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분지"(으)로 총 221건 검색되었습니다.
- [hot science] 달의 여신의 눈빛, 루나 스월과학동아 l2014년 07호
- 시도도 계속되고 있다. 개릭-베델 교수와 헤밍웨이 교수 팀은 달 앞면에 있는 지름 555km의 분지인 위난의 바다에 스월이 존재하는지를 연구했다. 이곳은 국지적인 자기장이 발생하고 있지만, 간간히 작은 흰 점이 있을 뿐 뚜렷한 스월이 관측되지 않는다. 만약 자기장 차폐 현상이 스월의 원인이라면 ... ...
- PART2. 일본까지 화산재 날려보낸 젊은 화산과학동아 l2014년 05호
- 내부에 가스 성분이 많지 않아 폭발적이지는 않았으며, 현재 ‘알봉’으로 불리는 나리분지 내 봉우리도 이때 완성된 것으로 추정된다.4. 다음 분화는 언제?그렇다면 울릉도는 화산 활동을 완전히 멈춘 것일까. 그렇게 보기는 어렵다. 울릉도는 1만 년 사이에 적어도 3번 활발하게 분화했다. 가장 ... ...
- PART1. 동해 해저에 거대 화산이 있다과학동아 l2014년 05호
- 화산들은 약 500만 년 전(플라이오세) 이후에 분화한 것으로 보인다. 오직 우리나라의 울릉분지에만 분포하며, 울릉도, 독도, 안용복해산, 이사부 및 심흥택 평정해산 등이 포함된다. 화산 숫자는 이전보다 적지만, 높이가 2000m 이상인 대형이다. 바다를 뚫고 거대화산이 여러 차례 분화하면서 화산의 ... ...
- 이열치열 불타는 취재, 가장 더운 곳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5호
- 20℃나 더 뜨거운 곳도 있다고 하네요. 이런 지역들도 데스밸리와 마찬가지로 대부분 분지 아니면 사막이래요. 덥다고 그냥 집으로 돌아가면 이 기자가 아니죠! 데스밸리보다 더 뜨거운 곳을 찾아 출~발~!지구에서 가장 ‘핫’한 이란의 루트 사막미국 몬태나대학교 연구팀은 미국 지질연구소의 ... ...
- [life & Tech] 물과 불과 시간이 만든 돌의 정원과학동아 l2013년 08호
- 캐니언이었다. 유타 주 끝자락에 있는 브라이스 캐니언은 마치 원형극장 형태의 분지 안에 첨탑처럼 솟아오른 수많은 ‘후두’(바위기둥)로 유명한 곳이다. 가장자리의 높이는 해발 2400~2700m인데, 그 중 가장 높은 레인보우 포인트는 백두산에 근접한다. 고도 덕분에 5월 중순에도 브라이스 캐니언은 ... ...
- [hot science] 심해 열수구엔 그들만의 제국이 있다과학동아 l2013년 06호
- 밑 해양지각판과 판들이 확장하고 있는 중앙해령, 판들이 수렴하고 있는 섭입대의 호상분지, 그리고 열수작용이 있는 해산 등에 존재한다. 따라서 지리적으로 열수생태계는 마치 고립된 섬들처럼 여기저기 흩어져 분포한다. 한 열수구와 이웃하는 열수구가 수백에서 수천 km 간격을 두는 경우도 ... ...
- Part 4. 상상 그 이상의 슈퍼화산, 폭발할까?과학동아 l2013년 06호
- 비고, 이전에 있던 지형들은 함몰된다. 그 결과 주변보다 낮게 꺼진 칼데라를 중심으로 분지가 형성된다.약 200만 년 전 일어났던 미국 옐로우스톤(현재 미국 국립공원 1호)의 화산 분출과 약 7만 4000년 전 인도네시아 수마트라 섬토바 분출이 대표적이다. 모두 약 지름 100km 크기의 칼데라를 형성했다. ... ...
- 지진 예측 가능할까과학동아 l2013년 05호
- 지진이 발생한다.결국 지진 발생은 매질의 상태에 달려있다. 단층, 습곡, 산맥, 계곡, 분지, 충돌대와 같은 지질 구조는 매질을 강화시키기도 하고, 매질을 약화시키기도 한다. 응력이 고르게 누적된다고 봤을 때, 매질이 약한 지역이 가장 먼저 한계점에 도달한다. 이 때 지진이 발생한 지역 인근에 ... ...
- [knowledge] 행성이 되다 만 운명과학동아 l2012년 11호
- 수 있다. 더 오래 전에 형성된 표면일수록 충돌 구덩이 수가 더 많다. 그러나 레아실비아 분지를 만든 것과 같은 거대한 충돌은 표면을 ‘재포장’한다. 즉 이전에 생긴 충돌 구덩이들을 뭉개고 새로운 물질로 덮어버리므로 표면 나이가 다시 젊어진다. 수소 함량은 이전에 계속해서 쌓인 물질의 양에 ... ...
- 메신저 호가 밝힌 수성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08호
- 오는 시간을 측정해 수성 표면이 화산 활동으로 만들어진 걸 알아냈죠. 수성의 칼로리스 분지는 보통 운석 자국과 달리 중앙이 높이 솟아 있어요. 연구진은 운석 자국이 생긴 뒤에 지하에서 마그마가 나와 불룩하게 솟은 것으로 분석했어요. 수성에서도 격렬한 화산 활동이 있었다는 얘기예요. 또 ... ...
이전123456789 다음