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보호자"(으)로 총 130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장난감의 변신! 다양성의 시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움직이고 있었지요. 키니스장난감병원에선 진짜 병원처럼 진료 예약을 받아요. 장난감 보호자가 ‘입원 치료 의뢰서’에 증상을 작성하고, 병원으로 장난감을 입원시키면, 장난감 의사가 문진과 치료를 마친 뒤 퇴원시키는 과정을 거쳐요. 한 달에 1~2번은 직접 장난감 환자를 찾아 육아지원센터나 ... ...
- [매스미디어] 시네마틱 드라마, SF8수학동아 l2020년 08호
- 알아보자. [간호중] AI가 사람과 감정을 나눌 수 있을까?환자의 고통에 공감하고 보호자를 위로하는 AI 간병 로봇 ‘간호중’. 간호중은 감정에 너무 취한 나머지 극단적인 선택을 하고 마는데…. 실제로 감정을 가진 AI 로봇을 만들 수 있을까? 감정을 가진 AI에 대한 아이디어는 1995년 ... ...
- [화장실의 변신 ①] 화장실 문화가 바뀌고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4호
- 분리되어 있으며 칸마다 변기와 잠금장치, 일부는 세면대까지 갖추고 있고 보호자와 피보호자가 함께 들어갈 수 있는 넓은 칸도 마련돼 있어요. 하지만 아직 보편적 인권을 이유로 반대의 목소리도 커요. 남녀노소 모두 이용할 수 있는 만큼 범죄에 노출될 확률이 높아질 수 있다는 우려와, 성중립 ... ...
- [실전!반려동물] 뽀삐야 점프는 조심조심!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3호
- 뽀삐 다리에 무슨 문제라도 생긴 걸까요? 점프는 푹신한 곳에서만!소형견을 키우는 보호자들은 반려견이 점프 할 때마다 가슴이 철렁해요. 착지하다 미끄러지기라도 하면 슬개골 탈구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지요. 슬개골은 개의 뒷다리에 있는 삼각형 모양의 뼈로, 무릎 관절 위에 있어요. ... ...
- [실전! 반려동물] 거북의 등딱지가 파였어요!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9호
- 고정시킵니다. 1년 정도 유리 섬유를 고정시키면 원래 상태로 돌아옵니다. 수술 후 보호자는 사육장의 온도와 거북의 통증 관리에 온 신경을 쏟아야 합니다. 사육장은 어둡게 하고 25~28℃의 온도로 맞춰 주세요. 또 상처가 덧날 수 있으니 7~14일 동안은 물속에 못 들어가게 해야 합니다. 또 추운 ... ...
- [실전!반려동물] 우리집 막내가 새끼를 낳았어요!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7호
- 떼지요. 새끼가 젖을 물지 못하게 서 있거나 누울 땐 젖꼭지를 숨기기도 한답니다. 이때 보호자도 어미를 도와야 해요. 강아지용 우유를 어미젖과 비슷한 온도인 40℃ 정도로 데운 후, 사료를 섞어 이유식을 만들어 주세요. 처음에는 손가락에 이유식을 묻혀 냄새를 먼저 맡게 한 후, 관심을 보이면 ... ...
- [실전!반려동물] 장마철, 멍이와 냥이의 피부를 지켜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5호
- 고양이 턱 밑에 좁쌀처럼 난 여드름, 일명 ‘턱드름’ 때문에 동물병원을 찾는 보호자도 많아요. 여드름은 피지샘이 많은 턱과 입술 주변에 배출되지 못한 피지가 쌓여 생기지요. 대개 피지 분비가 왕성한 생후 2~4개월에 많이 발생하지만, 스트레스를 많이 받거나 면역력이 떨어지면 나이와 상관없이 ... ...
- [출동!반려동물] 동물 행동 훈련으로 반려견의 마음을 살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4호
- 충분히 이해하고, 끈기있게 훈련을 받는다면 조금씩 사고가 줄어들 거라고 생각해요. 보호자들이 행동치료 과정을 반려동물과 공감을 형성해나가는 과정으로 받아들이고, 재미를 느끼셨으면 좋겠어요 ... ...
- [실전!반려동물] 반려새의 건강을 지켜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3호
- 병원을 찾는 흔한 이유 중 하나는 화상이에요. 주로 피부 표면이 아닌 몸속 화상인데 보호자가 전자레인지 등으로 가열한 음식물을 충분히 식히지 않고 새에게 줘서 발생한답니다.조류는 식도 바로 아래에 먹이를 임시로 저장해 두는 소낭이 있어요. 소낭은 피부와 경계를 구분하기 어려울 정도로 ... ...
- [실전!반려동물] 우리 새가 달라졌어요 : 편식 편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1호
- 먹는 쌀밥처럼 씨앗과 견과류는 새들의 가장 기본적인 먹이예요. 손질이 필요하지 않아 보호자도 다루기 편하지요. 새들은 본래 씨앗과 견과류의 맛을 좋아해요. 연구자들은 새들이 충분한 에너지를 보충하기 위해 지방 함량이 높은 씨앗과 견과류의 맛에 끌리도록 진화했다고 추측하지요. 하지만 ...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