어 놓을 발명품을 만들고 있다고 한다. 어떤 발명인지 궁금하지 않은가? 잠시만 기다리시라. 곧 깜짝 놀랄 만….“펑! 와르르~.”아니 이게 무슨 소리지? 그 순간 청천벽력같은 소리가 울려 퍼진다.“아이구~ ... ...
- part 1 미리 보는 이소연 씨의 ISS 10일과학동아 l2008년 04호
- 2008년 4월 8일 한국 최초 우주인이 경험할 소유즈 우주선의 발사 순간을 가상으로 그렸다. 2년 동안 진행된 선발과 훈련 과정을 마치고 탑승우주인으로 최종 선정된 이소연 씨가 보낼 우주에서의 10일은 어떨까.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 제공한 계획표를 참고해 미리 따라가 봤다.“잘 다녀오겠습니 ...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